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세조~성종대 관요의 설치와 정비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Gwanyo during the King Sejo–King Seongjong Perio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2.03
28P 미리보기
조선 세조~성종대 관요의 설치와 정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82호 / 277 ~ 304페이지
    · 저자명 : 김귀한

    초록

    이 글은 세조~성종대 관요(官窯)가 설치·정비되는 과정을 당시의 정치사적 측면에서 해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조선과 왕, 그리고 백자를 유기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틀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15세기 조선의 시대적 과제는 왕을 중심으로 국가의 통치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백자는 세종대부터 왕권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면서 전개되었다. 세조는 기명(器皿)을 사용하는 데에도 명분(名分)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1460년대 세조는 그의 전제 왕권에 균열이 발생하자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그릇에도 ‘군군신신(君君臣臣)’이라는 덕목을 투영하였다. 이후 1467년경 백자의 생산과 소비를 통제하기 위해 경기도 광주목(廣州牧)에 사옹원(司饔院)의 분원(分院)을 두었다. 관요는 세조가 1460년대 그의 전제 왕권을 재정립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성종은 1469년 11월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다. 그의 왕권은 1476년 1월 친정(親政)을 시작할 때까지 미약하였다. 그러나 성종은 친정 이후 원상제(院相制)를 폐지하는 등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와 궤를 같이하여 관요 체제 또한 안정되기 시작하였다. 1480년대에 운영된 우산리 14호 요지에서 출토된 ‘천(天)·지(地)·현(玄)·황(黃)’ 등 천자문 자호(字號)가 새겨진 백자는 이러한 추측을 뒷받침한다. 1490년대 백자의 번조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가마 구조에 대한 고민과 사옹원의 시지(柴地) 분급도 동일한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다.
    요컨대, 조선 초 어기로서 백자 위상 강화 → 백자 생산·소비 통제 → 관요 설치·정비를 관통하는 키워드(key word)는 바로 ‘왕권의 강화’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eeks to elucidat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gwanyo between King Sejo and King Seongjong based on its political history. Accordingly, it presents a framework for organically understanding Joseon, its kings, and white porcelain.
    The historical task of Joseon in the 15th century was to lay the foundation for governing the nation centered on the king. White porcelain evolved since King Sejong's reign in conjunction with the royal authority. King Sejo even emphasized the need for a rationale in using tableware. When his despotic rule began to be challenged in the 1460s, King Sejo emphasized the virtue of “the place of the king and his subject” even in the daily use of tableware. Furthermore, he established gwanyo around 1467 to control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white porcelain. It is presumed that King Sejo established gwanyo as a means to re-establish his despotic rule in the 1460s.
    King Seongjong ascended the throne in November 1469 at a young age. His authority as a king was relatively weak until he began ruling directly in January 1476. Thereafter, King Seongjong launched efforts to strengthen his authority by abolishing wonsangje. In line with this, the gwanyo system also began to stabilize. White porcelain engraved with the Chinese character-numbers such as cheon, ji, hyeon, and hwang excavated from the 14th kiln site of Usan-ri, which was operated in the 1480s, supports this hypothesis. The issue of the kiln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success rate of white porcelain production in the 1490s and the apportioning of the firewood site at Saongwon can be interpreted within the same context.
    Essentially, the keyword common to strengthening the status of white porcelain as the royal pottery in early Joseon, regulating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white porcelain, and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gwanyo appeared to be “strengthening the king's autho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