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한 분묘 출토 유개대부토기 연구 (A Study on Mounted Potteries with Lid Excavated from Samhan Tomb)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2.02
30P 미리보기
삼한 분묘 출토 유개대부토기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연구 / 75호 / 1 ~ 30페이지
    · 저자명 : 김희령

    초록

    본 연구는 2세기대를 중심으로 경기, 호서, 영남지역의 분묘에서 확인되는 유개대부토기의 속성을 검토하여 형식 변천 과정과 기원 및 확산 과정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유개대부토기는 대각 위 동체부의 형태에 따라 유개대부호, 유개대부발, 유개대부배로 분류하였으며 각 기종별로 유효한 속성을 파악하여 형식을 분류하였다.
    유개대부토기와 공반 출토되는 원저 및 평저심발형토기, 철모, 철검을 검토하여 유개대부토기를 5단계로 나누었다. 2세기 전반에 가장 이른 형식인 유개대부호와 유개대부발 1식이 확인되며 2단계는 2세기 후반으로 유개대부호 2식①과, 유개대부발 2식, 3단계는 3세기 전반으로 유개대부호 2식②, ③과유개대부발 3식, 유개대부배 1식, 4단계는 3세기 중반으로 유개대부호 3식②, 유개대부호 4식, 유개대부발 4식, 유개대부배 2식과 3식이 확인된다. 5단계는 4단계가 지속되는 단계로 유개대부토기와 평저심발형토기의 공반 출토 사례를 하한으로 3세기 후반으로 설정하였다.
    유개대부토기의 기원은 기존 집단에서 발생했다기보다는 중국, 낙랑 등의 영향으로‘유개대부토기’라는 토기 속성을 인지하고 있었던 집단이 호서 북부지역으로 유입된 후, 유개대부토기를 제작하였을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집단은 기존 집단으로 유입되어 공존하면서 그들의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해 기존 집단과는 다른 묘제 및 부장품을 선택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유개대부토기는 호서 북부지역에서 경기 및 영남지역으로 확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호서 북부지역인 아산 용두리 진터 유적에서 가장 이른 형식이 확인되고 경기 남부지역의 평택 마두리 유적에 영향을 미쳤으며, 동쪽으로 이동하여 천안, 청주, 세종시로 확산된 것으로 생각된다. 호서와 영남 내륙지역을 연결할 수 있는 유적의 자료가 아직 확인되지 않아 경상북도 상주시, 김천시, 구미시 등에서 두 지역을 연결할 수 있는 자료가 확인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mounted potteries with lid by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attributes of mounted potteries with lid from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categorizing them according to their styles, and reviewing the changes in the styles, the origin of mounted potteries with lid, and the patterns of their dissemination.
    Mounted potteries with lid made by Mahan and Jinpyonhan–the confederacies that existed in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were earthenware used for ritualistic purposes. They are exclusively found in ancient tombs. Mounted potteries with lid are jars, bows, and dishes with lids in the shape of a hat or a mushroom, with trumpet-shaped horns attached to the body. They are found in the Gyeonggi region, the Hoseo region (Chungcheongnam-do and Chungcheongbuk-do), and the Yeongnam region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This study classified mounted potteries with lid into five stages, depending on their styles and whether they are excavated with round-bottomed bowl and/or iron spearheads. Stage 1 potteries consist of a mounted jar with lid (①, ②) and a mounted bowl with lid. Stage 2 potteries consist of two mounted jars with lid① and two mounted bowls with lid. All three forms of potteries are found in Stage 3, which consist of three mounted jars with lid①, three mounted bowls with lid, and a mounted dish with lid. Stage 4 potteries include four mounted jars with lid, four mounted bowls with lid, and two mounted dishes with lid. Stage 5 potteries consist of four mounted dishes with lid.
    Mounted potteries with lid were creat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burial styles of Han Dynasty tombs. The potteries spread from the coastal areas in the Hoseo region to the Gyeonggi region in the north, and Cheonan and Cheongju in the east. Exchanges among the Gyeonggi, Hoseo, and Yeongnam regions seem to have taken either inland routes or coastal routes. As for the origin of mounted potteries with lid, they seem to have spread from the Gyeonggi region to the Hoseo region, and then to the Yeongnam region. While it is difficult to clearly identify the origin and spread of mounted potteries with lid, in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Mahan and Jinpyonhan are likely to have shared common elements of the pottery culture, with different areas producing and developing their own styles of potteries. Identification of the origin and dissemination of the potteries is restricted by the scarcity of evidence found so far, which will be hopefully addressed by further studie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