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염에 의한 손상상태 연구 -서방광목천왕과 남방증장천왕 도상을 중심으로- (Study on Salt Damage Characteristics of Mural Painting in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Focused on the Icons of Virupaksha and Virudhaka-)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1.12
22P 미리보기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염에 의한 손상상태 연구 -서방광목천왕과 남방증장천왕 도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수록지 정보 : 고문화 / 98호 / 139 ~ 160페이지
    · 저자명 : 김설희, 문혜영, 이태종, 장성윤

    초록

    부석사 조사당 벽화는 현존하는 우리나라 벽화 중 가장 오래된 고려시대 사찰 토벽화이다. 이 벽화는 일제강점기에 해체 보존처리되어 현재 채색면 전반이 흐려지는 염 손상 오염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와 연관하여 채색층 박리‧박락과 같은 물리적인 손상도 확인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상 중 서방광목천왕과 남방증장천왕에 대하여 과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염 손상 현황과 특성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백색 염은 채색층 전반을 덮고 있으며 현미경 확대 관찰 시 육안으로 확인되는 부분 이외에도 미세하고 깊은 부위까지 염이 침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985년 과거 보존처리에서 이탈리아 프레스코 벽화의 염 제거 방법을 본 벽화에 시도한 흔적도 관찰되었다. 현미경 조사 결과, 채색층위의 구조는 황토색 바탕층, 뇌록색 바탕층, 백색 염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었다. 염 층위 두께는 남방증장천왕보다 서방광목천왕에서 얇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것은 과거 실시된 염 제거 연구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염의 광물조성 분석 결과, 대상 시편에서 석고(gypsum)와 셀라도나이트(celadonite)를 포함한 토양광물이 주로 동정되며, 채색층을 덮고 있는 백색 염 결정은 석고로 판단된다. 표면 원소분포 조사 결과, 벽화면 전반에서 칼슘(Ca)과 황(S)의 분포가 확인되며, 이를 백색 염 분포지도와 상호 비교하였을 때 염 분포 경향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사전자현미경 분석 결과, 시편의 표면 미세조직에서 판상형 점토광물 위에 염 결정이 성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앞서 현미경 관찰 결과에서 확인한 층위 구조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벽화 표면에 발생한 염 결정은 일제강점기 때 사용된 보존처리 재료인 석고에서 기인하였고 채색층에 고착되어 있어 염이 성장할수록 안료박락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판단하였다. 더불어 석고 염 제거에 관련한 심화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mural painting in the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is the oldest earthen mural painting in a temple of the mural paintings in Korea, built during the Goryeo Dynasty period. This relic, which was deconstructed and treated for conserv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developed problems with salt damage and contamination, which blurred the entire colored surface, as well as physical damage related to this, e.g., the desquamation or exfoliation of the colored layer. Thus, this study would discuss the salt damage characteristics, conducting a scientific analysis of Virupaksha and Virudhaka among other icons.
    As a result of the study, white salt covered the entire colored layer, and it was found that salt permeated into small and deep regions in the microscopic observation in addition to the parts visible to the naked eye. During a previous conservation treatment in 1985, a trace of the attempt of the method for removing salt used in the mural in Florence, Italy was also observed. Microscopic observation showed that all the structures on the colored layer consisted of the following order; ocher ground layer, neorok ground layer, and white salt texture. As for the salt layer thickness, it was thinner Virupaksha than in Virudhaka, which appears to be related to the salt removal experiment conducted in the preceding study. An analysis of the mineral composition of salt revealed that mostly, soil minerals, such as gypsum and celadonite, were identified in the target specimen, so the white salt crystals covering the colored layer are assumed to be gypsum. The survey of the distribution of surface elements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of calcium(Ca) and sulfur(S) was identified throughout the mural surface,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tendency of salt distribution when compared to the map of the distribution of white salt. As a result of SEM-EDS analysis, it was found that salt crystals developed on the phyllosilicate clay minerals in the superficial microstructure of the specimen,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layered structure found in the results of microscopic observation above.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judged that salt crystals on the surface of the mural resulted from gypsum, which was used as a conservation material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long with this, there is a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f additional damage as salt damage continues, and it is judg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f the removal of gypsum sal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