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철종대 처용무 연구 (A Study on the Cheoyong-mu in the Era of King Cheol-j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3.06
30P 미리보기
철종대 처용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용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용사학 / 14호 / 119 ~ 148페이지
    · 저자명 : 김은자

    초록

    그동안 처용무는 그 춤의 실체에 다가갈 수 있는 무보가 소략하여 단편적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었다. 『(정사년) 정재무도홀기』는 철종대 처용무의 연행모습을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 기록물이다. 이 글에서는 『(정사년) 정재무도홀기』에 수록된 처용무를 분석하고, 이를 『악학궤범』과 비교하여 춤 절차 및 반주음악 등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지 확인하였다. 아울러 조선후기에 처용무에 나타난 변화를 검토하고 그 원인을 추론하였다.
    정사년 홀기의 처용무 춤 순서는 회무(回舞)→주선(周旋)→일휘(一揮)→오방대무→제행(齊行)→대무→우선(右旋)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이 순서는 두 번째 절차가 주선과 대무로 차이를 보이는 점만 제외하면, 회무(回舞)→대무(對舞)→오방삼진작대검무(五方三進作隊劍舞)→대무→회무의 순으로 기술한 『증보문헌비고』의 처용무와 대체로 일치하는 순서였다. 그리고 처용무의 춤 대형은 회무대형→일렬대형→오방대형→일렬대형→회무대형으로 진행하는 순환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여기서 가장 핵심적인 대형은 오방대형이었는데, 황처용이 흑․청․홍․백 순서로 초대무(初對舞)를 추고, 다시 상대무를 추는 동작으로 이루어졌다.
    『악학궤범』과 정사년 홀기의 처용무를 비교한 결과, 조선전기와 철종대 처용무의 핵심 춤 동작인 회무와 오방대무 등은 그대로 전승되었으며, 각 동작의 순서나 내용에는 축소 및 탈락의 재편과정이 나타났다. 조선전기와 철종대 처용무 모두 시작과 마무리 동작으로 회무 혹은 회선을 사용하였으며, 특히 입장할 때는 왼쪽으로 회무하였다. 각 처용이 오방대형을 만들어 황처용을 중심으로 대무하는 동작 역시 조선전기에서 철종대까지 꾸준히 계승된 처용무의 핵심동작으로 파악되었다. 반면에 무룹디피무, 홍정도돔무, 정읍무, 환장무 등은 철종대 처용무에서 대응되는 춤동작을 찾기 어려웠다. 조선전기와 철종대 처용무의 반주음악은 <정읍>이 유일하게 공통으로 쓰인 반주음악이었으며, 철종대에는 <여민락령>, <향당교주>, <미후사> 등의 곡으로 바뀌었음을 확인하였다.
    조선후기의 궁중 연향에서 나타나는 처용무의 연행양상에는 두 가지 변화가 따랐다. 첫 번째는 처용무가 영조대까지 마지막 작의 진대선 이후에 파연무로 연행되었으나 정조대 이후 연향 절차에 변화가 생기면서 진대선 절차와의 상관성이 약화되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처용무가 대체로 연향의 후반부에서 공연되었다는 점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두 번째로 고종대 연향에서 처용무가 연행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고종대 연향에는 어느 시기보다 다양한 정재가 공연되었다는 점에서 그 이유를 밝히는 작업은 추후 과제로 남겨두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analyzed Jeonsa-nyeon Jeongjae Mudo Hol-gi (丁巳年 呈才舞圖笏 記) made during King Cheol-jong times and made a consideration on the change of dancing orders, instrumental accompaniment compared with Akhakgwebeom (樂學軌範).
    In the (Jeonsa-nyeon) Jeongjae Mudo Hol-gi (丁巳年) 呈才舞圖笏記, the order of Cheoyong-mu was written as following : hoemu (回舞) → juseon (周旋) → ilhwi (一揮) → obangg deamu (五方對舞) → jehaeng (齊行) → deamu (對舞) → useon (右旋). The sequence of Dancing formation proceeded as following circulation structure : hoemu formation (回舞隊形) → ilnyeol formation (一列隊形) → obangg formation (五方隊形) → ilnyeol formation (一列隊形) → hoemu formation (回舞 隊形). In those formation, obangg formation (五方隊形) as the core sequence was composed of chodea-mu(初對舞) and sangdae-mu(相對舞) dancing by yellow Cheoyong(黃處容).
    Comparing with Akhakgwebeom (樂學軌範), I could find continuing and changing points of Cheoyong-mu since the early Joseon period. And in the late Joseon, there were 2 changes of Cheoyong-mu, firstly, the change was appeared between Era of King Yeong-jo(英祖代) and Era of King Jeong-jo(正祖代). Secondly, during Era of King Go-jong(高宗代), Cheoyong-mu was hardly find to be performed.
    Later, I will make a research on the reason of those chan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용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