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商代 象形裝飾文字의 象徵性 考察 (Symbolism of Hieroglyphic Ornamental Character in Shang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3.03
23P 미리보기
商代 象形裝飾文字의 象徵性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예학연구 / 22호 / 355 ~ 377페이지
    · 저자명 : 김찬호

    초록

    본 고는 商代에 주조된 것으로 판명된 청동기명문가운데 장식성이 강한 상형장식문자의 서예의 審美的 價値와 문자예술의 원형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서예에서 회화성이 강한 조형적 심미가치를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 상대 청동기에 새겨진 象形裝飾文字라고 할 수 있다.
    상형장식문자는 동시대의 갑골문에서는 보기 힘든 강렬한 圖畵性이 자연스럽게 표현되고 있다. 이러한 도화성은 상형장식문자에서 독립적으로 생겨난 것이 아닌 그 이전의 陶器등에 새겨지던 圖畵文 등에서 전승되어온 형태이며 이를 통해 商代人들의 서예심미관을 알 수 있다.
    상형장식문자는 기호형식의 간단한 명문이다. 씨족들은 그들이 토템으로 삼고 있는 동물을 취하거나 地名, 전쟁과 관계되는 무기, 왕실과 관계되는 亞자형, 관직ㆍ직무 등을 취하여 족휘로 삼았다. 족휘에도 점차 소유권ㆍ사용권ㆍ사용장소 등이 명시되면서 廟號가 쓰여지고 제작동기ㆍ제작자명ㆍ기명이 곁들어져 長文화한 기술형식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명문을 통하여 왕실의 大禮內容, 節次, 관원의 직책과 활약, 賞賜物등을 알 수 있고 더 나아가 상대의 정치ㆍ사회ㆍ경제ㆍ문화를 가름하는 척도로 삼을 수 있다.
    원시사회에서는 씨족의 표지(標識)나 상징에서 초자연적인 힘에 의지함으로서 조상이나 귀신을 숭상하고 그들에게 제사하는 것을 가장 큰 국가행사로 지내게 됨에 따라 祭器는 권위와 장엄함, 신비함을 갖추어 특이한 형상으로 제작하였다. 이러한 용도에 의해 절대적인 표식을 내포한 것이 도철 문양이었다. 문양과 함께 몇 자의 족휘가 있는데 이것이 바로 상형장식문자이다.
    이와 같이 청동기에 나타난 상형장식문자는 원시종교나 토템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으며, 인간의 정신을 반영하거나 상징이나 숭배의 대상으로서 예술 전반에 걸쳐 형상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상형장식문자는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 상징성은 이어지고 있는데, 상형장식문자에 대한 관심은 서예의 원형을 찾아가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영어초록

    Among the writings which were confirmed to be cast in bronze in Shang Dynasty period, this paper has its objective in finding esthetic values and the original forms of character arts of the calligraphy of the hieroglyphic ornamental characters which have gorgeous decorativeness. The hieroglyphic ornamental characters in Bronze Age of Shang Dynasty shows plastic esthetic values with strong pictorial aspects in calligraphy very well. This means that the value of hieroglyphic ornamental characters is very high in finding the original for of calligraphy.
    In hieroglyphic ornamental characters, strong characteristics of drawing is naturally expressed which are hardly found in the contemporary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This characteristics are handed down from the drawing or writings carved in the potteries of the previous generations, not appearing independently from the hieroglyphic ornamental characters. From this, we can see the esthetic views of calligraphy of the people in Shang Dynasty.
    Hieroglyphic ornamental character is a simple writing of which exists in symbolic form. The clans took the animals which were the totems, and also took the name of the place, weapons of the wars, 亞 shapes related to the kingdom, and government position and official authority as the clan signs. In clan signs, the ownership, using right and using place were began to be specified and the name of the late king was written. In addition, the motivation of creation and the name of the producer were also added that it has been developed as a long piece of writing format. Through this writing, we are able to know the contents and process of a grand ceremony of the kingdom and the position, works and the awards of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furthermore, we can take these things as a standard to find out the political,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hang Dynasty.
    In primitive society, people were dependent upon the supernatural powers from the signs and symbols of the clans that they respected the ancestors and the spirits. Thus, the ceremonies for those were the biggest national events that the utensils were made extraordinarily with authority, dignity and mysterious aspects. The shape of taotiewen contains absolute signs which fit for this purpose. With the shape, there are several clan signs, which is the hieroglyphic ornamental character.
    Like this, the hieroglyphic ornamental character which appeared in 상대 is closely related to the primitive religion and totems, and it reflects the human spirits and is embodied in general arts as an object of symbolism and respect. The hieroglyphic ornamental character’s symbolism is continually existed until modern society, and the interest in hieroglyphic ornamental character is meaningful for finding the original formation of the calligra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예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