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니멀리즘 순수성 연구 -댄 플래빈 작품의 순수성 중심으로- (A Purity Study of Minimalism -focusing on the purity of Dan Flavin's work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9.02
12P 미리보기
미니멀리즘 순수성 연구 -댄 플래빈 작품의 순수성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4권 / 1호 / 33 ~ 44페이지
    · 저자명 : 권오길, 이재규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미니멀리즘의 작품은 작가에게 종속되지 않고 순수한 사물 자체가 가지는 독자성으로 존재하며, 관람자가 작품과 마주한 상황에서 경험하는 즉각적 인식에 의미를 부여한다. 미니멀리즘의 비평과 미니멀리즘이 가지고 있는 순수성-사물의 순수성, 작가와 비관계로서의 순수성, 현전의 순수성 연구를 통해 작가의 개념이 부재하여 어떤 의미도 없이 존재하는 미니멀리즘 작품이 가지고 있는 미술의 확장성을 알 수 있다. (연구방법) 미니멀리즘과 관련된 이론적 비평 연구를 통해 모더니즘 회화와 미니멀리즘의 차이, 조각의 확장과 장소성, 미니멀리즘이 현대 미술에 미친 영향을 살펴본다. 댄 플래빈의 제안(proposal)으로서의 순수성을 연구하여 구체적인 순수성을 제시하고 각 항에 맞는 사례를 살펴본다. 마지막 장에서는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여 댄 플래빈의 제안(proposal)으로서의 순수성 연구의 의의를 정리한다. 연구범위는 미니멀리즘에 포함되는 작가의 작품과 댄 플래빈의 작품으로 순수성을 제시하며 논의되는 순수성은 미니멀리즘의 작품 범위로 한정한다. (결과) 작품 분석의 결과 댄 플래빈 작품이 가지고 있는 순수성은 미니멀리즘의 특성, 순수성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미니멀리즘 특성 중에서 익명성, 사물성, 비인간성은 댄 플래빈의 모든 작품에서 표출되었다. 빛과 색의 도구로서의 순수성, 현전의 순수성(관람자와의 관계)이 강한 작품은 미니멀리즘의 특성인 현전성과 공간성이 모두 표출된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미니멀리즘과 미니멀리즘 대표 작가인 댄 플래빈 작품 분석에서 나타나는 미니멀리즘의 특성과 미니멀리즘의 순수성과의 관계를 알 수 있었고 미니멀리즘의 순수성이 미니멀리즘 순수성의 특성 방식으로 미니멀리즘 작품과 댄 플래빈 작품에서 표출됨을 알 수 있었다. 미니멀리즘의 현전의 순수성은 사물의 유용성을 상실한 사물이 어떻게 공간으로의 확장, 장소 특정성을 가지게 되는 지를 보여주며 미술이 장소와 유기적 관계를 맺고 건축의 영역으로까지 확장되는데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미니멀리즘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순수성과 댄 플래빈의 제안(proposal)의 순수성을 제시함에 의의를 갖으며 작가-예술의 제안-에게서 관람자-예술의 완성-에게 전이되어 나타나는 미니멀리즘의 순수성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Minimalist work is not dependent on its artist and exists as the identity of pure object itself, giving meaning to the instant perception experienced by viewers. Through study of minimalism criticism and the purity of minimalism - a purity of things, nonrelational purity, and a purity of presence – one can see the anonymity, succession, and fine artistic expandability of a minimalist work that exists with no meaning due to the absence of artist concept. (Method)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modernist painting and minimalism, the expansion and locality of sculpture, and the influence of minimalism on contemporary art based on a theoretical critique of minimalism. We investigated purity as elucidated in a “proposal” from artist Dan Flavin, presented specific purity, and examined the cases matching each section. The final chapter of our study summarizes discussion and presents a summary of the implications of our study on purity as proposed by Dan Flavin. This study also presents the work of artists who fall under the category of minimalism and exhibit purity in the vein of the works of Dan Flavin. Purity as discussed in this study is confined in scope to works of minimalis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 that purity in the minimalism of Dan Flavin exhibits such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as anonymity, thingness, and inhumanity. The works use light and color to strongly express purity, and the purity of presence (relationship with the viewers) expresses the present and spatiality together, which are further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minimalism and minimalistic purity found through analyses of minimalism in the works of Dan Flavin, one of the most prominent minimalist artists. Minimalistic purity was found to embody the composition perceived by viewers as a pure object not embedded with symbols and signs, breaking the link with modernism. In particular, the purity of presence in minimalism shows how objects that lost their usability have both spatial expandability and specificity of location and how fine art forms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place and expands into the realm of architectu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for its presentation of purity inherent in minimalist work and the purity of Dan Flavin's proposal.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reate an opportunity to further examine the purity of minimalism, one that shifts the emphasis in a work of art from the artist (proposal of art) to viewers (contemplation of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