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60년대 북한의 ‘저′대[大笒]’에 관한 고찰-『조선음악』․『조선예술』 소재 기사를 중심으로- (An Inquiry into North Korea’s Jeodae[大笒]Used from 1950s to 1960s-Focusing on the Articles in Joseon(朝鮮) Music and Joseon Art-)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0.12
21P 미리보기
1950~60년대 북한의 ‘저′대[大笒]’에 관한 고찰-『조선음악』․『조선예술』 소재 기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68권 / 325 ~ 345페이지
    · 저자명 : 문주석

    초록

    1950~60년대 북한에서 진행된 저′대에 관한 다양한 논의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하여 1950~60년대에 북한에서 발간된 음악전문 잡지 『조선음악(朝鮮音樂)』과 종합예술잡지 『조선예술(朝鮮藝術)』에 수록된 저′대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950~60년대 북한 저′대 관련 기사에는 악기적 특성과 연주적 특성 그리고 저′대 개량에 관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기사 내용을 통하여 저′대를 둘러싼 전통의 보존과 현대적 계승에 관한 북한 내부의 흐름을 읽을 수 있었다. 연구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대의 음향적 특성은 깊숙하고 은은하면서도 야무지게 둥그런 투명한 소리와 우아하고 부드러운 음색과 인간의 내면세계에 감응할 수 있는 심미적 효과까지 연결하였다.
    둘째, 저′대 연주의 방향성은 조선의 음악적 정서와 주법을 중심으로 악기의 특성을 발현해야 하며, 양악식 표현 또는 맹목적 모방 주법은 지양해야 하는 의견을 파악하였다.
    셋째, 저′대 개량은 탁성의 제거와 전조를 원활하기 위한 악기의 음량 및 구조 개량 그리고 악기의 재질도 나무 저′대 및 도자기 저′대의 변화사례도 확인하였다.
    넷째, 고음 저′대의 개발과 현장 적용사례를 확인하였다.
    1950~60년대 북한의 저′대는 민족 악기 개량 사업과 민족관현악 편성에 필요한 악기구성의 조건을 충족해야 했다. 전통의 보존과 현대적 계승의 관점이 공존하는 시대상황에 놓여있었다. 저′대 개량의 진행과정에서 도출된 다양한 음악들과 예술가들의 의견과 주장 그리고 논리들은 현 시점에서도 되새겨볼 사항이다. 본고는 선행연구에서 나타나는 외부적 시선에서 진행한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북한 지역 내부자 관점에서 저′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articles relevant to Jeodae[大笒] included in Joseon(朝鮮) Music, a music magazine and Joseon Art, a comprehensive art magazine published in North Korea from 1950s to 1960s, in order to figure out various discussions on Jeodae in North Korea in the period. The articles involve how this instrument had been modernized as well as its music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properties.
    Through the investigation into these articles the study finds out arguments on the presevation and modern inheritance of Jeodae inside North Korea. The findings are as the following: Firstly, Jeodae, with elegant and soft timbre, acoustically features in its deep and soft, yet firm and clear sound making aesthetic effect that drives inner response of humans.
    Secondly, there are opinions on the performance of Jeodae that the players should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instrument by focusing on the musical sentiment of North Koreans and its playing techniques, and that its expression in or blind following of the Western music style is to be sublated.
    Thirdly, Jeodae had been modified not only in its volume and structure to ease the modulation and to remove dull tones, but also in its materials as wood to ceramic.
    Fourthly, it is found that high pitched Jeodae were developped and applied in the field.
    From 1950s to 1960s, North Korea’s Jeodae had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during which the improvement project of national instruments and orchestration of national music required. North Korea was in the state of times that arguments coexisted that the tradition should be preserved and that it should be inherited in modernization.
    The various music produced in consequence of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Jeodae and the views and arguments of its artists are cogitable at this time.
    This study intends to help comprehend Jeodae from insiders’ point of view in North Korea while supplementing the precedent researches revealing limitations due to its conduction from the outsiders’ view poi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