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윤지당유고』의 傳에 구현된 여성관 연구-「송씨능상부」,「최홍이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View on Women in Jeon(傳) of 『Yungidangyugo』- Focusing on 「Songssineungsangbu」, 「Choihonginyeo」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2.12
30P 미리보기
『윤지당유고』의 傳에 구현된 여성관 연구-「송씨능상부」,「최홍이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45권 / 1호 / 157 ~ 186페이지
    · 저자명 : 유정은

    초록

    본고는 조선 최초의 여성 성리학자로 평가받는 임윤지당의 여성관을 그녀의 문집 『윤지당유고』를 통해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윤지당이 여성 성리학자로 평가받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를 든다면 바로 『윤지당유고』가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후기 규방여성이 문집을 남긴다는 것은 시대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어려운 일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윤지당유고』는 그녀 사후에 간행되었다. 사후의 평가이긴 하지만 당시 사회지식인이었던 남성 사대부들의 인정을 받아 간행된 결과물이다.
    『윤지당유고』에는 총 35편의 글이 전해지고 있는데, 그중 한 사람의 일대기나 행적을 서술하면서 자신의 비판을 덧붙인 傳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 글은 두 편이다. 『윤지당유고』의 서두에 수록된 두 편의 傳은 「宋氏能相婦」와 「崔洪二女」로 모두 조선의 여성 인물을 다룬 것이다. 성리학의 고착화로 여성에게 더 엄격한 윤리와 도덕률이 적용되던 조선후기에 서술 주체도 여성이고, 서술 대상 역시 여성인 보기 드문 작품이다. 그렇기에 당시 주된 서술 주체였던 남성 사대부의 시각이 반영된 다른 대부분의 傳과는 구별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윤지당에 의하면 두 편의 傳은 모두 결혼 전인 십대에 쓰여진 글로, 한 남성의 부인이 되기 전, 한 집안의 며느리가 되기 전 그녀의 여성관에 대해서 고찰할 수 있다. 「송씨능상부」에서는 婦德을 넘어서 남편을 正道로 이끈 여성의 학문수양을 높이 讚하였고, 「최홍이녀」에서는 효도와 정절을 넘어서 남편과 아버지의 원수를 갚는 두 여성의 용기를 높이 讚하였다. 당시 규방의 여성에게 요구되었던 부덕과 효도・정절에만 머무르지 않고, 더 나아가 남성을 이끈 학문성취와 남성의 원수를 갚는 용기까지 실천한 여성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에게는 부자유했던 조선사회와 불화하지 않고 오히려 당대를 이끌었던 남성 유학자들에게 인정받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여성에 대한 인식과 함께 스스로도 그것을 실천했던 여성이 바로 임윤지당이다. 규방 여성으로서 이러한 성취는 조선사회에 적극적으로 순응하고 기여하면서도 그 안에서 성리학자로서의 정체성을 이루어낸 성취들로 볼 수 있다.
    윤지당의 신념은 聖人과 凡人은 그 본성에 있어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다는 聖凡同類 사상에서 더 나아가 남성과 여성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고 동등하다는 사상으로 확대되어 나타난다. 즉 여성을 남성의 부수적인 존재가 아니라 그 개체성을 인정하는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존재로 인식한 것이다. 그래서 나의 노력 여하에 따라 누구나 성인이 될 수 있다고 굳게 믿었다. 그리하여 ‘진실로 남이 한번 노력하면 나는 천 번 노력한다’는 굳은 다짐과 실천으로 스스로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한 인간으로서 우뚝 선 조선 최초의 여성 성리학자이다. 본 논고에서는 여성이 아닌 한 인간으로서 오롯이 인정받고자 했던 임윤지당의 여성관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review view of women of Im Yun-ji-dang who is considered as the first female Neo-Confucianist in Joseon through her literary collection 『Yungidangyugo』. The the biggest reason that Im Yun-ji-dang could be appraised as a female Neo-Confucianist is that she left 『Yungidangyugo』. Although it was extremely difficult for women to leave literary collection, 『Yungidangyugo』 was published after her death. Despite the post-death, it was the outcome published by being acknowledged by noblemen, who were intellectuals in those days.
    『Yungidangyugo』 contains total 35 works, and among them, two are in the form of Jeon(傳) that narrates a person’s life and whereabouts while attaching the writer’s criticism. The two works of Jeon(傳) are 「Songssineungsangbu(宋氏能相婦)」 and 「Choihonginyeo(崔洪二女)」, which are about female figures in Joseon. In late Joseon Dynasty when stricter ethics and morals were applied to women due to the fixation of Neo-Confucianism, the narrating subject was woman, and object was also woman, which was very rare. Therefore, they can be considered distinct from other Jeon(傳) works that reflect noble men, who were main narrating subject.
    According to Im Yun-ji-dang, the two Jeon works were written in her teens before she got married, and her view on women before becoming a wife of a man and a daughter-in-law of a household can be reviewed. In 「Songssineungsangbu」, she praised academic knowledge of a woman who led her husband to right path beyond womanly virtues, and in 「Choihonginyeo」, she praised the courage of two women who revenged husband and father beyond filial duty and faithfulness. She showed women’s academic accomplishments to lead men and courage to revenge men instead of limiting in the womanly virtues, filial duty and faithfulness that were required to women's life in Joseon. She was considered as an active woman who wasn’t in discord with Joseon society that didn’t give freedom to women, but was acknowledged by male scholars. These accomplishments as a woman in Joseon can be regarded as the identity of Neo-Confucianist while conforming and contributing to Joseon society.
    The belief of Im Yun-ji-dang is extended to the idea that men and women are not different in nature but equal further from Seongbeomdongryu(聖凡同類) that saints and average people are not different in nature. In other words, women are not subordinate to men but autonomous and independent beings whose individuality is acknowledged. Thus, she firmly believed anyone could be saints depending on how much effort they make. She was the first female Neo-Confucianist standing tall as an autonomous and independent human with a pledge and practice of ‘When others do once, I do thousand times.’ In this study, a view of women of Im Yun-ji-dang who tried to be acknowledged as a human not a wom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