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충남 서산 대로리 일대 토양 내 석면의 광물학적 특성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of Asbestos in Soil at Daero-ri, Seosan, Chungnam, Korea)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4.10
10P 미리보기
충남 서산 대로리 일대 토양 내 석면의 광물학적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수록지 정보 : 자원환경지질 / 47권 / 5호 / 479 ~ 488페이지
    · 저자명 : 김재필, 정혜민, 송석환, 임호주, 이우석, 노열

    초록

    최근 석면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산업적 이용 규제 및 석면포함물질 처리 뿐 아니라 자연발생석면의 이해와 정화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암석 내 산출되는 자연발생석면의 특성이나 풍화작용을 거쳐 토양 내잔류하는 자연발생석면에 대한 기존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변성퇴적암류가 기반암인 충남서산 대로리 일대의 토양 내 자연발생석면의 존재를 확인하고 석면형(asbestiform) 광물의 산출양상 및 광물학적 특성을 통해 석면오염토양의 효과적인 정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토양의 입도 분리 및 광물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토양 내 무게 백분율은 모래가 26~93%, 미사가 4~23%, 점토가 3~70%이며, 토성은 사토(sand), 사양토(sandy loam), 사질 식토(sandy clay), 식토(clay)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 모든 시료에서 석면형 투각섬석과 석면형 양기석이 함께 산출되었고 석면의 함량은 평균 1.5%로 미국 EPA 기준(1% 이상)에 따라 석면 포함물질로 분류되었다. 모래에 존재하는 투각섬석은 벽개가 발달한 주상 형태로 평균 길이 288 μm, 폭 69 μm, 종횡비 4.1:1의특징을 보인 반면, 미사에 존재하는 투각섬석은 평균 길이 49.2 μm, 폭 5.8 μm로 크기는 더 작고 종횡비가 8.5:1인개별섬유 형태로 나타났다. 이는 투각섬석이 풍화작용을 받으면서 종횡비는 커지고 형태는 비산이 가능한 개별 섬유로 바뀐 것으로 사료된다. 5 μm 이상 크기의 석면형 투각섬석과 석면형 양기석의 함량은 토양 중 미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석면오염토양 정화 시 입도 분리를 이용한 선택적인 석면 제거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Naturally occurring asbestos (NOA) from disturbance of rocks and soils has been overlooked as a source ofexposure that could potentially have a detrimental impact on human health. But, few researches on mineralogicalcharacteristics of NOA occurred in soil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investigate th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NOA occurred in soils at Daero-ri area, Seosan, Chungnam Province,Korea. Sedimentation method was used for particle size separation of the asbestos-containing soils. XRD andPLM analyses were used to characteriz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mineral assemblages in soils. SEM-EDSand TEM-EDS analyses were used to characterize mineral morphology and chemical composition. Particle sizeanalyses of the asbestos-containing soils showed they were composed of 26-93% sand, 4-23% silt and 3-70% clay.
    Soil texture of the soils was mainly sand, sandy loam, sandy clay, and clay. PLM analyses of the soil showed thatmost of the soil contained asbestiform tremolite and actinolite. The average content of asbestos in the soil was1.5 wt. %. Therefore, the soil can be classified into asbestos-contaminated soils based on U. S. Environmental ProtectionAgency classification (content of asbestos in contaminated soil > 1%). Morphologically different types oftremolite such as long fibrous, needle-like, fiber bundle, bladed and prismatic forms co-existed. Prismatic tremolitewas dominant in sand fraction and asbestiform tremolite was dominant in silt fract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prismatic form of tremolite transform gradually into a fibrous form of tremolite due to soil weathering becausetremolite asbestos was mainly existed in silt fraction rather than sand fra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자원환경지질”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