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인의 불교 의식과 음악 Ⅱ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를 통하여- (The Buddhist ritual and music of Shilla people in Sandong of China)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07.06
18P 미리보기
신라인의 불교 의식과 음악 Ⅱ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를 통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41권 / 167 ~ 184페이지
    · 저자명 : 윤소희

    초록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에 나오는 적산법화원 신라인의 불교의식과 범패에 대한 기록은 신라 뿐 아니라 당대(唐代)의 불교문화까지 알수있게 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본고의 선행 연구인 동일제목 제1편을 통하여 산동지역을 둘러싼 중국과 한민족의 역사적인 배경과 적산원의 불교의식 전반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본고는 그 뒤를 이어 적산원에서 행한 의식의 세부적인 내용을 분석하고 거기서 연주된 음악들을 파악하여 그것을 대만의 범패에 대입시켜 보았다.적산법화원의 불교의식과 범패의 양상을 보면 현재는 찾아볼 수 없는 강경의식일일강경송경의식 등이 있고 이 의식을 주재하는 승려의 직분이 다양하고 이들이 부른 범패도 일반 신도들이 부르는 범패와 승려와 신도가 주고받는 교창과 선창과 화답 등 오늘날 한국의 범패로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다양했다.대만과 중국 불교사와 그들의 범패를 현지조사하기 전에는 이해가 가지않던 엔닌의 기록이 중국과 대만의 불교의식에 대한 현지 조사 후에는 산동 신라인의 것도 자연스러이 한눈에 들어왔다. 그만큼 산동에서 행한 신라인의 의식과 음악이 중국 불교문화와 공통분모를 많이 지니고 있음을 말해 준다. 적산원의 신라인이 부른 범패는 신도들의 합창으로 부르는 노래, 승려와 신도가 주고 받는 교창, 승려의 선창에 화답하는 노래, 주법승이 혼자 부르는 노래, 전문 범패승이 부르는 독창범패 등이 있었다. 일반 신도들은 신라풍으로 불명을 수십번 반복해서 부르는 염불과 승려의 선창에 이어 부르는 화답송, 승려와 주고 받는 교창이 있었다.전문 범패승은 주로 당풍으로 ‘게’를 노래했는데, 강경을 마치고 부른 노래는 일본풍과 유사했다. 여기서 일본풍과 유사한 점은 당풍과 다르고 신도들이 부르는 신라풍과는 뭔가 다른 성격이라면 일본에 범패를 전한 백제풍의 가능성에 대해서 본고에 앞서 쓴 논문에서 추정한 바 있다. 즉 산동일대에 신라 이전부터 거주하던 고구려백제 유민이 있었고 이들은 신라보다 불교를 먼저 받아들였으므로 이러한 추측은 충분히 가능한 사실이다. 의식을 이끄는 주법승인 강사와 도강은 경의 제목을 노래했다. 주법승이 강경이나 송경을 하기 전에 한 창경(唱經)은 소리가 장인(長引)하고 굴곡이 있다는 점으로 보아 요성이 있으면서 길게 늘여 불렀던 것으로 보인다. 이 부분은 추상적 서술이라 그 악풍을 단정할 수는 없으나, 대만의 주법승이 주로 하는 솔로선창을 볼 때 길게 늘여서 무박자로 하며 요성을 넣는 것과 유사하기도 하고 한국의 범패와도 닮은 면이 있으나 엔닌은 이를 두고 그 어떤 풍이라고 하지 않았으므로 단정할 수는 없는 대목이다.적산원의 한낮의 의식은 신라방식에 의해서 했다고 하는데 엔닌의 기록 외에 당대 불교의식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없으므로 당풍 불교의식과 신라풍 의식이 얼마나 차이가 있었는지는 알수는 없으나 오늘날 대만에서 적산원과 유사한 의식들이 대부분 시행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적산원의 의식은 근본적인 틀에 있어서는 당대의 의식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대만의 범패가 본토에서 이주해 온 여러 지방의 한족이 한데 어울려 의식을 진행하는 가운데 단순화되고 획일화 되었음을 감안해 볼 때 대만의 법회에서 행하는 송경의식과 강경대게좌 등은 적산원의 강경의식과일일강경송경의식과 같은 계통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Buddhist ceremonies and Chants of the Shilla in Jeoksanbeophwawon(赤山法華院) in Ennin's(圓仁) ꡔThe pilgrimagedocunantary in Tang Dynasty of China (入唐求法巡禮行記)ꡕare valuable material that can give us a clue on Buddhist culture in the Tang Dynasty as well as in Shilla. The first volume of this study, of which title is the same as this study, gave an overview of historical background of China and the Korean race around Shandong(山東) area and Buddhist ceremonies in Jeoksanwon as a preliminary study. Following this, this study makes an analysis of details of ceremonies held in Jeoksanwon, examines music played during the ceremonies, and draws a comparison between ceremonies in Jeoksanwon and Taiwanese Beompae.
    Ceremonies such as Preaching ceremony, Daily recital, Recitation ceremony, which can not be seen these days, are found in the Buddhist ceremonies and Beompae of Jeoksanbeophwawon, and the monks in various positions resided over these ceremonies. There were various Beompaes including Beompae usual Buddhists chant, antiphon between monks and Buddhists, leading chorus and responding. Compared with very old-fashioned and difficult Korean Beompae that professional monks usually chant these days, these Beompaes will seem very unfamiliar. As I conducted a field survey on the Buddhist ceremonies in Taiwan, however, Beompaes like chanting in unison and antiphon by Buddhists have been seen most ordinarily. It is presumed that the reason why Buddhist ceremonies held by the Shilla and music played by them disappeared is because we are completely shut off from their tradition as Buddhism was oppressed and Confucianism was gladly accepted during the Chosun Dynasty and Korean Buddhism tradition was liquidated under the Japanese ru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