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영조대 別遣御史의 성격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ly Dispatched Royal Inspector’ of the Joseon Yeongjo period)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1.04
38P 미리보기
조선 영조대 別遣御史의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담론 / 98호 / 123 ~ 160페이지
    · 저자명 : 조한필

    초록

    별견어사는 조선 영조대에 파견됐던 ‘특별한 어사’였다. 암행을 하며 수령들 비리를 염찰하기도 하고, 신분을 드러내 명행하며 재해지역 진휼을 감독하고 백성을 위로했다. 영조는 감진어사는 실효가 없고, 안집어사는 그 이름만 거창하다고 여겼다. 그래서 별견어사라는 새 명칭을 택해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활약을 기대했다.
    별견어사는 각종 옛 기록에서 어사를 ‘별도로 파견한다’는 뜻으로 표기한 ‘별견’ 어사 문구와는 다른 고유 직함이다. 이 때문에 별견어사는 암행어사와 별도로, 특정 임무로 파견된 일반어사를 가리키는 범칭으로 사용할 수 없다.
    영조는 정미환국 직후 별견어사를 파견했다. 이광덕, 박문수, 이종성 등 젊은 탕평파 관료들이 별견어사로 파견돼 영조의 덕의를 백성에게 직접 전하며 재해지역을 진휼했다.
    암행 업무는 암행어사만큼 철저히 수행했다. 어사 임명장인 봉서에는 암행어사처럼 암행대상 읍 명단이 들어있었다. 영조는 별견어사가 염찰대상 이외 읍까지 살펴, 봉고하고 파직 장계 올릴 것을 지시했다. 암행어사도 함부로 할 수 없는 일이었다.
    별견어사의 인선 작업은 암행어사와 달리 공개리 진행됐다. 또 진휼 재원 마련을 위해 임명후 임지로 바로 떠나지 않고 며칠씩 머물며, 대신 및 영조와 업무를 협의했다.
    별견어사는 일반어사와 암행어사의 기능, 모두를 소홀히 할 수 없다는 영조의 특별한 의지에서 비롯된 어사였다. 별견어사는 영조대 후반부터 암행어사의 일반어사 업무 관할이 심화되면서 사라지게 됐다고 보인다.

    영어초록

    The Specially Dispatched Royal Inspector was a special Royal Inspector who sent to the province for King Yeongjo period of the Joseon. During the trip, he secretly inspected the corruption of the local official and revealed his identity, supervised the disaster area, comforted the people. Yeongjo thought that Gamjin-eosa was ineffective, and that the name of Anjip-eosa was only grand. Therefore, he chose the new title of ‘Byeol Gyeon–eosa(The Specially Dispatched Royal Inspector)’ and expected a practical and effective performance.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Byeol Gyeon–eosa cannot be used as a name referring to the general Royal Inspector dispatched for a specific mission other than the Secret Royal Inspector. The phrase ‘Byeol Gyeon–eosa’ which is frequently seen in historical records is merely an idiomatic expression of ‘separately sent Royal Inspector’.
    King Yeongjo sent ‘The Specially Dispatched Royal Inspector’ shortly after ‘Jeongmi political change’. Young Tangpyeong officials, including Lee Kwang-deok, Park Moon-soo, and Lee Jong-sung, were dispatched to the local area to deliver the virtues of King Yeongjo directly to the local people.
    His the secret service was as thorough as the Secret Royal Inspector. Bongseo, a certificate of appointment for Royal Inspector, contained a list of villages subject to secretly inspect, just like the Secret Royal Inspector. King Yeongjo ordered that secretly take a look at the town other than a list of villages subject to secretly inspect. It was impossible for even the Secret Royal Inspector to do so.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Special Dispatch Royal Inspector was carried out in public, unlike the Secret Royal Inspector. He did not leave for his post immediately after his appointment, but discussed his work(famine relieving etc.) with Yeongjo as well as the Joseon ministry. He were quite different from the Secret Royal Inspector who the appointment process and destination is in secret.
    The word ‘The Specially Dispatched Royal Inspector’ was derived from King Yeongjo's special will to not neglect all of them, including the function of general Royal Inspector and Secret Royal Inspector.
    Since the late Yeongjo period, Secret Royal Inspector’s jurisdiction over General Royal Inspector function is intensified, Byeolgyeon-eosa seems to have disappea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