•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애인을 향한 시선 전장연 지하철 시위 관련 네이버 뉴스 댓글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Eyes towards the Disabled Text Mining Analysis of Naver News Comments Related to the Subway Protests of the Solidarity against Disability Discrimination)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3.12
45P 미리보기
장애인을 향한 시선 전장연 지하철 시위 관련 네이버 뉴스 댓글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방송학보 / 37권 / 6호 / 197 ~ 241페이지
    · 저자명 : 양혜승

    초록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의 지하철 시위를 다룬 뉴스에 비윤리적이고 반인권적인 내용의댓글들이 난무했다. 우리 사회에 내재된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감정과 태도가 특정 사건을 계기로노출된 것이었다. 이에 이 연구는 관련 뉴스가 폭증했던 2022년 3월 28일부터 30일까지 네이버뉴스에 게재된 기사 622개를 수집한 후 기사에 달린 댓글 89,312개를 분석했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해 댓글의 빈출단어와 주요 주제 등 발화 양태를 고찰했다. 빈출단어 분석 결과, ‘이준석’ 이 ‘장애인’과 ‘시위’에 이어 매우 빈번하게 등장했고, 심지어 ‘전장연’보다 더 빈번하게 등장했다. 반면에 시위의 본질이었던 장애인 이동권 관련 단어들, 즉 ‘이동’, ‘이동권’ 등의 빈도는 상대적으로 매우 낮았다. ‘ㅋㅋㅋ’와 ‘ㅉㅉㅉ’ 같은 자음군도 매우 빈번하게 등장해서 이슈의 무게감과 대비되었다. 한편, 토픽 모델링을 통해 7개의 댓글 주제를 도출했다. (1)시민을 볼모로 한 시위 방식 비판, (2)사회적 약자에 대한 혐오, (3)출퇴근 시간대 시위에 대한 비판, (4)이준석 의견에 대한 비판, (5) 이준석 의견에 대한 옹호, (6)민주당 정부 책임론, (7)전장연은 좌파 단체라는 규정이었다. 도출된주제를 놓고 볼 때, 댓글의 시각은 시위에 대해 매우 부정적이었으며, 정치적 의견 표출이 지배적이었다. 한편, 기사의 프레임을 내용분석하여 5개로 분류하고, 기사의 프레임에 따라 댓글의 주제비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분석했다. 그 결과, 댓글의 주제는 기사의 프레임에 일정 부분 영향을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우리 사회의 시선에 대해논의하고, 아울러 언론의 시위 뉴스 생산 관행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영어초록

    The news coverage of subway protests organized by the Solidarity Against Disability Discrimination (SADD) was marked by a proliferation of comments containing unethical and anti-human rights content. This incident exposed deeply ingrained negative emotions and attitudes towards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our society.
    To investigate this matter, the study archived 622 articles from Naver News, published between March 28 and 30, 2022-a period of heightened news coverage-and analyzed 89,312 comments posted on these articles. Employing text mining techniques, the study investigated expression patterns, including frequently used words and prevalent discussion them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Lee Jun-seok’ was frequently mentioned, followed by the most common terms such as ‘the disabled’ and ‘demonstration’, surpassing even the frequency of ‘SADD’. In constant, words related to the fundamental right to mobility for disabled individuals, such as ‘mobility’ and ‘right to move,’ were relatively infrequent.
    Notably, prevalent repetitive character clusters (‘ㅋㅋㅋ’ and ‘ㅉㅉㅉ’) starkly contrasted with the seriousness of the issue. Furthermore, this study identified seven primary comment topics through topic modeling: Criticism of the protests involving citizens as hostages, Aversion towards the socially disadvantaged, Criticism of the protests during rush hours, Disapproval of Lee Jun-seok’s stance, Support for Lee Jun-seok’s viewpoint, Allocation of responsibility to the Democratic Party government, Labeling of SADD as a leftist organization. Concerning these topics, comments overwhelmingly expressed negative viewpoints about the protests, with a notable prevalence of political opinions. The study also analyzed the framing of news articles, categorizing them into five different types, and examined how the distribution of comment topics shifted in relation to these frames.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proportions of comment topics were partially influenced by the frames of the new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society’s perception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the media’s approach to covering protest-related new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방송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