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五臺山 中臺 寂滅寶宮의 역사 (A History of the Treasured Temple for Buddha’s Relics(寂滅寶宮) on the Middle Terrace of Mt. Odaesan)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3.10
49P 미리보기
五臺山 中臺 寂滅寶宮의 역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67권 / 161 ~ 209페이지
    · 저자명 : 이원석

    초록

    본고는 널리 五臺山 불교계, 좁게는 上院寺와 獅子庵이 있는 中臺를 시야에 두고 그 寂滅寶宮의 역사를 고찰한 것이다.
    흔히 거론되는 慈藏의 중대 寂滅寶宮 開倉說은 사료의 부족과 신빙성 문제로 확증할 수 없지만, 그 형태는 頂骨을 안치한 ‘地宮’이었다. 덧붙여 新羅 中代에서 고려까지 오대산 불교계의 法脈과 眞如院[上院寺]⋅月精寺의 창건 중창과 함께 국가나 왕실의 비호를 고찰하였다. 또한 有緣長老-地宮 開創의 후보자-가 1100년을 전후하여 8각9층석탑을 세우고 眞身舍利 37매를 안치한 것도 실존하였을 가능성이 적다. 그러나 中臺의 地宮과 石塔, 碑銘 등을 함께 고려하면 당시 오대산 불교계는 佛舍利로 이루어진 佛國의 세계였다. 특히 고려 말기에 中臺의 ‘地宮’은 기존사실로 인식되었다.
    여말선초 懶翁大師의 문도들이 上院寺 獅子庵 등을 중건하는 가운데에 1401년 太上王 李成桂는 覺雲雪岳에게 獅子庵을 重創하게 하고는 방문하여 參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당시 적멸보궁이 실존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上院寺는 태종 이래 成宗에 이르기까지 국가와 왕실의 비보사찰이 되어 크게 발전하였다. 특히 세조는 1465년 상원사를 중창하게 하고는 이듬해 親幸하였고, 친히 ‘寶宮’에 올라 焚香參禮함으로써 瑞祥을 경험하였다. 이로부터 본다면 우리나라 최초의 ‘[적멸]보궁’이라는 拜殿이 15세기 중반에 이미 성립되어 있었을 가능성은 매우 크다.
    조선 후기 四溟大師는 1606년에는 靈鑑寺의 터에 이른바 五臺山史庫를 건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조정은 그 곁에 史庫寺를 세우고 월정사의 주지 등을 總攝으로 임명하여 史庫를 관리하게 하는 한편 外見上 조선 말기까지 高僧을 ‘寂滅寶宮守護總攝’에 임명하여 寂滅寶宮의 守護도 담당시켰다. 한편, 丁時翰 등을 비롯하여 많은 관료⋅문인들은 史庫의 관리나 遊覽을 명분으로 寂滅寶宮을 찾았다. 대개 그들은 性理學者로서 불교를 卑下하였지만 ‘지궁’과 ‘적멸보궁’의 모습이나 그 소감을 생생한 記文으로 남겼다. 그 가운데에 1664년 尹宣擧가 최초로 ‘寂滅寶宮’이라고 明記한 점은 주목된다. 적멸보궁은 17세기 중반 이래 수차례 重創되었고, 1878년의 改建을 거쳐 조선 전기의 內觀과 19세기의 外觀이라는 二重的 구조로 현재에 이르렀다. 특히 1767년에 蓮坡和尙이 중수한 적멸보궁은 金弘道의 <金剛四郡帖>에 나오는 寂滅寶宮의 모델이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larg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Buddhist community in and around Mt. Odaesan, but it has focusedon the specific historical evolution of the Middle Terrace, particularlythe Treasured Temple for Buddha’s Relics(jeokmyeolbogung), or for thedeceased renown Buddhist monks. The later are believed to have beenbuilt by Jajang(慈藏), a renown monk of the Silla(新羅) dynasty on themiddle terrace of Mt. Odaesan. However, little has been written orinvestigated about the evolution of the Treasured Temple for Buddha’sRelics. Nonetheless I hav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tentativelyin my study.
    First, it is quite certain that the Treasured Temple for Buddha’sRelics is identical of the place where Buddha’s relics had been enshrinedfor worship from the middle of the Silla dynasty to the end of theGoryeo(高麗) dynasty. The Treasured Temple for Buddha’s Relics atMt. Odaesan had become the center of Buddhism in the course of longhistory, so that many temples for Buddha’s relics such as theWoljeongsa Temple plus its octangular and nine-story pagodas werebuilt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government for the sake of protectingand promoting Buddhism. The Treasured Temple for Buddha’s Relicsin particular had become known as the center of Buddhism and treatedas such by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Second, construction and remodeling projects for all the templesscattered around the Mt. Odaesan area began by disciples of a greatmonk Naong(懶翁)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nd latercontinued to keep the above-mentioned projects going on by YiSeonggye(李成桂). He visited the temple in question to worship Buddhaat the Little Temple of a Lion rebuilt in 1401. Likewise, his successorssuch as King Sejong and King Seungjong followed suit. ParticularlyKing Sejo rebuilt the Sangwonsa Temple and visited there andTreasured Temple for Buddha’s Relics in person to performscent-burning rituals for Buddha’s relics in 1465. On the basis of allthis fact,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the Treasured Temple for Buddha’sRelics had come into being by the middle of the 15thcentury, at thelatest.
    Third and last, Great Master Samyeong(四溟大師) builted thelibrary for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t Mt.
    Odaesan located to the south of the Yoenggamsa Temple. To protectand/or manage the library the Joseon government appointed headmonk of the Woljeongsa Temple as head librarian. Many renownBuddhist monks were appointed to protect and/or manage theTreasured Temple for Buddha’s Relics on behalf of the government.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anasty, many government officials andliterary scholars visited the Treasured Temple for Buddha’s Relics onmany occasions, particularly during their sight-seeing tours there.
    Having disdained or belittled the importance of Buddhism, manyNeo-Confucian scholars gave low praises for it, writing many essaysabout their observations of the Treasured Temple for Buddha’s Relics.
    Most noteworthy is Yun Seonhak(尹宣擧) who first mentioned in hiswritings the word jeokmyeobogung or the Treasured Temple forBuddha’s Relics in 1664. From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to the19th century Jeokmyeobogungthe had been rebuilt many times and in1878 finally it has become what it is today. Particularly Buddhist monk Yeonp(蓮坡) built the Treasured Temple for Buddha’s Relicsin 1767.
    In 1788 Gim Hongdo(金弘道) used Yeonpa’s pattern of the TreasuredTemple for Buddha’s Relics as the model of his paintings titled theCollections of Four Counties around Mt. Geumgang(金剛四郡帖).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