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末 忠北 四郡지역 儒林의 동향 - 朴世和와 毅堂學派를 중심으로 - (Study on Confucian scholars in the region of Chungbuk` Sagun of Korean Empire period)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6.09
23P 미리보기
韓末 忠北 四郡지역 儒林의 동향 - 朴世和와 毅堂學派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81호 / 103 ~ 125페이지
    · 저자명 : 정경훈

    초록

    그동안 함경도 지역 유림의 동향과 이들이 남하하여 새로운 이동지에서 학파의 구성과 학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문 편이었다. 毅堂 朴世和(1834~1910)는 함경도 南關 지역에서 태어나 그곳에 정주하지 않고 계속 이동하여 충북 四郡 지역에 안착하며 의당학파를 구성한 독특한 경력의 전통 유학자다. 학문적 연원은 송시열의 기호학파 계열로 홍직필의 문인에게 수학했지만 이미 獨學無師로 扶正과 斥邪를 기저로 학문적 요체를 수립하였으며 30세 이후부터는 당론에는 크게 관심이 없이 오로지 우리의 도(吾道)의 해명과 수호에 평생을 바쳤다.
    박세화는 사군지역으로 진입하면서 「自警錄」을 통해 主敬·去私·求仁 등 세 가지 강령을 학파의 정체성을 수립하였고 ‘存心養性’과 ‘克己治慾’의 학문적 실천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곳에서 활발한 강회와 향음례를 통해 학파의 결속을 도모하였고 윤응선, 신현국, 안재극, 이원우, 양재명, 유지혁 등 유수한 문인들을 배출하며 의당학파의 본모습을 완성하였다. 박세화의 사군 지역 진입과 의당학파의 성립은 이 지역으로 이주하여 擧義했던 유중교, 유인석 등 화서학파 보다 3년이나 이른 시기였다. 그는 화서학파와 향음례와 강회라는 전통적 지식인들의 모임을 통해 학문적 동지와 일체감을 확인하면서 화서학파의 중요 문인들과 폭넓게 교류를 펼치며 유림의 한 축으로 자리 매김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writing about Park, sehwa and Uidang school. Park, sehwa was born from Hamhung, North Hamgyong Province, and he gradually becomes south and formed a school of thought. He sought his followers continued to the movement. He is a Confucian scholar belonging to the Giho school. But he finished the academic system without a teacher and have a thoughts of the expulsion of wickedness and the defend of justice. He expressed Jugyeong(主敬)·Guhsa(去私)·Guin(求仁) ideas from 「Jagyeongnok(自警錄)」.
    He formed for the first time lectures and Uidang school in Jecheon. Jecheon which is a local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is strong place. So, was once a base for par Hwaseo school. Park, sehwa was introduced first Neo-Confucianism at the Jecheon areas. This is a period of three years earlier than par Hwaseo school. He actively extended network formed and interchange with Hwaseo school. He also will collapse the ruined country, moral idea. He was moral himself as heir from the context of flowery kingd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