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후기 對元관계 (Koryo-Mongol Relations: Merchants and the Attempts to Abolish the Koryo Stat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05.10
17P 미리보기
고려후기 對元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만주학회
    · 수록지 정보 : 만주연구 / 3호 / 61 ~ 77페이지
    · 저자명 : 이정신

    초록

    고려는 30여년간 몽고와의 전쟁을 견디지 못하고 항복하였다. 오랫동안 저항의 전리품으로 몽고는 고려의 자주권을 인정하고 그들의 영역에 편입시켰다. 드러나 원은 고려를 철저한 이이제이책으로 통 치하였다. 즉 邊陽 - 淸州의 홍복원 왕준을 우대하였으며,이어서 왕준의 위상이 약화된 후에는 심양 왕(심왕)제도를 만들었다. 그리고 고려의 내정을 간섭하기 위해 다루가치를 파견하고 정동행성을 설치 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원 황제의 직접 명령을 받은 사신을 파견하였다. 이같은 자주성 상실이 부원배 와 그 아래에서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세력이 결합되어 입성책동이 일어났다.
    입성론은 무려 6차례나 일어났다. 1 - 2차 입성론은 홍중희,3차가 고려관리 유청신 오잠,6차가 기철에 의해 일어났다면 4、5차 입성론은 중국의 漢人들에 의해 일어났다. 고려와 이해관계가 있을 것 같지 않은 한인들의 입성 주장 배후에는 고려 상인층이 있었다고 판단된다. 몽고로부터 몽고인,색 목인,한인,남만인의 순서로 엄격한 차별대우를 받았던 한인들은 관리가 되어 출세하기는 어려웠다. 한인들 중 특히 강남사람들은 주로 상업과 무역에 종사하여 많은 부를 취득하였는데 그들은 고려와도 활발하게 교류하였다.
    원이 강대한 세계제국으로서 각국의 물자가 원의 연경과 주변 항구에 들어오게 되자 고려 역시 원 과의 무역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무역상의 가장 큰 불만은 고려가 원의 지배와 간섭을 받으면서도 관 세는 외국인과 같이 많이 지불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그들이 많은 돈을 벌어 하나의 세력을 형성하게 되고, 또한 부를 토대로 충숙왕 충혜왕의 후원을 받아 중앙 정계까지 진출하게 되자 입성을 은밀하게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입성론이란 고려라는 나라를 없애는 중대한 문제이므로 특별히 정권장 악에 실패한 일부 인사를 제외하고는 찬성하는 자가 많지 않았다. 그러므로 그들은 한족을 끌어들여 그들로 하여금 원에서 입성을 논의하게 한 것이 4,5차 입성론이 아닌가 한다. 그러나 이는 대다수 의 고려인은 물론이고 원에서도 부정적이었다. 특히 고려에서 입성론에 대한 비판이 그치지 않아 입 성을 주장했던 유청신은 고려에 돌아올 수 없었다. 입성론을 주장하는 자들이 극소수에 불과했다는 점은 고려의 국가의식이 살아날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고 생각한다원간섭기를 벗어나고 조선왕조가 수립되면서 명의 쇄국책과 더불어 조선의 무역은 크게 축소되었 다. 원간섭기에 발달한 상업과 무역이 조선왕조에 들어서면서 약화된 것은 조선의 정책뿐 아니라 상 인들이 지배층과 결탁하여 백성의 수탈체제 위에서 주로 사치품 위주로 거래하였다는 점,부의 축적 을 위해서는 입성도 마다하지 않았던 상인의 행태가 질타를 받음으로서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것도 하나의 원인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영어초록

    Koryo fiercely resisted Mongol invasions for more than three decades before it finally surrendered. KoryO was the only East Asian state that retained its own kingship and maintained some degree of autonomy under the Mongols. Nevertheless, the Yuan control of KoryO was unprecedented, and the Mongol Yuan court compromised the authority of Koryd kings by favoring Hong Pogwdn and Wang Chun in Manchuria and later establishing a separate Korean monarchy of Shenyang-wang (1307-1310) or Shen-wang (from 1310) who exerted power over Koryo people living in the Liaodong region. There were also proposals to downgrade the KoryO state from kingdom to the province, progressed to serious level before the Yuan court finally abandoned the idea. Of the six attempts to destroy Koryo as a separate political entity, it appears that the fifth and sixth attempts were provoked by Han Chinese. Han Chinese did not seem to have any direct stake in KoiyO, but there had Koryo merchants behind them.
    As the Mongol court favored Mongols and semu and discriminated against Han Chinese for government service, many, especially in South China came to work in commerce and trade with Koryo. Although Koiyo was a part of the Mongol empire, it remained a separate state and merchants had to pay tariff at higher rate. Thus, the merchants strove to put forward a proposal to abolish the Koryo state, but there were strong opposi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Choson Korea and Ming China, interstate trade declined substantially. That some had proposed the abolition of the Korean state may led to a backlash against merchants in ChosOn and may partly account for the decline of international tra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