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봉의 『선요』에 대한 비판적 연구 (Critical Research on Gao-Feng's 高峯 Seon yo 禪要 (Essentials of Seon), in Comparison with Daehye's 大慧 Letters 書狀)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3.12
40P 미리보기
고봉의 『선요』에 대한 비판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37권 / 141 ~ 180페이지
    · 저자명 : 정성욱

    초록

    한국 불교 간화선은 대혜에서 전해온다고 보기보다는 조선 후기이후로 『선요』를 강원의 교재로 채택함에 따라 고봉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왔다. 그러나 『선요』에 나타난 고봉의 간화는 대혜의 간화와 비교해 볼 때 많은 차이점이 있다. 대혜의 간화가 의정에 주안점을 두고 의심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익숙해지면 간화수행이 힘을 더는 것을 발견하게 됨으로써 득력처가 된다고 한다. 그러나 고봉은 의정에 대해서는 결과적 확신을 가지고 처음에는 그냥 밀어붙이고 죽기 살기로 노력하다가 보면 득력처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고 한다. 그래서 무자화두를 들려고 애쓰다 보면 일상생활 속에서 별다른 용력을 쓰지 말고 의심이 발현하면서 공부가 된다고 하는 대혜에 비하여 고양이 그림을 죽기 살기로 그리다 보면 붓 끝에서 산 고양이가 돌출한다고 하는 고봉의 화두는 전혀 다른 논리와 수행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현금의 한국불교의 많은 수행자들은 고봉의 간화를 간화선이라고 배우겠지만 본고는 고봉의 간화를 대혜의 간화와 비교분석함으로써 몽산의 간화와 유사한 ‘만드는 화두’의 일종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수행적 화두는 한 경계를 깨달을 때 까지 무한한 노력이 필요하여 성공할 확률이 거의 없으므로 오늘날 간화선이 수행자로부터 외면 받게 되었고 중생제도는 요원한 일이 되어버린 원인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고는 오늘날 한국불교 간화선 침체의 원인이 고봉의 간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고봉의 화두에 대한 개념과 화두 드는 방식, 의정을 유지하는 과정, 득력처에 대한 견해, 깨달음에 대한 입장, 그리고 대분심을 대혜의 『서장』과 비교하면서 분석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By adopting Seon yo 禪要 (Essentials of Seon) as the textbook for seminar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Korean Ganhwa Seon 看話禪 was directly influenced by Gao-Feng 高峯, rather than following Daehye's 大慧 lineage of Ganhwa 看話. Gao-Feng's 高峯 concept of Gwanhwa 看話 (questioning a koan) as expressed in the Seon yo 禪要 is different from that of Daehye's 大慧 on many points. Daehye focuses on the feeling of doubt 疑情, stating that feelings of doubt would naturally arise and that once accustomed to this feeling, one will notice the burden of Ganhwa practice lessen in the mind. The easing of this burden would become the source of power 得力處 for further practice. In contrast, Gao-Feng said that one should have the conviction that enlightenment will eventually occur about the feeling of doubt, and that one should practice as if to the death at first, eventually discovering the source of power along the way.
    In other words, Daehye says that as long as one makes an effort to practice the hwadu 話頭 (similar to Jp. koan) in everyday life, the feeling of doubt will emerge without any extra effort and aid one's practice. This is absolutely different from the logic and discipline of Gao-Feng, who says that only after trying to draw a cat in a do-or-die effort will a live cat spring out from the canvas.
    And yet many disciples of Korean Buddhism has held Gao-Feng’s method of practice as the standard of Ganhwa Seon practice, and dismiss Daehye's method as a kind of hwadu-in-the-making, like Mengshan's 蒙山.
    However, there is little chance in succeeding with Gao-Feng's ‘Disciplinal Hwadu’ because it requires infinite effort to achieve enlightenment. Thus, today Ganhwa Seon 看話禪 has become ignored by the practitioners of Korean Buddhism while making the task of saving mankind a remote possibility.
    Therefore, I argue that the cause of Ganhwa Seon's stagnation in Korean Buddhism today originated from Gao-Feng's 高峯 Seon yo 禪要. I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eon yo 禪要 with Daehye's 大慧 Letters 書狀, focusing on their concept of the hwadu 話頭, methods of practice,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feeling of doubt 疑情, obtaining a source of power 得力處, and their positions on Enlighte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