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맥락으로 본 황금대(黃金臺) 기사의 주제 의식과 그 의미 (The Theme and Meaning of Hwang-Keum-Dae Story in terms of Context)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2.11
27P 미리보기
맥락으로 본 황금대(黃金臺) 기사의 주제 의식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52호 / 239 ~ 265페이지
    · 저자명 : 박수밀

    초록

    본고는 연암의 황금대 관련 기사를 구성하는 외부 맥락에 주목하여 「황금대」와 「황금대기」의 주제의식을 살펴보고 그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본 것이다. 먼저는 황금대의 관습성과 장소 신화에 대해 살폈다. 황금대는 유교적 치도(治道)와 복수설치(復讐雪恥)를 실현한 상징적 공간이었다. 황금대 앞에서 후례초현(厚禮招賢)의 임금을 기리거나, 인재가 사라진 현재를 쓸쓸해하거나, 자신을 알아주지 못하는 현실을 슬퍼하는 행위는 조선조 전후기 내내 상투적으로 지속되었다. 황금대는 일종의 성지 순례지의 성격을 갖고 있었으며, 통치 세력의 입장에서는 통치 질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했다. 그런데 연암은 황금대는 없으며 허울좋은 명칭에 불과하다고 한다. 황금대의 역사적 전개를 이해하고 황금대에 대한 인식을 들여다보면, 연암은 장소 신화가 되어버린 황금대의 무장소성을 조롱하고 있었다. 두 번째는 ‘노이점’이란 인물의 상징과 소중화주의에 대해 살폈다. 「황금대」를 이끌어가는 중심인물인 노이점은 북벌(北伐)에 집착해 중국[淸]이라면 무조건 배척하고 중화(中華)의 것이라면 무조건 숭배하는 완고한 소중화주의자들을 대표했다. 황금대는 무너지고 그 실체마저 사라져 버렸건만, 노이점은 현재의 실상을 짐짓 외면하고 기를 쓰며 과거의 황금대를 찾아 헤맸다. 연암은 노이점을 내세워 과거의 도그마에 사로잡혀 현재의 실체를 인정하지 못하는 완고한 북벌론자들을 은근히 조롱하였다. 셋째, 황금대의 상징과 복수설치의 허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암은 황금대를 둔 목적이 복수설치(復讐雪恥)라고 보았다. 연암은 황금은 인간의 욕망을 채우기 위한 복수의 도구일 뿐임을 증명함으로써 황금대의 신성성을 파괴하였다. 「황금대기」는 겉으로는 황금에 대한 욕망이 불행한 결과들을 낳았으니 재물을 조심해야 한다는, 지극히 교훈적인 주제를 이야기하였다. 그렇지만 이면에서는 조선 사회가 그토록 숭앙해마지 않는 황금대의 실체를 폭로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었다. 연암에 의해 황금은 복수의 도구가 되었고, 이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당시 북벌론자들의 복수설치(復讐雪恥)와 연결되었다. 그리하여 황금의 허망함은 곧 황금대의 숭고성을 퇴색시켰고, 이는 기를 쓰고 황금대를 찾아가 연 소왕을 기리며 지금의 강대국 청나라에 복수할 것을 다짐하는 북벌론자들의 허구성을 꼬집는 데로 나아갔다. 「황금대」, 「황금대기」는 당시 가장 강력한 지배 이념이었던 북벌과 소중화주의의 허상을 은근히 비꼬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 작품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Hwang- Keum-Dae-Kee’ in terms of external context containing the articles about it and to consider its meaning. Firstly, the customs and place mythology are researched in it. Hwang Keam Dae is the symbolic space of realizing the politics of Confucianism and Bok Soo Seol Ch’ee. There are typical activities, through the whole beginning and later of Chosun dynasty, of reminding the kings of who were incomparably greater than before of regretting for the lack of the intellectual, of sorrowful mind for the reality not to recognize oneself. Hwang Keum Dae is a kind of holy place, functioning as a tool of keeping the ruling political power for ruling authorities. However, Yeon Am claimed that there was no Hwang Keum Dae and it was just a nominal name. According to him, in deeply reviewing the historical process of Hwang Keum Dae and the appreciation of it, he ridiculed the lack of place in real of Hwang Keum Dae just as a place mythology. Secondly, the symbolic person of ‘No Lee Jeom’ and ‘Little Sinocentrism’ are reviewed. The key man leading ‘Hwang-Keum-Dae’, No Lee Jeom, seems to be very cling to conquer the north, so at any reasons he neglects China(Ch’ong dynasty) and respects Middle Kingdom (Myoung dynasty) as a symbolic person of ‘Little Sinocentrism’. Hwang Keum Dae was destroyed and disappeared, but No Lee Jeom did not look at the reality, only searching for the past golden ages. Yeon Am, through No Lee Jeom, looked down on the people who claimed conquering the north, having no appreciation of the reality because of their strong past dogmatism. Thirdly, the symbol of Hwang Keum Dae and the illusion of Bok Soo Seol Ch’ee are revealed. Yeon Am claimed that the purpose of Hwang Keum Dae is Bok Soo Seol Ch’ee. According to him, the gold (Hwang Keum) is just a tool to fulfill human desire, so he destroyed the holiness of Hwang Keum Dae. ‘Hwang-Keum-Dae-Kee’ appealed the cautionary tale that human desire for the gold (Hwang Keum) causes the tragedy, so people have to be careful of it. However, inside there is revealed the hidden intention to expose the reality of Hwang Keum Dae to be highly respected by the society of Chosun dynasty. By Yoen Am, Hwang Keum became a tool for vengeance, so in the historical context, it was connected with Bok Soo Seol Ch’ee of the people claiming to conquer the north. Therefore, the emptiness of Hwang Keum made the holiness of Hwang Keum Dae faded, and it led the point of criticizing the emptiness of people claiming to conquer the north who eagerly sought for Hwang Keum Dae, missing king So of Yoen dynasty, intending to revenge the current strong Ch’ong dynasty. ‘Hwang Keum Dae Kee’ is a problematic work of criticizing the emptiness of conquering the north and little sinocentrism ruling over those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