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중근·우덕순의 정체성과 김훈의 '하얼빈' -‘포수’ ‘무직’ ‘담배팔이’ 對 ‘의병’ ‘대한국인’- (The Identities of Ahn Jung-geun and Woo Deok-soon, and Kim Hoon’s Novel Harbin -“Hunter” “Unemployed” “Cigarette Seller” vs “Righteous Army” “A Korean”-)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3.02
48P 미리보기
안중근·우덕순의 정체성과 김훈의 '하얼빈' -‘포수’ ‘무직’ ‘담배팔이’ 對 ‘의병’ ‘대한국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81호 / 187 ~ 234페이지
    · 저자명 : 도진순

    초록

    김훈의 소설 『하얼빈』은 ‘포수, 무직, 담배팔이’ 세 단어를 등대처럼 내세워 안중근과 우덕순에게서 ‘영웅의 그늘’을 걷어내고 ‘청춘’의 ‘내면’을 드러내었다고 자부하였고, 여러 언론들도 그렇게 상찬하였다.
    안중근이 첫 신문에서 ‘포수’라고 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은 동지와 친지를 보호하기 위한 시간 벌기 전술에 지나지 않았다. 이후 옥중에서 안중근은 자신이 ‘한국’의 ‘의병 중장’임을 누누이 강조하였다. ‘무직’ 또한 그가 ‘직업적 의병’이라는 것의 다른 표현이었다. 반면 우덕순의 ‘담배팔이’는 ‘의병과 무관하다’는 일종의 複話術로 안중근과 다른 방향으로 나아갔다.
    1910년 2월 14일 사형 선고를 받은 이후 안중근은 자신이 죽어야 하는 이유를 깊이 사유함으로써, 이토를 죽인 ‘영웅’에서 나아가 수난받으며 죽어야 했던 仁弱한 한국인의 한 사람, 즉 ‘大韓國+人’으로 인식하였다. 이 ‘大韓國人 安重根’이 그의 모든 유묵에 손바닥 인장(掌印)과 더불어 남긴 서명이며, 그가 도달한 최종적 자기 정체성이다. 이 ‘대한국인’을 통해서 안중근은 ‘대중’과 함께하는 사람이 되어 한국의 국경을 넘어 동아시아 및 세계 대중과 연대할 수 있는 출발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안중근은 ‘포수, 무직’에서 ‘의병’으로, 다시 ‘대한국인’으로 나아갔지만, 소설 『하얼빈』은 ‘포수, 무직’을 ‘청춘’이란 이름으로 찬양하여 안중근이 나아간 자기정체성의 성취를 역주행하였다. 또한 영웅의 그늘을 걷어낸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영웅전이 되었다.

    영어초록

    Kim Hoon boasts of shedding light on three representative words, hunter, unemployed, and cigarette seller, to remove the “shadow of heroism” and reveal the “inner world of youth” from Ahn Jung-geun and Woo Deok-soon in his novel Harbin. Likewise, numerous media outlets also praised the novel.
    Albeit Ahn Jung-geun states the word hunter during the first interrogation, such wording was nothing more than a delaying tactic to protect his comrades and relatives. Later, Ahn Jung-geun repeatedly emphasized that he was a “Lieutenant General of the Righteous Army of Korea” while in prison. The term unemployed was another expression of a “professional righteous army.” On the other hand, Woo Deok-soon’s cigarette seller was a type of ventriloquism meaning “irrelevant to righteous armies,” which went in a divergent direction from Ahn Jung-geun.
    After being sentenced to death on February 14, 1910, Ahn Jung-geun contemplated why he had to die. His contemplation moves beyond the “hero” who killed Ito evolving into one of the ordinary compassionate but vulnerable Koreans who had to suffer and perish during the period. This “Ahn Jung-geun, a Korean” is the signature on all his calligraphies alongside a palm seal, and it represents the final self-identity he has reached. Through this “a Korean,” Ahn Jung-Geun, as one of the “general public,” may become a starting line for solidarity beyond the borders of Korea to the public of East Asia and, further, the world.
    To recapitulate, Ahn Jung-geun moved from being a hunter and unemployed to being a part of “a righteous army” and ultimately became “a Korean.” Nevertheless, the novel Harbin erroneously praises hunter and unemployed in the name of “Youth,” which rather retrogresses the achievement of self-identity that Ahn Jung-geun had achieved. Consequently, the novel becomes another hero narrative instead of removing the shadow of hero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