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宣祖朝의 對明 人蔘貿易과 人蔘商人 (Ginseng Trade with Ming and Ginseng Merchants during the Years of King Sônjo)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08.12
32P 미리보기
宣祖朝의 對明 人蔘貿易과 人蔘商人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역사교육 / 108호 / 127 ~ 158페이지
    · 저자명 : 박평식

    초록

    이 연구는 16세기 선조조에 펼쳐진 대중국 인삼무역의 발달과 이를 주도한 인삼상인들의 상업 활동을 규명한 논문이다.
    임진왜란을 전후한 16세기 최말기에 중국에서는 조선산 인삼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대하고 있었다. 최고의 약효를 지니던 조선 인삼의 수요층이 왕실과 귀족층에서 이제 일반 사대부층으로 까지 확대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중국내 인삼의 수요 증대를 배경으로 조선에서는 새로운 가공 인삼인 ‘파삼(把蔘)’이 등장하였다. 파삼은 인삼을 삶은 다음 건조하여 일정한 규격으로 묶어 포장한 새로운 인삼상품이었고, 이후 대중국 주요 수출상품으로 부각되었다.
    선조 26년(1593) 조선 측의 요청에 따라 의주에서 열리기 시작한 중강개시(中江開市)는, 이후 조선 인삼의 대중국 사무역의 주요 무대가 되었다. 경상과 개성상인으로 대표되는 조선의 인삼상인들이, 당시 새로 개발된 인삼상품인 파삼을 이 중강개시를 통해 대거 중국으로 수출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들은 전국의 인삼 산지에서 매점한 인삼을 자신들의 상조직을 최대한 활용하여 중국으로 수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국내의 인삼가가 전에 없이 폭등하고 있었다.
    따라서 조선후기 인삼의 인공재배 성공과 그에 이은 홍삼무역의 발달은, 이 같은 선조조 인삼무역의 확대와 이를 주도한 인삼상인들의 활동을 역사적 기반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development of Korean ginseng trade with China and the commercial activities of ginseng merchants in the sixteenth century during the years of King Sônjo.
    In the last decades of the sixteenth century, around the Imjin War(1592-8), a demand of Korean ginseng vastly increased in Ming China. Ginseng, which became to be known as having remedial effects, was in demand not only among the royal family and noble class but also among the gentry and common class. With the influence of the increased need and popularity of ginseng in China, there appeared a new ginseng-processed product, pa sam(把蔘). Pa sam was a newly devised good of ginseng steamed, dried, and wrapped in regular size. It soon became one of the main Korean exports to China thereafter.
    Upon the request from Chosôn government, chung-gang gae-shi market began in Eui-ju area in 1593(the 26th year of Sônjo’s reign). The market became the principal place for the private trade of Korean ginseng going to China. Korean ginseng merchants, many of whom were from Seoul and Gaesông areas, were using the chung-gan gae-shi market to export pa sam in quantity to China. They bought up all ginsengs throughout the country and exported them to China, making the most of their commercial networks. As a result, domestic price of ginseng in Korea unprecedentedly soared.
    This condition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artificial cultivation of ginseng and the development of hongsam(ginseng steamed red) trade in the late Chosôn period. In short, these new phenomena derived from the expanded ginseng trade and extensive commercial activities of ginseng merchants during the years of Sônjo’s re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