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大芚寺成造所日記』를 통해 본 조선후기 사찰의 식생활과 음식문화 (Eating and Food Culture of Late Chosun Buddhism Based on The Diary of Sungjoso at Daedun Temple(大芚寺成造所日記))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2.08
44P 미리보기
『大芚寺成造所日記』를 통해 본 조선후기 사찰의 식생활과 음식문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52호 / 217 ~ 260페이지
    · 저자명 : 한수진

    초록

    본 논문에서는 1900-1901년 해남 대둔사(현 대흥사) 성조소에서 작성한 일기 형식의 금전출납부인 『대둔사성조성일기』를 바탕으로 텍스트 분석을 통해 조선후기 사찰의 식생활과 음식문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둔사성조성일기』에 따르면 대둔사의 재원은 보사청 운영에 따른 결세와 시주금이었다. 비록 결세가 대둔사에서 고정적으로 확보 가능한 년간 수입원이기는 하였으나, 조선후기에 가면서 재원 규모가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재원 규모의 위축은 사찰 식생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었을 것이나, 전라도 지역의 저렴하고 안정적인 쌀값은 대둔사에서 쌀밥 위주의 공양을 가능하게 하여, 궁핍한 생활은 면할 수 있었다. 또한, 감태·미역·김 등의 지역 특산물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었고, 특히 감태의 구매가 많아 이를 활용한 음식이 발달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와 더불어 대둔사에서는 채소, 김치, 장류, 두부 등의 구매가 거의 없어 사찰에서는 자급자족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음식은 주로 된장과 간장, 들기름과 참기름 등의 양념을 사용하여 맛을 내어, 맵거나 단 음식의 제공은 거의 없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구한말부터 일본 식문화의 영향을 받아 다시마, 능이, 생강 등이 사찰음식의 식재료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측된다. 아울러 대둔사에서는 건축 불사에 참여하는 관료들과 인부들을 위해 어육류를 구매하여 제공하였고, 음주문화가 발달한 사회적 배경으로 인해 이들에게 연잎주와 특수 누룩으로 빚은 고급술을 접대하였으며, 불사 관련 제의식 제수는 유교식을 따르며 재가 사회의 식문화를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조선후기 사찰의 식생활과 음식문화는 사찰의 재원 규모 뿐만 아니라 시장경제와 사회의 식생활 문화에 영향을 받으며 형성되었다. 이는 불교 식문화가 불교사상과 규범 이외에 재가 사회와의 상호관계 속에서 형성되고, 유지되며, 발전함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e main source of Daedun temple income was the farm leasing fee and temple donations given by lay people. The farm leasing fee was reduced over the years but it seems that it did not cause the monks to have a poor standard of living because the rice price in Jeolla Province was quite stable so the monks could eat enough rice. Also, the varsities of seafood from the province influenced the temple to develop seafood as a temple food. Additionally, the Daedun temple was self-sufficient, growing vegetables and made by themselves for soybean paste and soy sauce. From the early 20th 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food culture, kelp, Sarcodon aspratus, and ginger were used for cooking temple food. Moreover, the Daedun temple bought meat and seafood for the construction laborers and brewed rice wine for the visitors. This means that from the Koryo dynasty until the late Chosun era, temples were allowed to make rice wine and had maintained a drinking culture, which the lay society enforced, and the temple accepted to build up its culture, even though the monks were against the Buddhist precept of not drinking alcohol.
    Thus, the eating and food culture in late Chosun Buddhism was affected by the financial scale of the temple, the market economy status, and the culture and lifestyle of the lay society. This indicates that the Buddhist culture may have been created not only by the Buddhist thoughts and discipline of the Sangha but also by communicating and assimilating with the lay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