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對日本 國書의 서술 전략과 정치적 함의 - 일본의 대조선 국서와 비교하여 (A Study on the Narrative Strategies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Joseon's the Sovereign's Message for Japan - With comparison with Japan's the Sovereign's Message for Joseo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4.12
36P 미리보기
조선시대 對日本 國書의 서술 전략과 정치적 함의 - 일본의 대조선 국서와 비교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연구 / 46호 / 301 ~ 336페이지
    · 저자명 : 이은영

    초록

    본고는 일본과의 교린 관계에서 국왕의 이름으로 주고받았던 國書를 대상으로 양국 관계의 양상과 추이에 따른 서술 전략을 살피고 그 정치적 함의를 고찰하는 목표로 하였다.
    국서의 書式을 둘러싼 朝ㆍ日간의 갈등은 조선이 군사적 문화적으로 우위에 있던 조선 전기에는 두드러지지 않다가 삼포왜변을 전후로 조짐이 보이기 시작하여 임란 후 통교를 재개하면서부터 심화된다. 이는 중국의 명ㆍ청교체를 계기로 조일 양국이 자국중심의 대외인식을 확대하면서 외교적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의도와 맞물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서식의 문제는 違式이라는 외교적 결례와 改作이라는 사안의 중대성에도 불구하고 우호관계를 유지하고자 하였던 양국의 노력으로 避諱字에 대한 합의와 문서작성 체계의 개편 등 정치적 차원에서 타협이 모색되었다.
    서식 논란의 이면에 국서 갈등의 보다 더 근본 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던 것이 양국 특유의 서술방식과 표현 전략이다. 일본의 국서가 미사여구와 아유적 표현, 직설적 감정 표현 등을 특징으로 하면서 외교 목적이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서술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데 반해, 조선 국서는 공손하면서도 완곡한 표현과 예의 바른 태도, 명확하고 논리적인 의사 전달을 서술의 목표로 삼았다. 일본의 국서가 실리와 친화성을 중시하였다면 조선의 국서는 예와 공식성에 무게를 두었고, 일본의 국서가 변화하는 정세와 이해관계에 따라 국서의 서술 방식을 달리하였다면 조선의 국서는 변하지 않는 유교적 가치에 의미를 두고 원칙에 입각한 국서를 지으려 했다. 특히 조선은 일본 국서에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실리 위주의 외교 방식과 무력 중시의 관념에 대해 명분과 예ㆍ의 등 유교적 이념을 앞세워 설득하려 하였다. 이는 일본보다 문화적 도덕적으로 우월하다고 하는 자부심의 표현이었다.
    국서의 서술 방식과 표현을 둘러싼 양국의 갈등은 겉으로는 동등한 敵禮國으로 대우하지만 속으로는 유교 문화의 계승자라는 자부심이 충만했던 조선과, 무력을 확장해가면서 일본식 華夷觀을 형성하고 있었던 일본 양국이 불가피하게 겪어야 했던 역사와 시대의 산물이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narrative strategies of Joseon for the Sovereign's Message according to the patterns and shift of Joseon-Japan relationships and examine their political implications.
    There were no conflicts that emerged regarding sentence forms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former half of Joseon when Joseon was superior to Japan in the military and cultural aspects. Signs of such conflicts started to appear around the Japanese Invasion of Sampo and grew worse after Joseon resumed its friendly relations with Japan in the wake of the end of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Those developments seem to have corresponded with the intentions of both Joseon and Japan to expand their ethnocentric perceptions of external worlds and secure diplomatic leadership as Ming Dynasty was replaced with Qing Dynasty in China. The two countries reached political compromises on the issues of the sentence forms including the agreement on Words that should be avoided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documentation system based on their efforts to maintain friendly relations in spite of diplomatic discourtesy called the violation of the form and the importance of adaption.
    The major causes of the Sovereign's Message's conflicts behind the form controversy were the unique narration methods and expression strategies of the two countries. While the Japanese the Sovereign's Messages were characterized by flowery words, flattering expressions, and straightforward expressions of emotions and implemented a narrative strategy of revealing its diplomatic goals plains, the Sovereign's Messages of Joseon set polite and euphemistic expressions, well-mannered attitudes, and clear and logical communication as the goals of narration. The Sovereign's Messages of Japan placed importance on practical interests and affinity, whereas those of Joseon placed more weight on courtesy and formality. Unlike Japan that varied its narration methods for the Sovereign's Messages according to the changing circumstances and interests, Joseon tried to write its the Sovereign's Messages based on the unchanging Confucian values and a set of principles. Joseon particularly strove to persuade Japan with its causes and Confucian ideas such as courtesy and righteousness for Japan's diplomatic approaches focused on practical interests and force-based concepts plainly disclosed in its the Sovereign's Messages.
    The conflicts over the narration methods and expressions of the Sovereign's Messages between Joseon and Japan were the inevitable products of history and the times between Joseon, which treated Japan as its equal with courtesy on the surface but was filled with the pride that it was the successor of Confucian culture on the inside, and Japan, which was expanding its force and forming a Japan-centric 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