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北人계열 大瓠 朴의 삶과 瀋陽 생활의 시적 형상화 (A Study on Daeho(大瓠) Park-ro(朴)’s Life and Poetic Figurations in Shenya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4.03
34P 미리보기
北人계열 大瓠 朴의 삶과 瀋陽 생활의 시적 형상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87호 / 31 ~ 64페이지
    · 저자명 : 김묘정

    초록

    이 글은 大瓠 朴(1584~1643)의 삶과 심양에서의 작시 양상을 살핀 것으로, 아직 논의된 바 없는 北人계열 문인인 대호를 새롭게 발굴하는 동시에 1630년대 심양을 또 다른 시선으로 들여다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이에 먼저 2장에서 대호의 생애를 개관하는 작업을 필두로 대호가 5차례나 심양을 방문한 특이한 이력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학계에 처음 소개되는 『大瓠先生遺稿』를 살핌으로써, 대다수의 작품이 심양에서의 감회를 읊는 데 치중되어 있음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대호의 심양 방문과 작시 양상을 살폈는데, 그 결과 첫 번째로 대호가 世子侍講院으로 업무를 담당하며 그들의 운자에 차운해 시를 창작함으로써 시강원・관원들과 감정을 공유하였음을 파악하였다. 두 번째로는 대호가 심양에서 머물며 개인적인 소회를 시로 표현한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내면 의식을 들여다보았다. 마지막으로는 1639년 심양에서 발생한 鄭雷卿 사건과 관련하여 대호의 시선을 따라가 보고자 하였다. 대호의 경우 이 사건으로 인해 상반된 평가를 받은 바 있기에, 그의 한시 속에 정뇌경이 어떻게 그려져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역사를 반추하는 동시에 대호의 태도를 새롭게 읽어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life of Daeho(大瓠) Park-ro(朴) and the aspects of his poetry in Shenyang, and was written to discover Daeho, a North Korean writer who has not yet been discussed, and to give Shenyang another perspective through a work of poetry in the 1630’s.
    Therefore, starting with the work of opening Daeho’s life in Chapter 2, it was confirmed that Daeho had a unique history of visiting Shenyang five times, and at the same time, the schedule of his visit to Shenyang by period was carefully reviewed.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system and contents of the 『DaehoseonsaengMunjib』, which is first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works contained in the anthology were focused on reciting the feelings of Shenyang.
    Next, in Chapter 3, through Daeho’s poetry work, his Shenyang activities and poetic imagery were confirmed.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Daeho was in charge of his work as Sigangwon and shared emotions with Sigangwon by creating poetry in their rhymes. Second, Daeho stayed in Shenyang and looked into his inner consciousness by analyzing the work that expressed his personal feelings in poetry.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Daeho expressed internal distress derived from longing for his homeland, expressed resistance to the heterogeneous landscape, and expressed the pain of living in Shenyang for a long time and difficulties in hospital beds. Lastly, I tried to follow Daeho’s gaze in relation to the Jeongnyeokgyeong(鄭雷卿) incident in Shenyang in 1639. In the case of Daeho, since this incident has received conflicting evaluations, he tried to reflect on history and read Daeho’s attitude anew by looking at how Jeongnyeokgyeong is depicted in his po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