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慈藏과 華嚴의 관련성 고찰‒ 中國五臺山 文殊親見의 타당성을 중심으로 ‒ (A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ajang (慈藏) and Hwaeom (華嚴) - Focusing on the Validity of Encountering Manjusri at Wutaishan (五臺山) in China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6.02
33P 미리보기
慈藏과 華嚴의 관련성 고찰‒ 中國五臺山 文殊親見의 타당성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77호 / 257 ~ 289페이지
    · 저자명 : 염중섭

    초록

    한국불교사에서 화엄이 차지하는 위상은 매우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 의상이전에 入唐한 인물인 자장과 화엄의 관계가 주목되는 것은 당연하다. 자장에대한 국내 전승 자료에는, 화엄과 관련된 五臺山 文殊信仰의 모습이 강하게드러나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1차 자료인 중국 道宣의 「慈藏傳」에는 자장의 五臺山行이 전혀 기록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하여 자장과 화엄의 관계는新羅下代의 華嚴家들이 윤색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본고는 자장의 전기 자료에 대한 치밀한 史料 분석과 새롭게 발견된 신 자료를 토대로, 자장과 화엄의 관계를 검토한 것이다.
    이를 통해서 먼저 자장이 입당하기 이전에, 이미 중국오대산의 불교문화가신라의 河曲縣에까지 들어와 있었다는 점, 그리고 자장 이전에 중국오대산이문수보살의 성지이자, 異蹟의 靈場으로써 확고한 자리매김을 하고 있었다는점을 분명히 하였다.
    또 도선의 佛蹟巡禮와 오대산에 대한 기록의 영향으로, 자장이 불적순례를떠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오대산행이 이루어졌다는 점을 밝혀 보았다. 특히새롭게 발견된 閔漬의 「開創祖師傳記」를 통해서, 자장의 오대산행이 642년에이루어진 것이라는 점. 또 자장이 오대산의 東臺를 먼저 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중 동대의 등장은, 敦煌文書인 「五臺山讚」과 연결고리가 확보된다는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이상의 연구 접근을 통해서, 자장의 오대산행에 대한 보다 분명한 판단이가능하게 된다. 이는 자장이 화엄과 관련된 인물임을 변증하는 것인 동시에, 신라하대의 화엄가들이 자장을 끌어들이게 되는 실질적인 이유라고 하겠다.

    영어초록

    The status of Hwaeom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s very important. Because of this,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waeom and Jajang, who had traveled to Tang (唐) China. In the written texts passed down in Korea, the appearance of belief in Manjusri began at Wutaishan and is tied to the Hwaeom School.
    However, in 「Jajangjeon (慈藏傳)」, one of the most important texts of Chinese Daoxuan (道宣), there is no mention of Jajang traveling to Wutaishan (五臺山行). For this reason, arguments were sometimes mad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Jajang and Hwaeom had been embellished by the Hwaeom School (華嚴家).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Jajang and Hwaeom based on a thorough analysis of historical biographical materials about Jajang and on newly-found data. Through this, it was clear that the Buddhist culture of Wutaishan had already come far to Hagokhyun (河曲 縣) in Silla prior to Jajang’s traveling to Tang China. Furthermore, Wutaishan was already considered the “holy land” of Manjusri and a spritual field with different trace before Jajang. In addition, I found that, influenced by records about holy Buddhist sites and Wutaishan, Jajang made a pilgrimage to these sites and to Wutaishan. In particular, through a newly-found Founder Buddhist Monk Biography (「開創祖師傳記」) by Minji (閔漬), I found that Jajang left for Wutaishan in 642 and first visited 慈藏과 華嚴의 관련성 고찰 / 염중섭(자현) 289 Wutaishan’s Dongtai (東臺, Eastern Terrace). The reference to Dongtai is very suggestive in view of making a connection with Praise on Wutaishan (「五臺山讚」), which is a Dunhuang Document (敦煌文書). The research approach I used enables us to make a clearer judgment about Jajang’s trip to Wutaishan. This demonstrates that Jajang is connected to Hwaeom, and at the same time, this could be the real reason Jajang was attracted to the Hwaeom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