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형마트 영업 규제에 대한 대법원 판결의 의미와 과제 -대법원 2015. 11. 19. 선고 2015두295 전원합의체 판결- (Significance and Challenges of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n Large-Sized Mart Business Regulation)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7.12
33P 미리보기
대형마트 영업 규제에 대한 대법원 판결의 의미와 과제 -대법원 2015. 11. 19. 선고 2015두295 전원합의체 판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24권 / 3호 / 295 ~ 327페이지
    · 저자명 : 김병록

    초록

    유통산업발전법 제12조의2에는 대규모점포 등에 대한 영업시간 제한과 의무휴업일 지정의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 있으며, 유통산업발전법에 따라 제정된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와 함께 법적 분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유통산업발전법 제12조의2에 따라 지방자체단체가 조례로써 대형마트와 기업형 슈퍼마켓의 영업시간을 제한하고 의무휴업일을 지정할 수 있게 된 이래, 지방자치단체와 대형유통업체 간에 이를 둘러싼 소송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2014년 12월 12일 서울고등법원은 홈플러스 등 대형유통업자 6개사가 서울시 동대문구청장과 성동구청장을 상대로 낸 ‘영업시간제한 등 처분취소 청구소송’ 항소심에서 “피고들이 원고들에 대하여 한 각 영업시간 제한 및 의무휴업일 지정처분을 모두 취소한다.”며 원고승소판결을 하였는데, 이는 1심인 서울행정법원이 2013년 9월 24일 내린 원고패소판결을 뒤집은 것이다. 이 사건은 2015년 1월 15일 대법원에 상고되었다.
    대법원은 2015. 11. 19. 선고 2015두295 전원합의체 판결로 지방자치단체장들의 대형마트에 대한 영업시간 제한 및 의무휴업일 지정 처분은 적법하다고 판시하였다. 대법원 판결에서 다수의견․반대의견․보충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한 논쟁의 쟁점은 대형마트 내에 입점하여 있는 용역제공 장소가 영업시간 제한 및 의무휴업일 지정 규제의 대상이 되는지와 관련하여 대형마트로 등록된 대규모점포의 요건에 관한 구 「유통산업발전법」 및 동법시행령의 해석에 관한 것이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법원 판결의 주요 판시 내용과 법적 측면에서의 타당성 검토를 중심으로 「유통산업발전법」상 영업시간 제한 및 의무휴업일 지정 규제 등 대형 유통업체에 대한 규제 전반에 관하여 살펴보고, 향후 바람직한 대형 유통업체에 대한 규제의 방향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영어초록

    Democratization of economy is to achieve economic equality within a range to reduced efficiency based on economic freedom guaranteed by Constitution. In this situation, It is provided that local government can limit business hours and obligatory large-scales discount stores and SSMs by Distribution Industry Development Act. However, local governments are embroiled in a legal battle related to Distribution Industry Development Act and ordinances.
    Ever since the introduction of Article 12-2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Development Act, permitting local governments to take measures against supermarkets and super-supermarkets so as to restrict business hour or suspend business by designating a date for compulsory close down by ordinances of the relevant local governments, many legal disputes have arisen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large-scale distributors.
    On December 12, 2014, Seoul High Court held an important decision that such measures taken by Seoul Dongdaemun Ward Chief and Seoul Sungdong Ward Chief against plaintiffs including Home Plus and Home Plus Tesco were illegal, in reversing the lower court"s decision. Defendants have made an appeal to the Supreme Court on January 17, 2012, and the Supreme Court announced its full bench decision 2015du295 on November 19, 2015 that the measure to subject large-scale discount stores to business hour restrictions and mandatory holidays leveled by local government officials was legal.
    The controversial issue involving sharply opposing majority opinion, dissenting opinion, and concurring opinion surrounding the Supreme Court s ruling was about the interpretation of the old Distribution Industry Development Act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concerning the requirements of large-scale stores registered as large-scale discount stores and whether the place of service provision within large-scale discount stores is subject to business hour restrictions and mandatory holidays. The system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Development Act is confusing and its contents are unclear, incurring many problems, to the extent that the supreme court s full bench decision was divided into a majority opinion, a dissenting opinion, and a concurring opinion.
    This paper attempts to review the details of the Ruling and its implication to examine the legal validity. It also reviews the overall regulations on supermarkets such as business hours limitation and mandatory holidays to propose the desirable regulatory direction on the large-scale retail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