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첨성대의 靈臺적 독법과 신라 왕경의 三雍제도 관점 (An Interpretation of Chumsungdae as Yeongdae and a Realizing of Samong Institutions onto the Capital of Silla Kingdom)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0.04
27P 미리보기
첨성대의 靈臺적 독법과 신라 왕경의 三雍제도 관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18호 / 5 ~ 31페이지
    · 저자명 : 김일권

    초록

    국보 31호인 경주 첨성대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관한 기존 연구사 검토와 관점을 개괄하면서, 첨성대를 고대 동아시아적 천문 관대의 이름인 영대로 보고자하는 새로운 시각을 논술하였다. ≪삼국유사≫에서 첨성대 축조시기가 특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후 전승되는 과정에서 633년설, 647년설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고려말을 지나 조선조에 들어 첨성대 인식이 점점 확장하면서 선덕여왕의 즉위년과 몰년을 축조시기로 비정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비판적 사료 검토를 시도하였다. 선덕여왕 이후 통일신라 300년 동안 첨성대를 활용하여 천문관측한 내용이나 어떤 관련 흔적도 기록되어 전하지 않기 때문에 여전히 미스테리이지만, 7세기 당시 고대 동아시아 역사천문학사 관점에서 천문 성점 망기 측후 관대로 인식되고 운영되었던 영대의 기능과 성격이 신라 첨성대에 부여된 것은 아닐까하는 새로운 관점 개진을 시도하였다. 첨성대를 영대로 볼 수 있다면 그렇다면 영대, 벽옹, 명당을 하나의 상관물로 인식하여 삼옹제도로 구축하였던 후한시대의 삼옹 예제 문화가 신라 중대 사회에 투영되는 문제를 개진하였으며, 이 때 군신연회를 베풀던 임해전은 벽옹, 시조 탄강지의 제천 유지인 나정은 명당에 해당할 것이다. 더불어 7세기 동시대 당나라의 천문제도와 천문의기 제작 문제, 이것의 신라로의 수입 문제 등 보다 교류사적이고 실질적인 측면에서 논의할 촉구하였으며, 이에 고대 동아시아 관대의 역사와 의기의 연구를 통해 첨성대 연구 기반을 확충할 것을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I argued that Silla Chumsung-dae, known as Korean oldest astronomical observatory during Three Kingdom dynasty, was named for ancient Yeong-dae, one of East asian astronomical observatory names. Chumsung-dae was believed to be constructed in 633 or 647 year, but I discussed this record was accepted after late of Koryo dynasty to Choseon dynasty. We don't know still when it was constructed exactly, because there were not record to any observing trace through using this structure, nor any relating astronomical relics, at all. I think these conditions could not lead us to see it one of modern astronomical observatories. If that, I suggested the structure could been constructed as the Yeong-dae, one of three institutional systems, we called Sam-ong institution. Three institutional Sam-ong systems were composed of Myong-dang of ancient political ideal system, Pyok-ong of ancient educational system and Yeong-dae of old astronomical, astrological or meteorological observation in the Late Han dynasty. If we can see Chumsung-dae as Yeong-dae, I argue that we can also consider Silla Imhae-jun of royal banquet as Pyok-ong, Na-jung of Na-eul divine palace as Myong-dang in view of realizing Silla Sam-ong system onto the capital Kyeongj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