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660년 당군과 신라군의 연합 작전에서의 몇 가지 문제 (Some problems in the allied operation of the Tang army and the Silla army in 660)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8.07
38P 미리보기
660년 당군과 신라군의 연합 작전에서의 몇 가지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담론 / 87호 / 77 ~ 114페이지
    · 저자명 : 남정호

    초록

    이 논문은 660년 백제 공격에 나선 당군과 신라군의 연합 작전이 어떤 의도를 갖고 어떻게 전개된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미 당과 신라 연합군의 기본 전략에 대해서는 기존의 연구 성과들이 누적되어 있어 큰 줄기는 밝혀져 있지만 세부적인 면에서 언급되지 않거나 보강이 필요한 부분들을 메워 양국의 연합 작전을 구체적으로 복원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백제 공격을 결정한 당이 신라에게 덕물도에서 회합하자고 한 이유는 당군이 서해 중부 횡단항로를 이용하여 덕물도에 도착하였기 때문이었다. 이 항로에 대한 정보는 신라에서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이 때 당은 신라에 구체적인 작전 계획은 전하지 않았기 때문에 신라군은 경기도 일대에서 당군과 합군하거나 양국 군대가 따로 진격하는 경우를 모두 염두에 두어야 했다. 그래서 신라군은 남천정까지 북상하였던 것이다. 비록 신라군이 의도한 것은 아니었지만 이와 같은 신라군의 북상은 백제의 방어 전략 수립을 혼란스럽게 만든 효과를 낳았다.
    덕물도 회합에서 소정방이 제시한 전략은 수륙 양공 작전과 사비성 남쪽에서의 합군이었다. 수륙 양공 작전은 백제의 방어선을 분산시켜 병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빠른 시일 내에 전쟁을 끝내겠다는 속전속결의 전략이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해로를 이용하는 당군에 비해 육로로 백제 국경을 돌파해야 하는 신라군에게 불리한 전략이었다. 양군이 사비성 남쪽에서 합군하기로 한 것은 백제 방어선이 비교적 약한 곳으로 진격하고자 한 것이었지만, 유사시 의자왕이 남쪽의 전라도 방면으로 피신하여 전쟁이 길어지는 것을 막고자 하는 의도였다.
    한편 이 당시 당군이 신라군에게 보급 부대의 역할을 맡긴 것으로 보는 견해가 널리 확산되고 있는데, 군사 전략 상의 문제점과 실제 신라군의 수송 능력 등을 고려하면 당시 신라군만이 전적으로 보급 부대의 역할을 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특히 당군이 유인궤로 하여금 별도의 보급 부대를 담당하도록 했던 자료에 근거하면 신라군에게 보급을 전담시킨 것이 아니라 별도의 보급 부대를 운용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find out what intention brought about the allied military operation of Tang Dynasty and Silla to attack Baekjae in 660 and how it was carried out.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are accumulated and the outline of the basic strategy of the Tang and Silla allied forces is revealed. However, I tried to restructure the united operations of the two countries in detail by filling in areas that are not mentioned or need reinforcement..
    First, the Tang who decided to attack Baekje decided to meet Silla in Deokmul Island because the Tang army arrived at Deokmul Island using the middle crossing route of the West Sea. Information on this route seems to have been provided by Silla. At that time, the Tang had not given a specific plan to Silla, so Silla army had to keep in mind that either the army with the Tang army in Gyeonggi-do, or the army of the two countries went apart. So the Silla army was up north to Namchenjeong. Although this was not the intention of the Silla army, the Silla army's advance to the north led to the confusion of Baekje's defense strategy.
    The strategy that Su Dingfang proposed during the talk at the Deokmul Island was simultaneous execution of both army and naval attack and to join the forces in the south of Sabi-castle. The intention of the strategy to use both army and naval troops was to distribute defense of Baekjae forces to minimize loss of soldiers and to end the battle soon. However, it was disadvantageous for Silla, which had to break through the Baekje border on land, compared to Tang which was to go from the sea. The reason that the two armies decided to join in the south of Sabi Fortress was to advance to the area where Baekjae’s defense was relatively weak but also,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for King Uija to escape to the south in order to prevent the war from lasting long.
    On the other hand, the opinion that the main role of Silla at that time was taking charge of distributing supplies for the Tang army is spreading widely.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ckon that the army of Silla took the role considering its actual transportation ability and the issue of military strategy. In particular, the fact Yu Ingye of Tang was running separate ship for supply signifies that they did not made the troops of Silla to take responsibility of distributing suppl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