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 五臺山信仰의 成立時期 (The Period of formation of The Odaesan Faith in Sill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07.06
30P 미리보기
新羅 五臺山信仰의 成立時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28호 / 131 ~ 160페이지
    · 저자명 : 박미선

    초록

    신라의 오대산신앙은 중국의 오대산신앙이 이식된 것이긴 하지만, 각 臺에 배치한 불․보살과 경전, 예참은 신라만의 특징이었다. 이러한 특징은 보천과 효명 두 태자의 행적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에 본고에서는 두 태자의 활동과 경전의 유입․유통을 통해 오대산신앙이 형성된 시기를 밝혀 보았다.
    오대산에서의 두 태자의 행적을 전하는 기록들은 國人에 의한 효명의 즉위와 진여원의 개창을 공통된 줄거리로 담고 있다. 특히 국인에 의한 추대는 통일 이후 단 2회만 보이는 특이한 경우로, 705년 眞如院 개창과 관련하여 볼 때 효명은 곧 聖德王(702~737)이 된다.
    한편 홀로 남은 寶川은 다라니를 외우며 50여 년간 수행하다가 임종 시 각 대에서 행할 독경과 예참을 유언으로 남겼다고 한다. 이들 경전 중 주목되는 것은 8권 『金光明經』으로, 적산 법화원에서도 여름에는 이 경을 강설했다. 이는 일찍이 신라사회에 이 경전에 의한 의례가 행해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런데 이 경의 다른 번역본인 10권 『금광명최승왕경』이 704년 이미 신라에 전해져 있었다. 10권본과 비슷한 시기에 번역되어(699년) 신라에 전해진 80권 『화엄경』의 경우 755년에 寫經되었는데, 이로 보아 10권본 『금광명경』 또한 전해진 직후 신라에 통용되지 않았을 것이다. 景德王代 太賢이 『금광명경』을 강설해 비를 내리게 했다고 하는데, 이때 10권본을 대상으로 삼았을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볼 때 오대산신앙의 성립 시기는 8세기 중엽을 넘지 않으며, 이는 보천이 50여 년 수행했다는 기록과도 일치한다.
    다만 두 태자가 입산하여 수도할 때 각 대에 상주하는 보살의 모습을 관찰했다고 하므로 5방5불의 구조는 성덕왕 4년(705) 진여원을 개창하면서 갖추어졌을 것이다. 이후 홀로 남은 보천의 수행 결과 각 대에서 행할 讀經과 禮懺을 정하였고, 나아가 보천이 上․下에 사찰을 더 배치함으로써 오대산신앙을 보다 체계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신라의 오대산신앙은 성덕왕에서 경덕왕대에 걸쳐 성립된 것으로, 불국토사상을 바탕으로 한 오대산 일대의 안정화가 그 목적이었다.

    영어초록

    The Faith of Odaesan in the Silla demonstrates the hallmark of the Silla Buddhism; though the faith was of Chinese provenance, its particularities – doctrinal structure as well as pious practice such as chanting, worship and repentance – were characteristic of Silla’s Odaesan Faith.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when the faith were established in Korea, analyzing the introduction and circulation of the sutra which was pivotal in the faith.
    Records of Mt. Odae have some core elements in common : tonsure of Prince Bocheon and Prince Hyomyeong’s enthronement, and the foundation of Jinyeowon. Considered that there were only two cases of crowning a prince king by aristocrats after the unification and that Jinyeowon was established in 705, Prince Hyomyeong can be identified as King Seongdeok. (r.702~737) Bocheon continued to practice asceticism reciting Dharani for more than fifty years and left a liturgy as his will on how to chant sutras and perform acts of worship and repentance at each terrace of Mt. Odae, according to Samgukyusa and other accounts. Of them,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Golden Light Sutra of eight volume version. The fact that Silla monks used to expound this sutra at Jeoksan Beophwawon during summer sitting suggests that the sutra was already used as a basis sutra of some Buddhist rituals in Silla. In addition, another version of the Golden Light Sutra that consisted of ten volumes was already introduced to Silla in 704. However, it is difficult to think that the sutra spread into Silla society in the early eight century. Like the eighty-volume Flower Garland Sutra, which was translated into Chinese largely coincidentally with the ten-volume Golden Light Sutra, introduced into Silla soon, but copied in 755, the ten-volume Golden Light Sutra may have hardly circulated when it was first imported. According to Samgukyusa, monk Taehyeon made it rained by lecturing with the Golden Light Sutra during King Kyeongdeok’s reign (742~764), the version of which is likely to have been the ten volume edition. Considering these facts, we can conclude that the Odaesan Faith in Silla was formed as early as the mid-eight century, which is in accord with the accounts saying that Bocheon kept practicing for about fifty years.
    The structure of the Five Buddhas of the Five regions that constituted a significant part of the Odaesan Faith, however, seems to have been institutionalized in 705 when Jinyeowon was built, regarded that the two princes had audience of Bodhisattvas residing the five terraces of the mountain as both of them were practicing asceticism. Thereafter Bocheon developed the way of chanting, worshiping and doing penance, and further established the Odaesan Faith by building two more temples.
    In conclusion, Silla’s Odaesan Faith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stabilizing the areas adjacent to Mt. Odae during the period under the reign of King Seondeok and King Kyeongde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