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代 羅漢圖의 傳統圖像 수용 태도 (The Attitude of Accepting Traditional Iconography in Arhat Paintings of Ming Dynast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5.06
33P 미리보기
明代 羅漢圖의 傳統圖像 수용 태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17호 / 255 ~ 287페이지
    · 저자명 : 신광희

    초록

    明代 나한도는 현재 전 세계에 수백여 건이 분산 소장되어 있으며 15세기의 작품은 예배용 壁畵와 幀畵가 많은 편이며, 16세기에는 이와 더불어 卷畵가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지역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江蘇-浙江 - 安徽 일대인 江南 외에도 山西, 四川, 河南, 北京, 遼寧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나한도를 확인할 수 있지만, 특히 江南이 강세를 보인다. 五代-北宋代부터 시작되어 南宋代 최 전성기를 맞았던 江南의 나한도 전통은 元代에 다소 주춤했다가 明代에 와서 다시 활기를 띠게 되는데, 이는 당시 禪宗의 부흥과도 연관이 있다. 문인들 역시 禪에 심취하면서 나한도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특히 16세기 이후로 복고 열풍이 불면서 역대 나한도에 대한 애호 열기가 고조되었는데, 이러한 배경 아래 전통 도상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전통도상에 대한 수용 태도는 크게 세가지 측면에서 확인되는데, 첫 번째는 ‘규범의 계승’이다. 나한도는 소의 경전이 없어 초기의 나한도상이 규범의 역할을 하며 후대로 전승되는데, 明代에도 五代 貫休와 張玄, 그리고 北宋代 李公麟의 나한도가 적극 계승되었다. 두 번째는 ‘선택적 수용’이다. 明代 대다수의 작품이 전통 도상 중 일부를 선택하여 작품에 활용하였다. 나한도가 본래 특정 도상이 존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상이 매우 다양하고 존상의 수가 많아 선택이 용이하다는 점이 바탕이 된 듯 하다. 주제와 연관을 지어 보았을 때는 특히 나한의 神異를 보여주는 降龍, 伏虎, 그리고 渡水 圖像이 적극 수용되는 양상을 보인다. 셋째는 ‘도상의 변용과 개성의 발현’이다. 전통 도상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화가의 역량과 개성에 따라 다양하게 변용되었는데, 특히 戴進, 吳彬, 丁雲鵬 등의 개성이 돋보였으며 화가를 명확히 알 수 없는 작품들 중에서는 궁정화풍의 범주에 포함되는 작품들이 도상은 물론 기법적인 측면에서도 특성이 두드러진다.

    영어초록

    At present, hundreds of pieces of Arhat paintings in the Ming Dynasty remain across the world. A majority of Arhat paintings from the 15th century are mural and hanging scrolls, and those from the 16th century are mainly scrolls and books. From a geographical perspective, Arhat paintings were produced in many regions including Shanxi(山西) and Sichuan(四川). In particular, Arhat paintings were prevalent in Jiangnan(江南), which is comprised of Jiangsu(江蘇), Zhejiang(浙江) and Anhui(安徽). The Arhat painting tradition in Jiangnan, which began during the Five Dynasties and the Northern Song Dynasty and reached its prime during the era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The Arhat painting tradition became slightly stagnant in the era of the Yuan Dynasty, but was again revived in the Ming Dynasty. This is closely comparable to the revival of Zen Buddhism around the same time. In addition, literary artists of the time were infatuated with Zen Buddhism, and thus became interested in Arhat paintings. In particular, as a result of a retro trend after the 16th century, artists' interest in and passion for traditional Arhat paintings began to peak. In this context, it appears that traditional iconography was recognized in greater detail throughout the Jiangnan area.




    The attitude of accepting traditional iconography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is the 'succession of norms.' Arhat paintings have no basic sutra written about arhat's iconography, therefore iconographies of early works function such as texts or norms. Arhat paintings of Guanxiu(貫休) and Zhang Xuan(張玄) from the Five Dynasties and Li Gonglin(李公麟) from the Northern Song Dynasty were enthusiastically succeeded to the Ming Dynasty. The second is 'selective acceptance.' Artists in the Ming Dynasty selected some of the diverse images of Arhat iconography and used them in their works. The third is 'transformation of iconography and expression of individualities.' In the course of acceptance, traditional iconography was transformed into diverse forms according to the abilities and individualities of artists. This is especially evident in the paintings of Dai Jin(戴進), Wu Bin(吳彬) and Ding Yun-peng(丁雲鵬).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