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정은 시대 북한 ‘문학’ 교과서에 반영된 당 문예정책의 변화양상 연구 - 2014년판 고급중학교 1, 2, 3학년『국어문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Party's Literary Policies Reflected on North Korea's "Literature" Textbooks during the Kim Jong-Un Era - With a focus on the 2014 "Korean Literature" textbooks )

5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3.12
57P 미리보기
김정은 시대 북한 ‘문학’ 교과서에 반영된 당 문예정책의 변화양상 연구 - 2014년판 고급중학교 1, 2, 3학년『국어문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48호 / 373 ~ 429페이지
    · 저자명 : 김경숙

    초록

    김정은 정권이 들어선 직후인 2013년~2015년에 북한에서는 교과서가 개편되었다. 김정일 집권 시기인 1997년에 개정되었던 기존 교과서를 전면적으로 새롭게 개편한 것이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파격적인 것은 ‘문학’ 교과서의 개편 방향이다. 이와 같이 김정은이 집권하자마자 무엇보다 먼저 ‘문학’ 교과서 서술의 내용과 형식을 전면적으로 새롭게 개편하였다는 것은, 김정은 정권이 기존과는 전혀 다른 현실인식과 정치노선을 채택하고 있음을 함의하는 것이다.
    2014년판 새 『국어문학』 교과서는 네 가지 측면에서 매우 획기적인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첫째, 문학사를 통시적 형태인 ‘시대별 분류’에 따라 서술하던 데서 탈피하여 공시적 형태인 ‘주제별 분류’에 따라 서술하고 있다. 이것은 일종의 ‘탈역사화’ 경향으로서, ‘과거의 전통’보다 ‘현재의 삶’을 중시하는 쪽으로 시대적 지향가치가 달라졌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 수록작품을 시, 소설, 희곡의 ‘문학 장르’ 위주로 구성하던 데서 벗어나 영화, 가사, 수필의 ‘대중문화 장르’ 위주로 구성하고 있다. 이것은 일종의 ‘실용주의화’ 경향으로서, ‘사상적 순수성’보다 ‘정서적 공감대’를 추구하는 쪽으로 당과 인민의 소통방식이 변화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셋째, 창작주체를 인지도가 높은 ‘기성 작가’ 중심으로 선별하던 데서 이탈하여 인지도가 낮거나 없는 ‘신진 작가 및 비전문 작가’ 중심으로 선별하고 있다. 이것은 일종의 ‘세대 교체적’ 경향으로서, ‘중장년 계층’보다 ‘청년 계층’을 주축으로 삼는 쪽으로 사회적 주체가 이동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넷째, 지도비평의 방침을 ‘이념 지향’으로 설정하던 데서 방향 전환하여 ‘현실 지향’으로 재설정하고 있다. 이것은 일종의 ‘보편국가화’ 경향으로서, ‘이상적 가치’보다는 ‘실제적 가치’를 필요로 하는 쪽으로 북한 사회의 현실적 조건이 달라졌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김정은 시대 북한 ‘문학’ 교과서 개편 방향에서 나타나는 네 가지 변화의 공통분모는 기존의 것에 대한 전복이자 재구축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곧 지금까지 북한 체제의 근간이 되어왔던 주체사상과 백두혈통에 의한 통치에 균열이 발생했음을 반증하는 것이자, 당대 현실 자체를 다시금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할 필요성이 대두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문학의 대원칙으로 돌아가 현실 반영의 요소를 강화하고, 그 토대가 되는 인민의 삶에 더욱 집중하고자 하는 것, 이것이 바로 김정은 시대의 당 문예정책이 ‘문학’ 교과서 개편을 통해 의도한 변화의 방향성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North Korea reorganized its textbooks in 2013 ~ 2015 right after the Kim Jong-un regime came into power. It was a full-scale new organization for the old textbooks that were revised in 1997 during the Kim Jong-il administration. The reorganization direction for the "Literature" textbooks was especially unconventional. The Kim Jong-un regime reorganized the content and form of description in a whole new way for the "Literature" textbooks first right after its grasp of power, and it implies that the regime chose completely different perceptions of reality and political lines from the old regimes.
    The new "Korean Literature" textbook of 2014 shows considerably ground-breaking changes in three aspects. First, it depicts the history of literature according to "classification by topic" a synchronic approach, by escaping from the old "classification by period," a diachronic approach. This is a kind of "dehistoricization" tendency, signifying that the intended value of the times has made a shift from the "tradition of the past" to the importance on "present life." Secondly, the textbook contains mainly works of "popular culture genres" including movies, lyrics, and essays instead of the old composition focused on "literature genres" including poems, novels, and plays. This is a kind of "pragmatism" tendency, signifying that the communication methods between the Party and the people have changed from "ideological purity" to the pursuit of "emotional sympathy." Third, the textbook chooses creative subjects mainly among "rising writers and unprofessional writers" with low or no recognition instead of "established writers" with high recognition. This is a kind of "generational shift" tendency, signifying that the social subject has moved from the pivot of "the middle-aged" to the "young people." Finally, the policy of map criticism has been changed from 'ideological orientation' to 'reality orientation'. This is a kind of 'universal nationalization' trend, which means that the practical conditions of North Korean society have changed to require 'real values' rather than 'ideal values'.
    The common denominator of these three changes in the reorganization direction of the "Literature" textbook in North Korea under the Kim Jong-un regime is a movement to overturn and degrade the old things. This proves that cracks have happened to rule by the Juche Idea and Baekdu Lineage as the basis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means that a need has risen to understand and interpret objectively the reality of the times itself again. It tries to reinforce the elements of reality reflection and focus further on the life of people as its basis by returning to the broad principle of the socialist realistic literature. It is the directionality of the changes intended by the Party's literary policy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Literature" textbooks during the Kim Jong-un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