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원 용화전 석조불좌상의 도상적 고찰 - 唐代 菩提瑞像 圖像과 관련하여 (Iconographic consideration of Stone Seated Buddha Statue of Yonghwajeon(龍華殿) in Changwon - With regards to the iconography of the Miraculous Image of Bodhi Tree in Tang Dynast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6.10
39P 미리보기
창원 용화전 석조불좌상의 도상적 고찰 - 唐代 菩提瑞像 圖像과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22권 / 57 ~ 95페이지
    · 저자명 : 서지민

    초록

    창원 용화전에서 전래되어 성산패총 야외에 전시되어 있는 석조불좌상은 편단우견 방식으로 대의를 걸치고 있으며, 보관을 쓰고 목걸이를 착용하고 있다. 또 광배에 산화천인상과 공양천인상이 배치되어있으며 팔각연화대좌가 아니라 방형 대좌에 좌정(坐定)하고 있다. 이러한 불신의 장엄 표현, 광배의 도상요소, 대좌의 형식 등의 도상적 특징을 볼 때 용화전 석조불좌상은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하였던 통상적인 촉지인 불상과는 차별된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용화전 석조불좌상을 통일신라시대 촉지인 불상들과 비교하고, 다음으로 석가모니의 성도를 상징하는 금강좌진용상(金剛座眞容像) 도상에서 비롯된 당대 보리서상(菩提瑞像)들과 비교하여 차이점과 공통점을 도출함으로써 용화전 석조불좌상의 도상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용화전 석조불좌상은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하였던 촉지인 불상 도상이 변용된 것이 아니라 당대 보리서상의 도상이 신라로 전래되면서 나타나게 되었다고 파악되었다. 통일신라시대 촉지인 불상 중에도 착의법이 편단우견식이거나 광배에 화불을 비롯하여 공양천인상과 산화천인상이 배치되며 대좌가 방형인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용화전 석조불좌상과 같이 불신의 장엄표현, 광배의 도상요소, 대좌의 형식이 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도상체계를 이루고 있는 예는 없다. 따라서 용화전 석조불좌상은 통상적인 통일신라시대 촉지인 불상들과는 차별되는 나름의 도상체계를 갖고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 『대당서역기』에 서술되어 있는 인도 보드가야 마하보리사의 금강좌진용상에 관한 언급을 살펴보면, 금강좌진용상은 방형의 금강좌에 좌정하고 있으며 보관과 목걸이 등의 장신구로 불신을 장엄하고 있다고 한다. 또 금강좌진용상을 숭배하고 악기를 연주하거나 공양물을 헌상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이러한 금강좌진용상에 대한 서술은 중국으로 전해져서 보리서상 도상이 성립하는데 영향을 끼쳤던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광택사 칠보대 전래 삼존불상, 용문석굴 뇌고대의 불상들, 광원 천불애 제366호, 파중석굴 남감 제44호 등을 비롯한 낙양과 장안, 그리고 사천지역의 보리서상은 모두 촉지인을 결하고 있으며 대의는 편단우견 방식으로 입고 있으며 보관을 쓰고 목걸이를 착용하는 등 불신을 장엄하고 있다. 또 광배에는 산화와 공양을 하는 천인상들이 배치되어있다. 그리고 대좌는 방형이며 그 주변에는 공양물을 헌상하거나 악기를 연주하는 등의 다양한 권속들이 있다. 물론 당대 보리서상은 용화전 석조불좌상보다 도상요소들이 훨씬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렇지만 용화전 석조불좌상의 도상적 특징인 장신구의 착용, 편단우견식의 착의법, 방형의 대좌형식, 산화천인상과 공양천인상의 도상요소가 당대 보리서상에는 모두 조합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용화전 석조불좌상은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한 통상적인 촉지인 불상의 도상을 변용한 것이 아니라 당대 보리서상도상이 전래되면서 성립되었다고 판단된다.
    그 동안 선학들의 연구를 통해서 금강좌진용상 도상이 신라로 전래되었기 때문에 통일신라시대에 촉지인 불상이 유행하게 되었을 것이라고 추정되었다. 그렇지만 석굴암 본존불상을 제외하면 통일신라시대의 촉지인 불상 중에서 금강좌진용상과 연관된다고 구체적으로 거론된 예는 없다. 이런 상황에서 용화전 석조불좌상을 통해 동아시아 불교문화권에서 성도한 석가모니의 참모습으로 인식되어 널리 유행했던 금강좌진용상에서 비롯된 당대 보리서상 도상을 신라에서도 재현하고자 했음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조각사적 의의는 매우 크다.
    그런데 보리서상 도상의 신라 전래시점과 전개과정을 밝혀줄 수 있는 불상 예는 없다. 다만 석가모니의 성도를 상징화하고 있다는 생각되는 감은사지 동삼층석탑에서 출토된 보장형사리기의 도상이 용화전 석조불좌상의 도상요소와 일맥상통한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7세기 후반 신라의 왕경(王京)에는 보리서상 도상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최승로가 건의한 시무책을 보면, 신라하대에는 귀금속으로 불상을 장식하기도 했음을 알 수 있는데, 청량사석조불좌상과 같이 장신구로 불신을 장엄하지 않았을 뿐 착의법이나 광배의 도상요소, 대좌의 형식이 용화전 석조불좌상과 일치하는 촉지인 불상은 보리서상 도상을 변용했을 가능성을 상정해 볼 수 있겠다. 그렇다면 신라하대에는 용화전 석조불좌상 외에도 보리서상 도상을 신라 나름의 방식으로 표현한 촉지인 불상이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보리서상 도상의 수용과 전개과정을 거쳐서 9세기 후반에서 10세기 전반 무렵에 용화전 석조불좌상이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The Stone Seated Buddha Statue that has been passed down from Yonghwajeon(龍華殿) in Changwon and that is currently exhibited in outdoor showroom at Seongsan Shell Mound(城山貝塚) is wearing monk’s dress in left shoulder covered(偏袒右肩) style, or with the robe draping from the left shoulder across the chest and under the right arm, leaving the right shoulder bare along with a monk’s crown and necklace. In addition, with an angel with flowers being and an angel the ritual foods being arranged against halo(the back illuminating adornment of the statues of Buddha), the Buddha statue is seated on a square pedestal instead of octagonal lotus flower pedestal. Some Buddhist Images Bhumisparsa-mudra during the period of united Silla were wearing in left shoulder covered style or were seated on a square pedestal with an angel with flowers being and an angel the ritual foods being in addition to nirmna-buddha arranged against halo. However, there are no precedents of Stone Seated Buddha Statue of Yonghwajeon in terms of establishing its iconographic system, combining expressing the solemn body of the Buddha, iconographic aspect of halo, and the formality of being seated. Therefore, the Stone Seated Buddha Statue of Yonghwajeon is deemed to feature its own unique iconographic system,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the Buddhist Images Bhumisparsa-mudra during the united Silla period.
    Meanwhile, Vajrasana Buddha Statue(金剛座眞容像) of Mahabodhi Temple, Bodhaya, India described in the Great Tang Records on the Western Regions is seating on a square chair and is wearing decorative items, including monk’s crown and necklace. In addition, it is said that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making a variety of offerings were frequently portrayed in Vajrasana Buddha Statue. These prescriptions of Vajrasana Buddha Statue were passed down to China and affected the formation of iconography of the Miraculous Image of Bodhi Tree. In fact, the contemporary Miraculous Image of Bodhi Tree was wearing in left shoulder covered style with Chokjiin along with monk’s crown and necklace. And halo had the statue of heavenly men dedicating strew flowers and offerings arranged in it. And it features a square pedestal and various retinues dedicating offerings 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in the surrounding area. The contemporary Miraculous Image of Bodhi Tree features a lot of variety in iconographic elements than the Stone Seated Buddha Statue of Yonghwajeon. However, the iconographic features of the Stone Seated Buddha Statue of Yonghwajeon match those of the contemporary Miraculous Image of Bodhi Tree. Therefore, it is reasonably assumed that the Stone Seated Buddha Statue of Yonghwajeon was established with the formation of iconography of the contemporary Miraculous Image of Bodhi Tree instead of being a iconographic transformation of another Buddhist Image Bhumisparsa-mudra established in the same period as that of the Stone Seated Buddha Statue of Yonghwajeon. The Stone Seated Buddha Statue of Yonghwajeon has very significant historic implications as the iconography of the contemporary Miraculous Image of Bodhi Tree that originated from the Vajrasana Buddha Statue, which is widely popular as the true image of enlightened Sakyamuni in the Buddhism cultural area of East Asia was passed down as far as to Silla. Unfortunately, there is no exemplary statue of the Buddha that will reveal the time and process of the iconography of Miraculous Image of Bodhi Tree being passed down to Silla. However, the iconographic image of Sarira Reliquary excavated from the East Threestory stone pagoda in Gameunsa(感恩寺) Temple Site is deemed to have symbolized the awkening the enlightenment image of Sakyamuni, and the fact that it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iconographic aspects of the Stone Seated Buddha Statue of Yonghwajeon indicates that the iconographic legacy of the Miraculous Image of Bodhi Tree was likely to be introduced to the capital of Silla in late 7th century. And, the Simuchaek(時務策) written by Choi Seing-ro(崔承老) says that the statue of the Buddha was decorated with jewelry as well. If that is the cas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Buddhist Image Bhumisparsa-mudra, which expressed the iconographic aspect of the Miraculous Image of Bodhi Tree in unique style of Silla was created in addition to the Stone Seated Buddha Statue of Yonghwajeon in late Silla Dynasty period. It is estimated that the Stone Seated Buddha Statue of Yonghwajeon was created in late 9th and early 10th centuries through the process of accepting and embracing the iconographic aspect of the Miraculous Image of Bodhi Tre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