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어 2음절 완전어근 한자어의 형태구조 분석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표제어를 중심으로- (Analysis of Morphological Structure of 2-syllable Complete Root Sino-Korean Words - Focusing on the Entry Word of -)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0.03
39P 미리보기
한국어 2음절 완전어근 한자어의 형태구조 분석 -&lt;고려대 한국어대사전&gt; 표제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84호 / 199 ~ 237페이지
    · 저자명 : 함향, 호길, 김양진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2음절 완전어근 한자어의 형태구조적 특징을 밝히기위해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에 수록된 비서술성 2음절 완전어근 한자어를 중심으로 어절(형태), 음절, 음소의 빈도 및 분포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고의 분석결과, 첫째, 분석대상이 된 완전어근 80,161개에서 어절 종류수는 총 44,799 개였고, 그중에 빈도수가 제일 높은 형태(일련의 소리 연속)는 ‘고사>조사>수장> 기수>정사...’ 등의 순인데, 첫음절에서는 ‘戰>神>正>情...’의 순으로 동음이의어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두 번째 음절에서는 ‘事>死>士>史...’ 등의 순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음절빈도에서 첫음절의 토큰은 총 423개였고, 끝음절 토큰은 총 462개였다. 첫음절과 끝음절에서 모두높은 빈도를 보인 음절은 ‘사>수>전>정...’ 등의 순이고, 가장 낮은 빈도를 보인음절은 ‘눌, 짐, 츤, 탱, ...’ 등이다. 첫음절과 끝음절의 사용빈도에는 거의 차이가 없는 반면, 첫음절에만 쓰이는 일부 한자음절(‘줄’, ‘훌’, ‘쉬’, ‘튼’, ‘갹’, ‘훙’, ‘터’ 등)과 끝음절에만 쓰이는 일부 한자음절(‘닐’, ‘냥’, ‘왈’, ‘랄’, ‘뉵’, ‘뉴’, ‘댁’) 이 구별되었다. 셋째, 2음절 완전어근 한자어의 첫음소 중에서 자음으로 시작한음절은 66,573개, 반모음으로 시작한 음절은 7,622개, 모음은 5,966개로, 자음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했다. 자음에서 높은 빈도를 보인것은 ‘ ㄱ>ㅅ>ㅈ>ㅎ>ㅂ...’의 순이고, 낮은 빈도를 보인 것은 ‘ ㄲ<ㅋ<ㅆ<ㅌ...’의 순이다. 첫음절에서 모음으로 시작하는 한자어는 두음법칙에 따라 모음의 빈도수에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고유어에서는 보이지 않는 특징이라 할 수 있겠고‘자음-반자음-모음’ 전체를 고려한 2음절 완전어근 한자어의 어두음소의 빈도 배열은 고유어의 경우와 현저히 차이를 보이고 있다. 2음절 완전어근 한자어의 끝음절 끝음소에서 종성 끝소리는 47,966개이고, 모음 끝음소는 32,195개이다.
    종성은 한국어 말음절에서 가능한 7음소 중, /ㄷ/를 제외한 자음 음소가 ‘ㆁ>ㄴ> ㄱ>ㄹ>ㅁ>ㅂ ’의 순으로 나타났고, 모음 끝음소는 ‘ ㅗ>ㅔ>ㅜ>ㅣ>ㅏ>ㅓ’의 빈도순으로 나타나는데 고유어와 한자어의 음절 말 구성에 현저한 차이가 있다. 다만 2 음절 한자어에서 첫음절과 끝음절의 모음핵 빈도에는 별다른 큰 차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non-predicative 2-syllable complete root Sino-Korean words listed in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2-syllable complete root Sino-Korean words and analyzed the frequency an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eojeol (morphology), syllable and phonem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total number of eojeol types was 44,799 out of 80,161 complete roots analyzed, and among them, the morphology (a series of sound continuation)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occurrence was in the order of “gosa>josa>sujang>gisu>jeongsa (고사>조사>수장>기수>정사) ……” For first syllables, the order of contribution in forming homonyms was “戰>神>正>情……”, and for the second syllables,”事>死>士>史......” was the order of importance.
    Second, in terms of the syllable frequency, the total number of tokens for the first syllable was 423, and the final syllable token was 462 in total. In the first syllables and the final syllables, the syllables that showed high frequency are in the order of “Sa> Su> Jeon> Jeong(사>수>전>정) ......”, and the lowest frequency syllables were “Nul, Jim, Cheun, Taeng (눌, 짐, 츤, 탱) ……”. The frequency of use of the first syllable and final syllable showed almost no difference, while some differences were observed that some of the Sino-Korean syllables are used only for the first syllable, such as “Jul, Hul, Swi, Teun, Gyak, Hung, Teo(줄, 훌, 쉬, 튼, 갹, 훙, 터)” or only for the final syllable, such as “Nil, Nyang, Wal, Ral, Nyuk, Nyu, Daek(닐, 냥, 왈, 랄, 뉵, 뉴, 댁)”. Third, among the first phoneme of the 2-syllable complete root Sino-Korean words, 66,573 syllables started with a consonant, 7,622 syllables started with a semi-vowel, and 5,966 syllables started with a vowel, showing a dominant proportion of starting with a consonant. Among the consonants, the highest frequency was observed to be in the order of “ㄱ>ㅅ>ㅈ>ㅎ>ㅂ......” and the low frequency was in the order of “ㄲ<ㅋ<ㅆ<ㅌ......” Sino-Korean words starting with a vowel in the first syllable showed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vowels according to the initial law, which is a characteristic not observed in native Korean words. The frequency arrangement of the onset phoneme of the 2-syllable complete root Sino-Korean words considering the whole of ‘consonant-semi-consonant-vowel’ showed a clear difference from the native Korean words. In the final syllable final phoneme of -syllable complete root Sino-Korean words, the number of final sound of final consonant was 47,966, and the vowel final phoneme was 32,195. As for the final consonant, among the 7 phonemes possible in the Korean word syllables, the consonant phoneme excluding /ㄷ/ showed the frequency in the order of “ㆁ>ㄴ> ㄱ>ㄹ>ㅁ>ㅂ” and for vowel final phoneme, the frequency order was “ㅗ>ㅔ>ㅜ>ㅣ>ㅏ>ㅓ.” In this way,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syllable composition between the native Korean words and Sino-Korean words. However, in disyllabic Sino-Korean wor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he vowel nucleus between first syllables and final syllab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