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쌍백당 이세화의 생애와 『쌍백당집』 간행 경위 고찰 (Life of Ssangbaekdang Lee Se-hwa and Process of Publishing 'Ssangbaekdang-jip')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0.02
30P 미리보기
쌍백당 이세화의 생애와 『쌍백당집』 간행 경위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70호 / 225 ~ 254페이지
    · 저자명 : 이황진

    초록

    본고는 기사년(1689) 4월 박태보(1654∼1689), 오두인(1624∼1689)과 더불어 숙종에게 인현왕후를 폐위하는 일이 불가함을 극간하는 상소를 올려 화를 입은 쌍백당 이세화(1630∼1701)의 인품과 그의 문집 『쌍백당집』의 간행 경위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먼저 그의 삶을 간단히 살펴 본 후 당대에 칭송받은 그의 인품을 절개ㆍ청렴ㆍ인의 세 가지 측면에서 그것을 확인할 수 있는 일화와 그의 시를 통해 확인해 보았다. ‘절개’는 인현왕후 폐위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린 사실과 쌍백당을 자호로 삼은 것에서, ‘청렴’은 그가 관직에서 물러났을 때에는 몸소 농사를 지었던 삶의 태도와 1695년 염근리로 선발된 것에서, ‘인의’는 갑자사행(1684) 당시 혹독한 환경과 상황 속에서 남구만과 이민족까지 감동시킨 인자한 행실에서 이세화의 인품에 대한 세간의 평가를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이세화의 문집인 『쌍백당집』의 간행 경위를 고찰하였다. 이세화는 자신을 문인으로 자처하지도 않았고, 늘 우리나라에 문집이 너무 많은 것을 병폐로 여겨 평소에 읊은 것을 번번이 버렸던 탓에 보존되어 있는 시문은 많지 않았다. 하지만 기사년(1684)의 일로 명망이 높아진 인물이자 부평이씨의 중흥을 이끈 이세화의 문집을 간행하는 것을 도리라 여긴 장남 이정진과 조카 이정제(1670∼1737)가 문집의 편찬과 간행을 추진하였다. 『쌍백당집』은 이정제가 홍주목사로 있던 1721년(활자본)과 경상도관찰사로 있던 1723년(목판본) 두 차례에 걸쳐 간행되었다. 『쌍백당집』의 간행 경위를 통해 18세기 초반의 문집 간행과 관련된 일련의 상황과 추세를 일부 엿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the of Ssangbaekdang Lee Se-hwa(1630∼1701) who was persecuted by submitting the Sangso (a statement to tell the king of certain event), together with Park Tae-bo(1654∼1689) and Oh Du-in(1624∼1689), in April of the Year of Gisa(1689), that pleaded not to dethrone Inhyeon Wanghu (Queen Inhyeon) as well as his literature collection of 'Ssangbaekdang-jip'.
    At first, after briefly looking into his life, his personality that earned high esteem of the day was confirmed through his poetry works and a story that demonstrated his life in three aspects of honor, integrity and benevolence. The ‘honor’ came from the fact that he pleaded his opposition of dethroning of Inhyeon Wanghu with his Sangso as well as taking Ssangbaekdang as his Jaho (personally named pen-name). The ‘integrity’ could be confirmed from the fact that he was elected as the Yeomgeunri (a greed-free government employee with character of integrity during his service period) in 1695. ‘Benevolence’ could be affirmed from the evaluation of people on the personality of Lee Se-hwa by his generous behavior to inspire people in Nam Gu-man and even the other ethnic people under the severe environment and circumstances during the Gapjasahaeng(1684).
    Next, the history of literature collection of Lee Se-hwa, 'Ssangbaekdang-jip', is contemplated for its publishing. Lee Se-hwa did not represent himself as a literary man and he always thought that Korea had too many literature collections as its ill effect that he frequently discarded the ones he wrote during the normal times that there is no many poetry writings available today. However, lee Jeong-jin, the first son of Lee Se-hwa who was the figure that had enhanced reputation for the event occurred in the year of Gisa(1684) and led the emergence of Bupyeong Lee Clan and nephew, Lee Jeong-jae(1670∼1737) who considered publishing the literature collection would be a tribute for Lee Se-hwa and they promoted the compilation and publishing of the literature collection. 'Ssangbaekdang-jip' was published twice in 1721 (printed book) when Lee Jeong-je was serving as the Governor of Hongju and 1723 (wooden imprint book) as the governor of Gyeongsang-do. Through the history of publishing 'Ssangbaekdang-jip', it is possible to glimpse over a series of situation and trend related to publishing of literature collection in the first part of 18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