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春秋』王曆② - 周代의 曆法 一考察 (『Chūn-qiū』Wáng-lì(『春秋』王曆)② - A Study on the Calendar of Zhou(周) Dynast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7.07
37P 미리보기
『春秋』王曆② - 周代의 曆法 一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 / 47호 / 191 ~ 227페이지
    · 저자명 : 서정화

    초록

    『춘추』 경문은 태음력을 기반으로 동지가 포함된 달을 1월로 시작하며 그때를 春이라고 명명한다. 아울러 그것의 置閏에 대한 기사는 단 두 건만 확인된다. 본 논의에서는 『좌전』의 추가적인 윤월 기사를 통해 『춘추』왕력에서 활용한 치윤의 방법에 관해 추론해 보았다. 『좌전』 「文公」 元年의 “나머지 날수들을 ‘끝’으로 보낸다.”라는 기록에서의 그 ‘끝’을 연말로 이해하여 歲末置閏으로 인식한 경향이 보인다. 그러나 필자는 그에 대해 ‘時末置閏’ 내지는 ‘中氣가 들어 있지 않은 달로의 치윤’으로 해석하였다.
    『서경』 「泰誓」 「牧誓」 「武成」편 등 ‘武王伐殷’ 기사가 서술된 내용 속에서는 당시의 역수가 『춘추』왕력과 동일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죽서기년』의 그와 관련된 기록들에서도 동일한 역수가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周初부터 적어도 『춘추』 경문이 만들어진 춘추시대까지는 왕력이라고 하는 주력이 사용되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한편, 당대의 역법 체계가 비교적 잘 수록되어 있는 『맹자』와 『좌전』을 통해 본다면, 전국시대에는 周曆과 夏曆이 혼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漢代 이후에는 ‘동짓달=春’이라는 계절명이 더 이상 일반적인 관념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게 되었다.

    영어초록

    The calendar of the scriptures of 『Chūn-qiū(春秋)』 is the lunar calendar with the month including winter solstice as January beginning a new year, which is named as Chūn(春). Moreover, only two texts have been confirmed regarding its intercalation. In this discussion, through additional text on a leap month in 『Zuŏzhuàn(左傳)』, the method of intercalation used in 『Chūn-qiū』Wáng-lì(『春秋』王曆 : the calendar regulated by the king of Zhōu(周) dynasty in 『Chūn-qiū』) was inferred. In the record of “sending other days to the ‘end’”in the first year of 「Wén-gōng(文公)」, 『Zuŏzhuàn(左傳)』, the ‘end’ was understood as the end of a year, and it showed the tendency of the recognition that there was a leap month at the end of a year(歲末置閏). However, in this paper, it was interpreted as ‘having a leap month at the end of a season(時末置閏)’ or ‘having a leap month in a month without Zhōng-qì(中氣).’ It has been judged in that way because it also corresponds to the subject of the text that four seasons are to be adjusted in order to prevent farming from going badly.
    Next, in order to examine whether 『Chūn-qiū』Wáng-lì(『春秋』王曆) was the calendar actually used in the court of Zhōu(周) dynasty or not, the following discussion was carried on through the analysis into some ancient legal book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alendar of those times was identical to 『Chūn-qiū』Wáng-lì(『春秋』王曆) at least in the contents describing the story of ‘Wǔ-wáng-fá-yīn(武王伐殷 : conquest over Shang dynasty by King Wǔ)’, such as 「Tài-shì(泰誓)」, 「Mù-shì(牧誓)」 and 「Wǔ-chéng(武成)」, in Zhōu-shū(周書) of 『Shū-jīng(書經)』. In addition, the same calendar was also used in the records related to it in 『Jí-zhǒng-gǔ-wén(汲冢古文=竹書紀年)』. Through which, it can be inferred that Zhōu-lì(周曆) called as Wáng-lì(王曆) was used from the early stage of Zhōu(周) dynasty to at least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when the scriptures of 『Chūn-qiū(春秋)』 were created. Meanwhile, when it was investigated through 『Mencius(孟子)』 and 『Zuŏzhuàn(左傳)』 in which the calendar system of the time was included relatively well, it's been proved that Zhōu-lì(周曆) and Xià-lì(夏曆) were used together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And then, since Han(漢) dynasty, the name of season of Wáng-lì(王曆) regarding ‘winter solstice month as Chūn(春)’ hasn’t been considered as a general notion any mo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