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조~현종대 정몽주 인식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during the time from Injo’s reign through Hyeonjong’s reig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9.10
36P 미리보기
인조~현종대 정몽주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포은학회
    · 수록지 정보 : 포은학연구 / 24권 / 243 ~ 278페이지
    · 저자명 : 김보정

    초록

    본고는 17세기 인조반정이후 편찬된 유계의 『여사제강』과 홍여하의 『휘찬여사』를 통하여 인조~현종대 정몽주 인식을 살펴본 연구이다. 16세기 사찬사서에서 거의 삭제되었던 정몽주의 고려 말 공양왕대 행적이 17세기 사찬사서에서 다시 수록되고 있다.
    유계는 율곡학파의 학맥을 이은 김장생-김집의 학풍을 이어 당대 송시열, 송준길, 이유태, 윤선거 등과 더불어 호서사림의 주축이자 서인의 대표적 인물이다. 유계가 인조대 서술한 『여사제강』은 조선후기 서인-노론의 대표적 역사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인조대 편찬된 『여사제강』의 정몽주 관련 내용을 살펴보면 공양왕 4년 4월 기사에서 그 이전 사서와는 달리 정몽주를 살해한 주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문하시중 정몽주를 살해하였다.’라고만 서술하고 있다. 그 이면에는 조영규를 보낸 인물은 태종 이방원이지만 이방원의 배후에는 태조 이성계가 있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었다. 이렇듯 유계가 『여사제강』에서 직설적으로 정몽주를 살해한 배후로 태조 이성계를 암시할 수 있었던 것은 인조 역시 성리학의 대의명분에 따라 반정으로 옹립된 왕이므로 가능하였던 것이다.
    홍여하는 퇴계학파의 학맥을 이은 유성룡-정경세의 학풍을 이어 정도응, 이구, 이원일, 유천지 등과 교유하는 등 영남 남인의 대표적 인물이다. 홍여하는 효종 10년 『휘찬여사』를 완성하니, 이는 조선후기 남인의 사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홍여하는 생전에 「포은전」을 읽고 고려 말 정몽주가 옥사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감동을 받아 그의 관직 생활에서도 이를 실천하려고 노력하였다. 특히,「독포은전유감(讀圃隱傳有感)」, 「포은선생찬(圃隱先生贊)」 등을 남길 정도로 정몽주에 대한 마음이 남달랐다.
    『휘찬여사』의 정몽주 관련 내용을 살펴보면 정몽주가 살해된 장소를 선죽교라고 구체적으로 지목하고 있다. 이전 사서에서는 ‘귀로(歸路)’ 혹은 ‘노(路)’ 등으로 막연하게 서술되었는데 최초로 선죽교를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고려사』 정몽주 열전에만 수록되어 있던 부모삼년상을 치른 내용이 이 시기 『휘찬여사』에서 다시 수록되고 있다. 『휘찬여사』가 완성될 무렵, 당시 기해예송이 발발한 시기로서 복제문제로 인한 영향이라 보여진다. 이는 유계의 『여사제강』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내용이다.
    17세기 사찬사서인 『여사제강』과 『휘찬여사』는 학맥과 정파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공교롭게도 모두 공통적으로 수록되고 있는 것은 고려 말 절의지사에 대한 내용이다. 『고려사』 열전에도 수록되지 않았던 고려 말 절의지사 길재, 서견, 이양중, 김주, 원천석 등 5인에 대한 열전이 오운의 『동사찬요』에서 처음으로 수록되면서 『여사제강』은 「공양왕기」 말미에 단편적으로, 『휘찬여사』는 독립된 열전으로 각각 수록하고 있다. 즉, 17세기 인조반정이후 서인과 남인으로서 정책을 달리할지라도, 절의에 대한 인식은 다르지 않다는 것을 함축하고 있다. 그 기저에는 16세기 이후 임진왜란, 정묘호란, 병자호란 등의 전란과 명의 멸망으로 인해 성리학적 대의명분을 찾게 되는 것과 맞물려 절의에 대한 인식이 고조된 시대적 정황이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정황은 당대 사서편찬에서 반영되어 조선전기에는 거론되기 힘들었던 내용들이 조선후기로 이르면서 차츰 희석되어 정몽주를 살해한 주체 및 살해된 장소 선죽교가 비로소 사서에 등장하게 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is a study investigated about the recognition for Jeong Mong-Ju during the time from Injo’s reign through Hyeonjong’s reign through Yeosajegang of Yu Gye and Hwichanyeosa of Hong Yeo-Ha compiled after the Injobanjeong in the 17th century. Jeong Mong-Ju’s works of the late Goryeo Dynasty, which were deleted from the 16th-century’ history books, are being reprinted in the 17th-century’ history books.
    Following the academic tradition of Kim Jang-Saeng and Kim Jip, Yu Gye was a mainstay of Hoseo Sareim and a representative figure of the Seo-in, along with Song Si-Yeol, Song Joon-Gil, Lee Yoo-Tae and Yoon Sun-Geo. His description of Yeosajegang was a representative historical book of Seo-in and Noron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In the Yeosajegang, which was compiled during the Injo’s reign, in an article published in April of the fourth year of Kongyang’s reign, it did not specify the subject of the murder of Jeong Mong-Ju, unlike the previous librarian, but only states, ‘Jeong Mong-Ju was murdered.’ Behind it was Taejong Lee Bang-Won, who sent Cho Young-Gyu, but Taejo Lee Seong-Gye was behind Lee Bang-Won. It was possible because Injo was also a king who was founded as a reactionary according to the cause of Neo-Confucianism that he was directly behind the murder of Jeong Mong-Ju in the Yeosajegang.
    Hong Yeo-Ha was a representative figure of a man in Yeongnam, following the academic tradition of Yoo Seong-Ryong-Jeong Gyeong-Se, and socializing with Jeong Do-Eung, Lee Gu, Lee Won-Il and Yoo Cheon-Ji. Hong Yeo-Ha have completed Hwichandyeosa in the 10th year of Hyojong’s reign, which has established itself as a librarian for Nam-in of the late Chosun Dynasty. Hong Yeo-Ha have read “Poeunjeon” during his lifetime and was moved by Jeong Mong-Ju’s handling of the prison system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so he tried to practice it in his official life.
    In the details of Jeong Mong-Ju in Hwichandyeosa, it was specifically pointed to the place where Jeong Mong-Ju was killed at the bridge of Seonjuk. The previous librarian vaguely described as ‘road’ for the first time in its book. And three-year parental ancestral rites, which were only included in Goryeosa are being reviewed by Hwichandyeosa during this period. At the time of the completion of Hwichandyeosa, there was an impact from the copy problem since the Gihae Yeseong occurred at that time. This was something that was not found in the Yeosajegang.
    Despite the differing academic context and political factions, the 17th century Yeosajegang and Hwichandyeosa both contained content on Jeoleuijisa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s story comtained about the five people, including Gil-Jae, Seo-Kyeon, Lee Yang-Jung, Kim Ju and Won Chun-Seok of the Goryeo Dynasty, was first included in Oh Un’s Dongsachanyo, Yeosajegang is a piecemeal piece at the end of book and Hwichandyeosa as an independent. In other words, it implies that even though the policies differ as Seo-in and Nam-in after the Injobanjeong in the 17th centur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Loyalty. The base was contained a period situation in which awareness of the word of Loyalty has increased in line with wars such as the Imjin War, Jeongmyo War, Byongja War, and the collapse of the Myong Dynasty since the 16th century.
    This situation was reflected in the book’s compilation of history books of the period, and the details that were hard to be mentioned in the early Chosun Dynasty gradually diluted into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e place where Jeong Mong-Ju was killed at the bridge of Seonjuk, the person who killed Jeong Mong-Ju, and appeared in the history boo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포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