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 杏堂 尹復의 관직생활 -告身 활용을 위한 제언- (The 16th century Yun-bok’s Official life of Joseon Dynasty -Suggestions for the Research Use of Gosin(告身)-)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8.06
34P 미리보기
16세기 杏堂 尹復의 관직생활 -告身 활용을 위한 제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54호 / 183 ~ 216페이지
    · 저자명 : 임선빈

    초록

    조선시대 관직 임명장인 告身에는 제수되는 인물의 간단한 인사기록만 수록되어 있으나, 유관 자료를 적절히 활용하면 관직생활 연구에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고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16세기 인물인 윤복의 관직생활을 살펴보았다.
    과거를 통해 사환을 시작한 윤복은 성균관에서 10여년을 지낸 후, 참상관 시절에는 주로 고향이 가까운 전라도 지역의 수령과 전라도사 등을 역임하면서 공직자로서의 기개를 보였다. 나아가 안동대도호부사가 되어서는 향교의 중수와 인근에 살고 있던 퇴계 이황과의 교류를 통해 유교적 기풍을 진작시켰다. 그러나 당상관이 되기는 쉽지 않아서 통훈대부가 되기까지 22년이나 걸리고, 다시 13년간 통훈대부에 머문 후, 62세가 되어서야 당상관인 통정대부가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승정원 승지로 국왕을 측근에서 모시게 되자, 1년 만에 재상급 관료인 종2품의 관찰사에 제수되었다.
    이러한 윤복의 관직생활에 대해 고신을 활용하면, 관직 제수 시 교첩과 교지의 사용 사례, 행수법과 겸직의 구체적인 시행실태,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외직을 자원하여 수령으로 부임하는 실제적인 제도 운영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외직으로 전전하는 관료가 통훈대부까지 오르는데 걸리는 긴 세월과 당상관에 승진하기 전 통훈대부에 13년이나 머물렀던 사례를 통해 평범한 관료가 당상관이 되기가 얼마나 어려웠던가를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고신을 통해서 2품 이상의 재상급 관료가 되었을 때 주어지는 많은 혜택 가운데 3대를 추증한 사례와 2품 이상의 관직은 제수된 후 부임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당대는 물론 후손들도 대대로 영광으로 여기고 있었음을 엿볼 수 있다.
    실록의 인사기록은 실록 편찬자들에 의해 취사선택되어 수록되었기 때문에 중하위직 관료의 인사기록은 대부분 누락되어 있고, 고위관직에 한해서 부분적으로 알려줄 뿐이며, 연보 행장 비문 등은 찬자의 주관이 개입되기 쉽다는 점에서 관료제 운영에 관한 연구에 관직의 고하에 관계없이 객관적인 문서로 남아있는 고신의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된다 하겠다.

    영어초록

    In Gosin(告身)- an appointment letter used in Joseon Dynasty, there are only simple personnel history of the person who got appointments. Still, you can get lots of information about life as an official-holder in Joseon if you use related materials. In this paper, we will actively use Gosin at this perspective, and look closely about life as an Official of Yun-bok(尹復), who lived in 16th Century.
    Starting his life career by Civil Service Examination, Yun-bok worked at Seong’gyun-gwan for about 10 years. While working as Chamsanggwan(參上官), he showed his spirit by serving a number of positions such as county magistrate of districts in Jeolla Province and provincial governor of Jeolla(Jeollado-sa), where it was close to his hometown. After being Andong-daedohobusa(安東大都護府使), he repaired old public school buildings(Hyanggyo), and boosted up Confucianism by interacting with Toegye Yi-hwang nearby. However, promotion to Dangsanggwan(堂上官) was so demanding that it took Yun-bok 22 years to become Tonghundaebu(通訓大夫), and another 13 years waiting to become Tongjeongdaebu(通政大夫), which career was categorized as Dangsanggwan. At that time he was already 62 years old. Even so, when Yun-bok became Seungjeogwon(承政院) Seungji(承旨) and served the King by his side, a year later he was promoted to Jong-eepum(從二品) provincial governor, which was labeled as a senior officer.
    When we use Gosin in research of Yun-bok’s career life, we can find examples of Gyocheop(敎牒) and Gyoji(敎旨)’s usage in personnel appointment, specific implementation status of Haeng-su method(行守法) and concurrent office, and realistic system operation such as volunteering local government post in order to support parents. In addition, it shows how difficult it was for a common officer to get promoted as Dangsanggwan, by the example of long time spent by a local officer to become Tonghundaebu and an additional 13 years of waiting before finally getting promoted to Dangsanggwan. Moreover, by Gosin we can have a look to one of the benefits senior officers got-promoting 3 dead elder generations(father, grandfather, and great-grandfather). There are also clues that even if a person got a promotion higher than Jong-eepum but didn’t proceed to new post, it was still an honor to one’s family and descendants.
    Sillok(朝鮮王朝實錄)’s personnel history was selectively recorded by compilers, so it only shows partially of top class officers’ personnel records, while most of the middle-low class officers’ ones are missing. Furthermore, it lacks in objectivity since compiler’s judgements are easily involved in personal chronology, biography epitaph, etc. These reasons ask for active use of Gosin in need for objective material for research in Bureaucratic op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