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대학교 실과 의생활영역 교육과정 분석 (Analysis of Clothing Education Curriculum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y of Education)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6.03
17P 미리보기
교육대학교 실과 의생활영역 교육과정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 29권 / 1호 / 179 ~ 195페이지
    · 저자명 : 이윤정

    초록

    이 연구는 전국 10개 교육대학교에서 운영되는 의생활영역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예비교사들을 위한 의생활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10개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을 분석한 후 2015년도 강의계획서를 전자메일과 전화통화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교양과정, 교과교육과정, 심화과정으로 분류하였고, 이를 다시 강좌의 편제,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과정은 2개 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1,2학년에 2학점 2시간, 선택교과로 개설되어 있으며, 내용은 의생활에 관한 지식과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교과교육과정에서의 의생활교육은 대학교마다 운영방식이 달랐다. 강의 시간은 2주~15주까지로 매우 다양하였고, 강의내용은 2009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실습내용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교과교육과정은 전국 교육대학교의 모든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및 현장교육과 연계된 교육내용요소가 포함되는 표준안의 제시가 필요하다. 셋째, 심화과정에서 의생활교육과정 편제는 다양하였다. 아수학년은 2~4학년, 이수학점은 2~3학점, 이수시간은 2~4시간이며 필수강좌 6개교, 선택강좌 9개교였다. 교육목표는 초등의생활교육지도에 필요한 기초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는 것이 가장 많았으며, 교육내용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따라 초등의생활교육의 의미, 옷차림과 옷 관리, 다양한 바느질도구를 활용한 생활용품 만들기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일부 강좌의 경우에는 일반 의생활에 관한 지식을 다루고 있었는데, 심화과정도 교육대학교의 특성에 맞게 의생활교육의 전문성을 심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교수·학습방법과 평가는 3개 과정 모두 강의와 실습중심이며, 평가도 지필평가, 과제물평가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개발과 과정중심의 평가가 필요하리라 본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의생활 관련 강좌 중 일부 강좌는 한 학기 중 일부시간만 의생활교육을 하고 있어서 강좌에 대한 세부적인 문제점과 개선안을 제시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또한 강의계획서만으로는 강좌에 대한 충분한 비교가 부족하였으므로 개별 면담을 통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졌으면 하고, 2015개정교육과정은 핵심역량과 핵심개념 중심의 교육과정이므로 예비교사들의 의생활교육을 위한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는 강좌가 개발되기를 제안한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ims to compare and analyze a variety of curriculums in clothing education division that are operated at ten universities of education (universities hereafter) in Korea so as to explore educational direction in that area for prospective teachers. The research is based upon emails and phone-calls to collect course syllabus for academic year 2015, which are classified into general courses, introductory major courses, and advanced major courses that are analyzed in terms of course systems, education goals,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The following is my research findings through this research.
    First of all, clothing education in general courses, offered in two universities, are just elective courses of two credit units and two hours per week targeting 1st and 2nd year students of which the contents are overall knowledge and practical stuff across clothing life.
    Second, the clothing education in introductory major courses differ among universities with respect to lecture hours - from twelve to fifteen. Course contents are mostly occupied by practical exercise based upon 2009 curriculum, which imply necessity to develop a nationwide standard curriculum or course plan for prospective teachers.
    Third, advanced level major courses vary from two to four grades, two to three credit units, and two to four hours per week, while they are compulsory in six universities and elective in nine universities. The most popular education goal is to learn basic knowledge and functions in clothing area in elementary school level. Education contents are composed of meaning of cloth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clothing and cloth-management, making activity using needling tools. A few courses seem to cover knowledge regarding general clothing life. The advanced courses should offer opportunity to deepen expertise corresponding to characteristics of each and every university.
    Four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are only practice oriented in all the three universities whereas evaluation focuses on writing and homework. This implies a crucial need to develop various methods considering curriculum.
    Based upon review of partial course materials, this research lacks in proposing reasonable resolutions or remedy to correct detailed problems. Moreover, the research is limited by a simple comparison of curriculum rather than by interview or discussion with teachers.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improve this research in those senses and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clothing education for prospective teachers to utilize the 2015 curriculum which centers on core competence or core concep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