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萬波息笛ㆍ利見臺 설화의 형성 과정과 <<周易>>과의 관계 추론 (An Assumption 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Legends of Manpasikjeok(萬波息笛) and Yigyeondae(利見臺),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Book of Change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1.12
37P 미리보기
萬波息笛ㆍ利見臺 설화의 형성 과정과 &lt;&lt;周易&gt;&gt;과의 관계 추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37호 / 65 ~ 101페이지
    · 저자명 : 윤태양

    초록

    이 글에서는 『三國遺事』 万(萬)波息笛조 및 그 유관 문헌에 담긴 『周易』의 상징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전까지 해당 조목은 특히 利見臺와 관련하여 乾卦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그렇지만 『高麗史』에 실린 「利見臺歌」와 『삼국유사』 만파식적조에 인용된 感恩寺 「寺中記」에서 미루어 볼 때 ‘이견대 설화’의 원전은 현재의 만파식적조와 일정한 차이가 있었으며, 문헌 정립 과정에서 설화에 일정한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하였다. 또한 682년설과 690년설이 병존함으로부터, 만파식적․이견대 설화가 중층적으로 형성되었을 것이라고 보았다.
    나아가 『주역』 「說卦傳」을 참조하여 감은사가 乾卦, 이견대가 震卦에 대응하는 공간이며, 만파식적ㆍ이견대 설화가 최초에는 690년 5월 8일(夏至) 전후를 중심 배경으로 작성되었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후 이러한 구성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은, 巽卦의 상징성 및 曆日ㆍ卦爻의 변화에 대한 인식을 반영해 682년 5월을 배경으로 재구성된 결과로 보았다.
    이후 震卦의 상징성을 고려할 때, 만파식적ㆍ이견대 설화의 1차적 형성은 中代 神文王 대로부터 멀지 않은 시점에 이루어졌다고 이해하였다. 이 1차 텍스트는 下代 元聖王 대에 변형되었으나, 그에 대한 반발을 수습하고자 9세기 초 2차 텍스트가 작성된 것으로 보았다. 그 작성 주체는 金庾信 一家였을 것이며, 이들은 이를 통해 중대에서 하대로의 이행을 震卦에서 巽卦로의 이행에 유비하려 하였다고 여겨진다. 이는 신라 내에서의 易學의 성숙을 반영하며, ‘The Book of Changes’라고도 번역되는 『주역』의 ‘변화’ 개념을 내면화한 것으로도 헤아려진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tried to analyze the records on Manpasikjeok(万波息笛, 萬波息笛) to discover symbols of The Book of Changes(周易) in them. The former researches mostly attempted to find out the symbols of Hexagram Qian(乾卦) in them, which i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name of Yigyeondae(利見臺). However, “Song of Yigyeondae”(利見臺歌) in Goryeosa(高麗史) and Record in the Temple(寺中記) of Gameunsa temple(感恩寺) show some differences of the legend of Yigyeondae with “Manpasikjeok” article in Samgukyusa(三國遺事). It also implies the changes which occurred in the process of documentation of the legends. The coexistence of the opinions on the text, which claim the background year was 682 or 690, demonstrates their multi-layered formation.
    I estimate Gameunsa temple was involved with the symbols of Hexagram Qian and Yigyeondae did so with the symbols of Hexagram Zhen(震卦) in the original text, referring to Discussion of the Trigrams(說卦傳) in The Book of Changes. Following that, I think the legends were firstly documented, setting the background time around May 8th in 690, the date of the summer solstice of that year. Other symbols, I guess, were originated from the symbols of Hexagram Xun(巽卦), considering on the date in the calendar and the change of Hexagram and Line(卦爻). The second text is assumed to have located background time in May 682.
    Given the symbols of Hexagram Zhen, the legends were firstly documented in the near time from King Shinmun(神文王)’s era. This first text was modified in the King Wonseong(元聖王)’s era in the later period(下代) of Silla. I guess, however, to soothe the reaction to that action, the second text was documented in the early 9th century. It may be re-written by the descendants of Kim Yusin(金庾信). Also, they are thought to have created a metaphor, which made people feel correspondence between the transition from the middle period of Silla(中代) to the later period and that from Hexagram Zhen to Hexagram Xun. This situation shows the academic maturation of the study on The Book of Changes by writers in Silla, who scholarly internalized the concept of ‘Changes’ in the scrip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