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태평양전쟁’기 일본 特設海軍設營隊의 조선인 군속 동원 -제15특설해군설영대의 사례를 중심으로- (Mobilization of Korean Civilians in Military Employment in the Specially Established Naval Encampment Corps of the during the ‘Pacific War’ -Focusing on the Case of the 15th Specially Established Nava)

7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1.03
70P 미리보기
‘태평양전쟁’기 일본 特設海軍設營隊의 조선인 군속 동원 -제15특설해군설영대의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106호 / 291 ~ 360페이지
    · 저자명 : 심재욱

    초록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 해군은 필요한 군사시설 건설을 위해 여러 부대를 운용하였다. 해군시설부, 특설해군시설부와 특설해군설영대(이하 설영대)가 대표적이다. 특히 진주만 기습 직전부터 패전까지 약 237개가 편성된 설영대는 해군 건축부대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해군이 주둔‧점령한 거의 모든 지역에 배치되었다. 그리고 다수의 조선인들이 군인과 군속으로 강제동원되어 설영대에 투입되었다. 설영대에 투입된 조선인들의 규모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는 없다.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에 제공한 두 종의 자료에서만 그 내용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군인의 경우 “구해군군인이력원표”에서 약 17개 설영대에 투입된 조선인 약 4천 명의 기록이, 군속의 경우 “구일본해군조선인군속관련자료(2009)”(이하 “군속자료(2009)”)에서 약 41개 설영대에 투입된 약 4천6백 명의 기록이 확인될 뿐이다.
    본고에서는 “군속자료(2009)”의 분석을 통해 설영대에 투입된 조선인 군속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았고, 주요 동원 실태는 제15설영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인 군속 동원의 목적의 하나였던 군사시설 구축을 위한 노동력 수탈의 양상과 그 피해 실태를 파악하였다.
    먼저 전반적인 현황을 볼 때, 조선인 군속들은 진주만 기습 직전인 1941년 11월부터 1945년 3월 경까지, 약 41개 설영대에 총 약 4천6백 명이 투입되었다. 이 중 100명 이상의 다수가 투입된 설영대가 14개에 이른다. 이들의 투입시기는 주로 1943년과 1944년에 집중되는데, 이들이 투입된 설영대가 배치된 지역은 전황의 추이에 따라 전개된 것으로 판단된다. 1942년의 경우 주로 솔로몬 제도 및 동부 뉴기니아 지역, 1943년의 경우 서부 뉴기니아 및 인도네시아 지역, 1944년의 경우 마리아나 제도, 필리핀 및 오가사와라 제도, 1945년의 경우 오키나와 등으로 확인된다.
    제15설영대의 경우 총 41개의 조선인 투입 설영대 중, 가장 많은 인원(1,201명)이 투입되고 또 이들 전원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러한 사망 피해는 포트 모레스비 작전이라는 일본군의 ‘무모한 작전’으로 인해 발생하였다. 제15설영대에 투입된 조선인 군속의 주요한 동원 실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왕성한 노동력을 지닌 20~30대의 전남과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한 충남‧북 지역 출신자가 다수 동원되어 투입되었다. 특정 지역에서 특정 시기에 투입되는 ‘지역집단동원’의 양상을 보여준다.
    둘째, 이들은 제15설영대의 편성 및 이동 과정과는 다르게, 부산에서 도라쿠를 거쳐 라바울에서 제15설영대에 투입된다. 이는 해당 지역으로의 조선인 군속 투입의 양상을 알려줌과 동시에 일반적으로 ‘편성 이후 한달 간의 준비와 훈련’을 거친다는 기존의 연구 내용과 배치된다. 이를 설영대 동원에 있어 조선인과 일본인 간에 차이가 존재했음을 새롭게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직종’에 관한 내용이 대부분의 경우 확인되지 않아, 보다 자세한 내용은 파악할 수는 없지만, 전반적으로 동부 뉴기니아에서 남해지대로의 보급품 수송 및 도로 건설과 해안 지역의 방어 진지 구축에 투입된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공원 중 최고 직급이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부 직급의 경우 승급 시기와 사망 시기가 일치하는 점에서, 추가 기재된 대부분의 직급은 ‘사후 추서’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이들의 사망 시기는 동부 뉴기니아에 투입된 직후인 1942년 8월부터 패퇴하는 1943년 2월까지 매우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이 중 약 10%에 이르는 120명은 1942년 9월부터 11월 사이에 남해지대의 공격과 후퇴 과정에서 사망하며, 그 이외의 대다수 인원(1,011명, 약 85%)은 상륙 거점에 대한 연합군 공격을 방어하고 패퇴하는 과정에서 사망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다섯째, 말라리아와 영양실조와 같은 질병으로 사망하는 인원이 상륙 직후인 1942년 9월부터 확인되며, 그 규모는 약 10%(120명)에 달한다. 이는 작전 초기부터 보급 부족에 처해 있던 극한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영어초록

    During the ‘Pacific War’, the Imperial Japanese Navy(hereinafter referred to as I.J.N) had operated several units to build and repair naval facilities. The Naval Engineering Office, the Specilly Established Naval Engineering Office, and the Specially Established Naval Encampment Corps(hereinafter referred to as Encampment Corps) are representative. In particular, the Encampment Corps, which had formed around 237 units from just before the Attack on Pearl Harbor in 1941 to the Defeat in 1945, is recognized as a symbol of the naval constrution units. Those units were deployed in almost all areas stationed and occupied by the I.J.N.
    And many Koreans were forcibly mobilized as soldiers and civilians in militaty employment into Encampment Corps.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grasp the number of the Koreans who were taken into the Encampment Corps. This is because those facts can only be found in the two types of data provid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to the Korean government in 1990’s. In the case of soldiers, the record of approximate 4,000 Koreans who were employed in about 17 Encampment Corps is confirmed in the “Military Personnel History Table of the Imperial Japanese Navy”. In the case of civilians in military employment, the records of approximate 4,600 people who were employed in about 41 Encampment Corps are confirmed in the “Document of the Korean Civilians in Military Employment in the Imperial Japanese Navy(2009)”(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of the Koreanen Employee(2009)”) In the present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Document of the Koreanen Employee(2009)”, the overall situation of the Korean civilians in military empolyment(hereinafter referred to as ‘Korean’) taken into Encampment Corps was examined, and the actual status of major mobilization was reviewed, with focusing on the case of the 15th Encampment Corps.
    First of all, when looking at the general situation, a total of 4,600 ‘Korean’ were taken into 41 Encampment Corps from November 1941 just before the Attack on Pearl Harbor to around March 1945. Among them, 14 Encampment Corps were deployed, with a majority of more than 100 people. The timing of their input is mainly concentrated in 1943 and 1944, and it is judged that the area where the Encamlment Corps they were deployed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war. In 1942 in the Solomon Is. and Eastern New Guinea, in 1943 in Western New Guinea and Indonesia, in 1944 the Mariana Is., the Philippines and Ogasawara Is., and in 1945 in Okinawa.
    In the case of the 15th Encampment Corps, the largest number(1,201 people) out of a total of 41 Encampment Corps which ‘Koreans’ were put in, and it is noteworthy that all of them were confirmed to have died. These deaths were caused by the Imperial Japanese military's ‘reckless operation’ called Operation Port Moresby. The major mobilization status of the ‘Korean’ who were put into the 15th Encampment Corps are as follows.
    First, people from North and South Jeolla-Do regions in their 20s and 30s with a strong workforce were mobilized mainly. Also, many people from North and South Chuncheong-Do were mobilized. There is a pattern of being mobilized in a specific area and being put into a specific unit at a specific time.
    Second, unlike the process of organizing and moving the 15th Encampment Corps, they were put into the 15th Encampment Corps at Rabaul via Truck(current Chuuk) in Busan. This is contrary to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research that shows the pattern of ‘Koreans’ input into the region and generally goes through ‘one month of preparation and training after formation’.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newly grasp tha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in the mobilization of Encampment Corps.
    Third, since most of the ‘occupations’ are not confirmed, more detailed information cannot be grasped, but overall, it is believed that it was put into the transport of supplies from Eastern New Guinea to the South Sea Detatchment, construction of roads, and defensive positions in coastal areas. In particular, ‘chief engineer’, the highest rank among wokers, occupies more than half, and in some ranks, the timing of promotion and death are coincident, so most of the additional rank listed are considered to be ‘post-management’.
    Fourth, the timing of their deaths is very widespread from August 1942, immediately after being put into Eastern New Guinea, until February 1943, when they were defeated. Of these, 120 people(about 10%) died during the attack and retreat of the South Sea Detatchment between September and November 1942, and most of the other personnel(1,011, about 85%) attacked the landing point by allied forces. It is believed to die in the process of defending and defeating.
    Lastly, the number of people dying from diseases such as malaria and malnutrition is confirmed from September 1942, just after landing, and the scale is about 10%(120 people). This clearly shows the extreme situation that was in short supply from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