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中部地方 粘土帶土器 段階 聚落 構造와 性格 (The structure and nature of settlement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in the central regi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1.09
34P 미리보기
中部地方 粘土帶土器 段階 聚落 構造와 性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80호 / 29 ~ 62페이지
    · 저자명 : 송만영

    초록

    기존의 중부지방 점토대토기 사회에 대한 이해는 재지 집단과 이주 집단 간의 갈등론, 그리고 재편론을 토대로 하고있다. 그래서 고지성 취락을 집단 간의 알력과 긴장을 반영하는 자료로 인식하는 한편, 이주 집단에 의한 재편을 통해 점토대토기 사회는 청동기시대 사회와는 다른 보다 광역의 지역적 통합이 이루어지고 본격적인 계급적 복합사회수준으로 발전하였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해할 경우에 점토대토기 단계의 취락의 입지 변화, 소형화, 분산화 경향을 설명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취락 연구를 통해 사회경제적 연결망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중부지방 점토대토기 사회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중부지방 점토대토기 단계의 취락은 1개의 주거군이 소형 취락을 이루며, 3~4개의 주거군이 결집되어 중형 취락을 이루기 때문에 청동기시대와 비교할 때, 단위 취락별 규모가 매우 축소되었다. 또한 소형 취락의 경우에는 상위의 주거지 1기와 다수의 하위 주거지 등 2단계로 계층화되어 있으며, 중형취락의 경우에도 소수의 상위 주거지와 다수의 하위 주거지 등 2단계로 계층화되어 있다. 점토대토기 단계의 지역공동체는 촌과 소촌이 결집된 촌락 수준으로 그 규모가 2~6km 내의 범위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와 같은 촌락의 횡적 경관은 고지의 제의 공간을 중심으로 구릉의 취락들이 결집된 것이며, 거시적으로는 고지의 제의 공간들을연결하는 사회경제적 연결망이 점토대토기 단계에 형성되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사회경제적 연결망은 청동기시대의 수계 중심의 연결망이 해체된 이후에 형성된 것이었지만, 청동기시대 중기 중반 이래의 대형 취락 해체와 더불어 취락의 소형화, 분산화 과정의 연장선상에 있다. 즉 생업경제 체계에서 농경에 대한 지나친 의존도 때문에 대형 취락이 해체되면서 일시적이나마 해양 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되고 좀 더안정적인 생계 수단을 확보하기 위하여 농경과 수렵, 어로를 병행하는 혼합경제 체제로 전환되어 갔을 것이라 추측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초기철기시대의 획기는 특정 유물의 출현뿐만 아니라 생계경제와 관련된 사회경제적 연결망의 재편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Previous understanding on society of clay-band rim pottery is based on opinions of conflict between existing settler groups and migration groups, and of reorganization by migrators.
    Therefore in previous scholarships settlement on highlands has been regarded as a material to reflect friction and tension among these groups. It has been also believed that the society of clay-band rim pottery accomplished more extensive regional unification than societies in Bronze age through reorganizing by migrations and improved as a legitimate hierarchical society.
    However this understanding can not explain location changes, downsizing and dispersion of settlements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society of clay-band rim pottery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investigating settlements in the perspective of changes of socio-economic networks.
    A group of houses became a small settlement and three or four groups of houses formed a middle-sized settlement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in the central region. This means size of each settlement decreased comparing Bronze age. These settlements were classified in two groups: one top house and several lower houses at the small settlements, and a few top houses and several lower houses at the middle-sized settlements. It seems that local community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was in the level of village, chollak in Korean uniting hamlets, chon in Korean, which was composed of 14 to 18 houses and small hamlets, sochon in Korean, which was composed of 4 to 6 houses at this time. Size of the community was within 2~6km. Horizontal location of these villages was formed by combining settlements on hills with centering ritual places in heights. From a broad perspective, socio-economic networks, by which ritual places on highlands were connected, having been gradually formed since the Bronze Age were completed in the phase of clay-band rim pottery.
    This social economic networks were formed after networks centering water system in Bronze age were dissolved. However the social economic networks were also formed as a part of dissolution of bigger settlements and downsizing and dispersion of settlements. I think that as bigger settlements dissolved due to excessive reliance on agriculture, dependence upon resources from the sea temporarily increased and their economic system turned into the mixed one combining farming, hunting, and fishing. In this respect reorganization of social economic networks related to livelihood should be considered in demarcating the Early Iron 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