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隋唐代 高句麗의 冊封號 변화와 그 의미 (The Change of Investiture Title and Its Implication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0.11
27P 미리보기
隋唐代 高句麗의 冊封號 변화와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학보 / 94호 / 251 ~ 277페이지
    · 저자명 : 이기천

    초록

    본고는 隋唐代 高句麗의 冊封號 변화를 사례로 冊封의 성격을 검토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郡公에서 郡王으로 進封한 이유, 封號에 보이는 遼東·朝鮮·樂浪의 의미 등을 분석하여, 再統一時期 동북아시아의 國際秩序를 검토했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唐初 高句麗를 포함한 百濟·新羅의 冊封號가 郡公에서 郡王으로 進封된 것은 隋·唐代 官爵體制상 간과할 수 없는 위계의 상승을 의미하며, 이는 隋와 唐 사이의 高句麗에 대한 인식 변화를 반영한 것이다. 무리한 高句麗 침략으로 인해 국력과 국고를 탕진했던 隋의 전철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唐의 의지가 반영되어, “各保疆埸”의 국제질서가 천명되었다. 海東三國의 郡公에서 郡王으로 爵號의 변화는, 唐의 신중한 동방정책을 반영하는 동시에 唐이 高句麗·百濟·新羅를 하나의 단위로 묶어서 인식했음을 보여준다.
    冊封號에 보이는 ‘遼東’이라는 지명이 漢代 설치된 郡縣이었다는 冊封體制論의 주장과 달리, 遼東郡은 秦代 처음 설치되었다. 冊封號를 통한 領土意識 혹은 郡縣支配의 기억이 반영되었다는 논리도, ‘玄菟’가 아닌 ‘遼東’이 冊封號로 수여된 역사적 실상을 설명할 수 없다. 그리고 爵號로서 ‘遼東’이라는 명칭은 고구려만의 전유물도 아니었다. 오히려 唐代人들은 高句麗를 樂浪郡의 옛지역으로 기술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冊封號에 쓰인 遼東 역시 반드시 郡名으로 해석할 당위성은 없다. “遼水之東, 朝鮮之地”이라는 李密의 표현이나 高句麗 遺民들의 墓誌에 常見되는 범칭으로서 遼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冊封號에 보이는 ‘朝鮮’, ‘遼東’이라는 표현은 郡縣支配를 받던 故地名이라기 보다는 唐代人들이 손쉽게 호칭할 수 있던 익숙한 개념인 遼水의 동쪽 지역 혹은 과거 고조선의 영역 정도의 의미를 지닌 범칭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國際秩序로서 冊封은 夷狄의 세계에 대한 형식적인 지배의 外延을 확대하기 위한 완만한 외교적 신속관계의 성격을 갖고 있었다. 冊封은 동아시아지역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皇帝의 權威와 德化를 드러내기 위한 中國王朝의 보편적인 외교행위였다. 冊封關係는 철저히 중국왕조 중심적이며 종종 과장되거나 적대적인 관계에서도 이루어지는 비정형적인 질서였으며, 중국왕조에게 ‘익숙한 개념’으로 지속적으로 ‘因襲’되었던 외교질서로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vestiture through the change in the investiture title of Koguryŏ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It examines the reason of the shift in the title of nobility from Duke of Jun to King of Jun, the meaning of Liaodong, Chaoxian, and Lelang in investiture titles, and international order in North-East Asia during the period of reunification.
    Investiture titles of Koguryŏ, Paekche, and Silla was changed from Duke of Jun to King of Jun in the early Tang dynasty. It bespeaks the noticeable rise of the hierarchical rank in the official-nobility system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and changes in the understanding of Koguryŏ between Sui and Tang. The international order of “maintenance of the status quo.” is affirmed with reflecting Tang’s intent not to reiterate Sui’s precedent that it dissipated government coffers and national power on account of the impractical invasion of Koguryŏ. The shift in the title of nobility of the three kingdoms of Korea from Duke of Jun to King of Jun reflects Tang’s prudent east policy and Tang’s perception that Koguryŏ, Paekche, and Silla were considered as one unit.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the term ‘Liaodong’ in investiture title means a prefecture that was installed in Han dynasty, it was Qin dynasty when Liaodong Jun was installed in China for the first time. If it was emphasized that Koguryŏ under the rule of Chinese prefecture system, it should be received a title of nobility containing a word ‘Xuantu’, but in reality it did not happen. In addition, the term ‘Liaodong’ as a title of nobility was not the monopoly of Koguryŏ. On the contrary, Tang Chinese described Koguryŏ as the old region of Lelang Jun
    Therefore, there is no ground for believing that the term ‘Liaodong’ in investiture title only referred to the name of prefecture. It needs to draw attention to the general term ‘Liaodong’ presenting at Li Mi’s expression, “East side of the Liao river is the land of Chosŏn,” or occurring passim in epitaph of the migrant of Koguryŏ. Namely, the term ‘Liaodong’ and ‘Chosŏn’ in investiture titles can be interpreted as the general term referring the eastern area of Liao river and the region of old Chosŏn respectively, which is familiar to Tang Chinese, rather than the old name of the place under the rule of Chinese prefecture system.
    In conclusion, investiture as an international order characterizes as loose diplomatic relations to extend nominal rule over barbarian world. Investiture was not confined to East Asian region. It was normal diplomatic actions of ancient Chinese dynasties to disclose the authority and moral influence of Emperor. Investiture relations was thoroughly Chinese-centric and occasionally exaggerated. It was also an atypical order which even happened between the belligerent countries, and a diplomatic order that was constantly succeeded as a familiar idea to the Chinese emp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