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의 對高句麗 戰爭과 北方大鎭 七重城 (The Silla-Goguryo War and Chiljungseong, the large military base on the northern frontier of Silla)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4.02
27P 미리보기
新羅의 對高句麗 戰爭과 北方大鎭 七重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94호 / 149 ~ 175페이지
    · 저자명 : 윤성호

    초록

    칠중성은 신라의 북쪽 변경인 임진강 유역에서 가장 중요한 요충지였다. 본고에서는 삼국의 항쟁이라는 흐름 속에서 칠중성에서 발생한 신라와 고구려의 전투를 살펴보고 자 하였다. 칠중성이 위치한 임진강은 주상절리가 발달하여 자연적인 방어선이 되었고, 양국의 접경을 이루었다. 638년에 신라의 칠중성은 고구려의 공격을 받았다. 이때 신라는 왕경과 한주의 군대를 총괄하는 대장군 알천을 파견하였다. 이를 통하여 신라가 칠중성을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 660년 백제가 멸망한 직후에 신라는 고구려와 두 번째 칠중성 전투를 벌였다. 고구려도 위기의식을 느끼면서 남쪽 변경의 안정을 위해서 칠중성을 공격한 것인데, 전투 중에 필부가 전사하는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어서 신라는 고구려에게 술천성과 북한산성도 공격을 받았다. 이러한 정황을 통해서 신라는 일정기간 칠중성을 상실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662년 1월에 신라군은 칠중하를 도하하여 평양에 진출한 당군에게 보급작전을 수행하였다. 신라군은 고구려에게 저항을 받지 않고 칠중하를 도하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신라는 이 무렵에 칠중성을 탈환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667년에 신라가 고구려의 칠중성을 공격하여 교통로를 확보하였다는 기록도 확인된다. 이와 같이 신라는 칠중성을 두고 고구려와 치열한 쟁탈전을 벌였다. 이후 나당전쟁 중에 당이 칠중성을 신라의 북방대진으로 인식한 것처럼 칠중성은 신라의 대고구려 전쟁과 영역확장 과정에 가장 중요한 관방시설 중 하나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Chiljungseong was the most important point in the Imjingang River basin, the northern frontier of Silla. This paper examines the battle between Silla and Goguryeo in the Chiljungseong amid the trend of the Three Kingdoms' resistance. The Imjingang River, where Chiljungseong is located, became a natural defensive line due to the development of columnar joints and created a natural boundary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638, Silla's Chiljungseong was attacked by Goguryeo. At this time, Silla dispatched Daejanggun Alcheon.
    Immediately after the collapse of Baekje in 660, Silla engaged in the second Battle of Chiljungseong with Goguryeo. Feeling a sense of crisis, Goguryeo also attacked the Chiljungseong to stabilize the southern border, and damage occurred when the Pilbu was killed during the battle. Subsequently, Silla was also attacked by Goguryeo at Sulcheonseong and Bukhansanseong. Through this circumstance, it is highly likely that Silla lost Chiljungseo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January 662, the Silla army conducted a supply operation to Tang troops who entered Pyongyang by Doha of Chiljungha. The Silla army crossed the Imjingang River without being resisted by Goguryeo. In this respect, Silla seems to have recaptured Chiljungseong around this time. However, it is also confirmed that in 667, Silla attacked Goguryeo's Chiljungseong and secured a transportation route.
    In this way, Silla fought a fierce scramble with Goguryeo over the Chiljungseong. Later, during the Silla-Tang War, just as the Tang recognized Chiljungseong as the large military base on the northern frontier of Silla, Chiljungseong was at the center of the historical trend in Silla's expan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