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代 지식인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蠻夷담론 - 君子堂日詢手鏡과 炎徼紀聞을 중심으로 (Discourse about man yi revealed from writings of Ming Dynasty intellectual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5.12
37P 미리보기
明代 지식인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蠻夷담론 - 君子堂日詢手鏡과 炎徼紀聞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어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어중문학 / 62호 / 27 ~ 63페이지
    · 저자명 : 최수경

    초록

    현대 중국의 55개 소수민족들은 과거에 중국에 거주했지만 ‘非 중국인’으로 분류되거나 주변 지역에 살던 ‘四夷’의 후손들이다. 이들 집단은 다양한 형태로 역대 중국 정부와 관계를 맺어왔고 중국인들에 의해 인식되고 기록되어왔다. 본고는 명대 지식인들의 ‘사이’들에 대한 담론, 특히 중국 서남부 지역에 거주하는 ‘蠻夷’들에 대한 담론을 분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주요 연구대상은 16세기 서남부 변경 지역을 묘사한 筆記 작품들이다. 1522년 완성된 王濟의 君子堂日詢手鏡)에서는 서남 지역의 非한족과 中原의 한족들 간의 차이와 경계를 집중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후 1560년 출판된 田汝成의 炎徼紀聞은 서남부 지역의 만이들 사이를 구분하고 분류하려고 시도한다. 전여성은 혈통과 외형, 문화적 관습 등 다양한 기준을 통해 이 지역 만이들의 종족성을 인식하고 구분한다. 또한 왕제와 전여성의 서술에는 모두 박물학적 특징이 보인다. 왕제는 이 지역의 비한족인들을 이 지역의 物과 병렬하여 배치함으로써 이들을 노골적으로 物化시키고 이들의 본성을 짐승과 연계시킨다. 반면 전여성은 비한족들을 비교, 분류하고 이들을 호명하고 정의를 내림으로써 이들을 지식과 정보의 대상으로 장악하고 자신들의 지식체계 속에 편입시킨다. 이는 바로 박물학의 최종적인 목표이기도 하다. 왕제와 전여성 모두에게 공통적인 것은 이들의 만이 담론 속에는 이들을 교화하고 문명화시키겠다는 의지가 그다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중국 정부는 전통적으로 다민족이 공존하면서 한족 중심의 문화로 통합되어야 한다는 ‘大一統’ 사상을 강조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공적 담론과는 달리 명대 한족 지식인들의 인식 속에서 이들은 통합이 아닌 분리의 대상이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55 minorities in modern China are classified either as ‘non(非)-Chinese’ though they used to live in China or as descendants of ‘四夷’(si yi, non-Chinese of the four quarters) who used to live in neighboring areas. Those groups had various forms of relationship with Chinese government and have been recognized and recorded by Chinese. This study is mainly aimed to analyze the discourse about ‘四夷’(si yi, non-Chinese of the four quarters) of Ming Dynasty intellects, particularly, about ‘蠻夷’(man yi) who used to live in South-western area of China. Main objects of study are 筆記(biji, informal jottings) works which described South-eastern area in 16thcentury. 王濟(Wang ji)’s 『君子堂日詢手鏡』(Jun zi tang ri xun shou jing) completed in 1522 intensively described differences and boundaries between non(非)–Han people of South-western are and Han people of 中原(central plains). Since then, 田汝成(Tian Rucheng)’s 『炎徼紀聞』(Yanjiaojiwen) published in 1560 tried to assort and classify ‘蠻夷’ in South-western area. Tian Rucheng recognized and assorted the ethnicity of ‘蠻夷’ through various criteria of lineage, appearance, and cultural customs. In addition, descriptions of both Wang ji and Tian Rucheng showed characteristics of natural history. Wang ji plainly made them materialized and connected their nature with animals by juxtaposing non-Han people with 物(things) in the area. On the other hand, Tian Rucheng compared and classified them. He dominated them as object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incorporated them into a knowledge system by naming and defining them. This is the final goal of natural history, too. One common point from both Wang ji and Tian Rucheng was that their discourses about ‘蠻夷’ didn’t include willingness to cultivate and civilize them. Traditionally, Chinese government has emphasized on ideology of ‘great unity’(大一統) that multi-ethnic groups should be unified into Han-centered culture, coexisting together. However, unlike these official discussions, ‘蠻夷’ was an object of separation, not of unification inside of Ming Dynasty intellects’ concep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어중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