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인칭대명사 ‘나’, ‘わたし’, ‘I’에 관한 통시적 관점에서의 대조 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the first person pronouns on ‘나’, ‘わたし’, ‘I’ from the historical change of view)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8.05
20P 미리보기
1인칭대명사 ‘나’, ‘わたし’, ‘I’에 관한 통시적 관점에서의 대조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연구 / 105권 / 1호 / 83 ~ 102페이지
    · 저자명 : 민승희

    초록

    本論文は韓国語の‘나’、日本語の‘わたし’、英語の‘I’を取り出して、通時的な観点から変遷上の特徴を対照分析し、それぞれの相違点や共通点などを明確にしようとする目的をもって研究した。その結果を整理すると次のようである。 第一、韓国語の‘나’は変遷上、謙称としての役割が無くなるようになり、目上の聞き手には使われなくなった。一方、日本語の‘わたし’は近世前期には目上の聞き手にだけ使われたが、近世後期になってからは対等や目下の聞き手にも使われるようになった。英語の‘I’は通時的に待遇価値を内包したことがない。 第二、韓国語の‘나’は‘저’の登場により、待遇価値の面の使用領域が縮小されるようになり、‘わたし’は待遇価値の面の使用領域は拡大された。‘I’は待遇価値を表現しなかったので、待遇価値による使用領域の通時的な変化はない。 第三、‘나’, ‘わたし’, ‘I’の中、‘나’, ‘I’は古代から現代まで使われ、全時代にかけて用いられた生命力が強い人称代名詞である共通点である。それに比べて、‘わたし’は近世から用いられ、相対的に使い始めた時期は遅れている。 第四、韓国語の‘나’は無標語から有標語に変化し、日本語の‘わたし’は無標語である時期は一度もなかった。一方、英語の‘I’は有標語である時期が一度もなかった。 第五、英語の1人称代名詞においては敬意の意味を含めた人称代名詞は存在しない。韓国語と日本語の人称代名詞は敬意による細分化が行われた。 第六、韓国語は‘저’と ‘나’は相互補完的な関係を形成しながら発展し、日本語の‘わたし’は既存の人称代名詞の体系に大きな影響を与えながら発展して行った。

    영어초록

    This study compares the first personal pronouns ‘나 ’ in Korean, ‘わたし’ in Japanese, ‘I’ in English from the historical change of view. The conclusions in this study shall be as follows.
    First, historically Korean '나' was not used as a moderate expression because of the appearance of '저'. Meanwhile, Japanese ‘わたし’ can be used even as a modest expression.
    Second, historically Korean '나'can be said that the area of use is narrowed. However, Japanese ‘わたし’ can be said that the area of use is expanded.
    Third, the pronouns '나' and 'I' have been used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On the other hand, 'わたし' has been used since the early modern times,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relatively late to start using it.
    Fourth, in Korean, the first pronoun pronoun '나' was one, but it increased to two. In Japanese, there has never been a single person pronoun in history. On the other hand, first person pronoun' I 'always existed only once in history.
    Fifth, there was no first personal pronoun which implies the meaning of honor in English pronoun. In Korean and Japanese, there was a differentiation of personal pronoun according to the respect.
    Sixth, '나' developed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저'. 'わたし' in Japanese developed while influencing the existing personal pronoun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