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唐代 武則天과 玄宗의 統一像 제작과 頒布 -諸州官寺를 통한 반포 및 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 Buddhist Images by Empress Wuzetian(武則天) and Emperor Xuanzong(玄宗) of Tang Dynast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1.12
26P 미리보기
唐代 武則天과 玄宗의 統一像 제작과 頒布 -諸州官寺를 통한 반포 및 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30호 / 89 ~ 114페이지
    · 저자명 : 소현숙

    초록

    무측천과 현종의 집권기인 7세기 후반과 8세기 전반은 당대 최고의 전성기였다. 중국 내에서는 통일적인 당대 불교문화가 수립되었으며, 동아시아적으로는 이른바 ‘동아시아 불교문화권’이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이 시기 통일적인 불교문화 형성의 배후에 황권에 의한 통일상의 복제와 반포가 존재했으며, 이것이 ‘諸州官寺制’라는 제도와 결합함으로써 매우 신속한 확산이 이루어졌음을고찰하였다.
    무측천은 미륵상과 관음상을, 현종은 자신의 상호를 한 진용의 등신불상과 비사문천왕상을전국적으로 반포했다. 무측천과 현종에 의해 이루어진 통일적인 형식의 불상은 각각 황권의 통치이념을 대표하거나, 혹은 ‘대중의 구제’라는 황제의 전륜성왕적 통치를 상징하였다. 다시 말해 황권에 의한 통일상의 복제와 반포는 왕즉불 사상의 시현이자, 불교와 대중에 대한 관리정책의 측면을 갖고 있었다.
    통일적인 형식의 불상은 무측천과 현종에 의해 장안과 낙양의 兩京, 그리고 300개가 넘는 전국 각 주에 설립된 官寺 大雲寺와 開元寺에 각각 안치되었다. 전국적인 유포는 일반적으로 2차원적인 그림과 繡像 등의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제주 官署에서는 이를 토대로 3차원의 금동상이나 소상으로 제작하여 해당 지역 관사에 반포했다.

    영어초록

    In the late 7th and 8th centuries, during the reign of Empress Wuzetian and Emperor Xuanzong, it was the best prosperity of Tang Dynasty. In China, a unified Buddhist culture of the time was formed, and in East Asia, the so-called “East Asian Buddhist culture” was formed. This study examined that a unified Buddhist culture was formed by the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unified Buddhist images by imperial authority during this period, and that unified Buddhist images were quickly distributed in combination with the institution of Buddhist state monasteries.
    Wuzetian distributed statues of Maitreya Buddha and Avalokitesvara Bodhisattva, while Xuanzong distributed Vaisravana(毗沙門天王) statues and with his own face and lifesized Buddha images. Each of the Buddhist images distributed across the country by the two emperors represented the ruling ideology of the imperial power, or symbolized the reign of the King Chakravartin(轉輪聖王). In other word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unified Buddhist images by two emperors revealed the idea that “the king is the Buddha” and had the aspect of the emperor’s management of Buddhism and the people.
    The unified Buddhist images were distributed to the government temples established in Chang’an(長安), Luoyang(洛陽) and more than 300 states across the country. The nationwide distribution was generally made in the form of two-dimensional paintings and embroidery.
    Government offices in various states produced three-dimensional gilt-bronze or soil statues based on paintings and distributed them to Buddhist state monaste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