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晩靜堂 徐宗泰의 정치 활동과 탕평론 (Political Activities and the Tangpyeong Theoryof Manjeongdang Seo Jong-Tae)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0.12
46P 미리보기
晩靜堂 徐宗泰의 정치 활동과 탕평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번역연구 / 11호 / 55 ~ 100페이지
    · 저자명 : 김용흠

    초록

    만정당 서종태의 정치 행적은 朝鮮後期 국가의 위기를 蕩平論을 통해서 극복하려고 노력했던 官人ㆍ儒者의 한 유형을 보여준다. 탕평론은 당파적 의리를 떠나서 정치는 정책을 다루어야 한다는 전제 위에서 나온 것이었다. 庚申換局(1680) 이후 집권한 서인은 결국 이에 대한 찬반을 두고 老論과 少論으로 분열되어 갈등하였다. 甲戌換局(1694) 이후 소론 탕평파는 王權論에 입각하여 世子 보호를 자임하였으므로 숙종의 지지를 받고 蕩平策을 추진할 수 있었다. 이들은 자신들과 당색을 달리하는 남인도 적극 등용하여 국가의 위기 극복을 위한 제도 개혁에 매진하려 하였다.
    서종태는 이러한 소론 탕평파의 정치 노선을 충실하게 구현하였다. 그렇지만 노론의 반발로 인해 제도 개혁은 지지부진하였으며 세자의 지위까지도 위협받고 있었다. 결국 지배층의 다수가 세자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숙종에 의해 丙申處分(1716)이 내려져 정국 주도권을 노론에 내주면서 탕평책은 좌절되고 말았다.
    그렇지만 그의 탕평 노선은 그 아들 徐命均에게 계승되었다. 그는 경종대에 경종에게 충성하면서도 世弟 보호를 일관되게 주장하여, 영조가 즉위한 이후에도 탕평론을 견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정치 노선은 그 손자 徐志修에게도 계승되어 思悼世子와 후일의 정조인 世孫을 보호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들 삼대가 연이어 정승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서종태의 탕평 노선을 실천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던 것이다.
    서종태가 조선후기 국가 위기의 핵심 문제였던 良役의 폐단을 변통하려고 노력하였지만 기득권 계층인 양반 지주의 반발을 넘어서지 못하였다. 이에 그는 里定法을 통해서 당시 향촌에서 성장하고 있던 신흥 세력의 도움을 받아서 수령권을 강화하여 이에 대처하려 하였다. 이것은 조선후기의 사회변동을 통해서 새롭게 등장한 民들과 함께 국가의 집권력을 강화함으로써 봉건사회의 계급모순을 극복하려는 시도였다. 국가 권력을 강화시켜 계급모순을 해소하려는 이러한 시도는 우리식 근대화의 독특한 경로였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서종태가 견지한 소론 탕평론은 병신처분으로 좌절되었다. 당쟁으로 점철된 조선후기에 탕평론ㆍ탕평책은 국가의 유지ㆍ보존을 위해서는 직접 생산자인 민을 보호해야 한다는 儒學의 대전제 위에서 나온 것이었다. 따라서 이것이 당대의 계급모순을 극복하지 못하고 좌절되었다고 해서 무의미한 것으로 치부할 수는 없을 것이다. 조선 말기에 유행했던 당쟁 망국론과 유교 망국론은 서종태와 같은 관인ㆍ유자의 존재를 무시하는 결정적 문제를 안고 있다.

    영어초록

    The political activities of Manjeongdang(晩靜堂) Seo Jong-tae(徐宗泰) show a type of government official and Confucian who tried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Tangpyeong theory(蕩平論). Tangpyeong theory came from the premise that politics had to deal with national policy apart from factional interests. Western party(西人), who came to power after Kyungshinhwanguk(庚申換局, 1680), eventually split into Noron(老論) and Soron(少論) over the pros and cons, resulting in conflict. After Gapsulhwanguk(甲戌換局, 1694), Tangpyeong followers from Soron party took over the protection of the prince, based on the theory of Royal power(王權論), so they were supported by King Sukjong(肅宗) and were able to promote the Tangpyeong policy. They also actively recruited Southern party(南人) who are different from their own, and tried to reform the system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Seo Jong-tae faithfully embodied the political line of the Tangpyeong followers of Soron. However, due to the opposition from Noron, institutional reform was sluggish and even the status of the crown prince was threatened. Eventually, King Sukjong, who regarded that the majority of the ruling class did not support the crown prince, made a decision of Byeongsincheobun(丙申處分, 1716), and gave the political leadership to Noron, and the Tangpyeong policy was thwarted.
    However, Seo Myung-gyun(徐命均), son of Seo Jong-tae, inherited his father's devotion to the Tangpyeong theory. Seo Myung-gyun was loyal to King Gyeongjong, but also consistently insisted on the protection of the king's brother, who was going to be King Yeongjo(英祖) afterward. So he was able to maintain the Tangpyeong policy even after King Yeongjo was enthroned. This political line was also passed down to Seo Ji-su(徐志修), grandson of Seo Jong-tae. Seo Ji-su tried to protect the Crown Prince Sado(思悼世子), and the son of Prince who was subsequently to be King Jeongjo(正祖). Since these three generations faithfully supported the Tangpeyong theory, they were able to advance to dignitary continuously.
    Although Seo Jong-Tae tried to innovate the evil customs that were prevalent on the system of people's military service[良役], which was a key issue of the national crisis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could not overcome the opposition of the vested yangban landlords. Accordingly, he tried to cope with this difficulty through the Ijeong law(里定法), by strengthening the local government authority with the help of emerging powers that were growing in the local sphere at that time. This was an attempt to overcome the class contradictions of feudal society by strengthening the state's power with the newly emerged people through social chang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attempt to resolve class contradictions by strengthening the state power is noteworthy in that it was a unique way for Joseon's modernization.
    In spite of Seo Jong-tae's dedication, the Tangpyeong theory of Soron has suffered a setback by the Byeongsincheobun(丙申處分, 1716).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was plagued by a party conflict, the Tangpyeong theory and the Tangpyeong policy came out of the premise of Confucianism that in order to maintain and preserve the state, the people who were producers, must be protected. Therefore, it cannot be dismissed as meaningless just because it failed to overcome the class contradictions of the time. The theory of national ruin was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blames party strife and Confucian custom, has a decisive problem of ignoring the existence of government officials and confucianists like Seo Jong-ta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번역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