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업 없는 공학 — 1950-60년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지향과 현실 (Engineering without Industry: The Vision and Realit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Engineering in the 1950s and 60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8.09
33P 미리보기
공업 없는 공학 — 1950-60년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지향과 현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119호 / 41 ~ 73페이지
    · 저자명 : 강기천, 최형섭

    초록

    이 글은 본격적으로 국가 혁신 체계의 일부로 편입되기 이전 공학 교육의 사정을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당시의 공과대학의 교수와 학생들은 한국전쟁 이후 전후 복구가 이루어지고 산업화가 진행되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공대 졸업생이 한국 사회에서 담당해야 하는 역할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표출했다. 특히 조선, 철강, 기계 등 아직 한국에 해당 분야 산업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한분야를 전공한 공학도들은, 배후 산업이 부재한 상황 속에서 고뇌할 수밖에 없었다. 나아가 일부 공대 교수들은 자신들의 존재 근거인 공업이 부재한 상황 속에서해외 사례를 바탕으로 한 막연한 이상론으로 미래 비전을 구축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학보 『불암산』 및 각종 매체를 통해 드러난 공학 연구와 교육에 대한 담론은 한국의 공과대학이 기능 인력을 양성하는 직업훈련소와과학기술 교육 및 연구 기관 사이에서 스스로의 자리를 모색하려는 모습을 드러내는 자료이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의 공학도들은 한국전쟁 이후 미국으로부터 상당한 규모의 원조를 받아 전후 복구 사업을 진행했고, 이를 계기로 제2차 세계대전이후 미국의 공과대학들이 차지하고 있었던 것과 유사한 역할을 맡게 되리라는생각을 품었다. 하지만 서울공대 교수들의 미국화(Americanization) 구상은 불완전할 수밖에 없었다. 후발 산업화를 막 시작한 한국의 맥락이 미국의 그것과 달랐을 뿐 아니라, 한국의 정치 지도자들이 대학을 국가 개발 프로젝트의 파트너로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공과대학이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은 외부의 영향으로 특정한 방향으로 제한/굴절되었고, 한국 사회에서 공과대학의 역할이 오늘날 우리가 당연시하는 것과 달라졌을 가능성도 있었다. 공과대학이 오늘날과 같은 형태가 된 것은 오히려 1960년대의 현실과 맞지 않는 지향점을 당시 공과대학이 좇았기 때문이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situ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before it was integrated into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 by focusing on the College of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in the 1950s and 60s. During this period, the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of the College of Engineering expressed various opinions on the role engineering graduates should assume within the context of South Korean society undergoing postwar recovery and industrialization.
    In particular, students in fields lacking mature industry, such as naval architecture, metallurgy, and mechanical engineering, were bound in a dilemma. Moreover, some faculty members of the College of Engineering, with no industry to refer to, tried to construct a vision of the future of engineering based on foreign cases,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The discourses on engineering research and education found in Bulam Mountain, the official magazine the SNU College of Engineering and other media show that colleges of engineering in Korea struggled to secure their place somewhere between a vocational school training technical experts for industry and an institute for research and education on “engineering science” training researchers. The SNU College of Engineering began to recover from the damage of the Korean War with U.S. aid, and constructed a vision that SNU will assume a role similar to that of American engineering schools within post-World War II United States. However, the South Korean vision of Americanization was inherently incomplete. Not only was its context of late industrialization vastly different than that of the United States, but also the South Korean political leaders during the 1950s and 60s refused to accept universities as partners in the project of national development. As a result,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 pursued an ideal that was markedly removed from the harsh realities of the South Korean industry of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