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호랑이의 朝鮮表象化와 六堂 崔南善 (Tiger’s emblematization of Joseon and Choi Namseon(崔南善))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5.05
21P 미리보기
호랑이의 朝鮮表象化와 六堂 崔南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61호 / 13 ~ 33페이지
    · 저자명 : 박은정

    초록

    본고는 호랑이가 어느 시점에 어떻게 우리나라와 민족을 표상하게 되었는지 그 과정 탐색을 목표로 하였다. 어느 시점에 호랑이가 조선의 표상이 되었을까 하는 문제와 연결하여 주목되는 글이 있으니, 1926년 『동아일보』에 실렸던 최남선의 「호랑이」 연재 글이다. 최남선은 7차례에 걸쳐 「호랑이」라는 글을 연재했는데 호랑이와 관련된 내용을 모두 모았다. 최남선은 이 글에서 호랑이 이야기를 집대성하고 체계화한 데서 더 나아가, 대놓고 호랑이를 朝鮮의 表象으로 규정하였다.
    더하여 최남선은 호랑이가 山神의 權現으로 神性을 가졌다는 것과 고조선 이전부터 호랑이가 우리 민족의 토템으로 숭배 받아 왔다는 점을 들어, 의도적으로 호랑이를 朝鮮의 神獸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이로써 조선은 곰이 아니라 호랑이 토템의 나라가 되고, 신성을 가진 호랑이는 朝鮮의 神獸이며 朝鮮의 表象으로의 지위를 획득하게 된다.
    호랑이를 조선의 神獸이며 조선의 表象으로 만든 것이 최남선 개인이라고 단정하기는 조심스럽다. 그러나 최남선의 이 7편 「호랑이」 글이 그간 흩어져 있던 호랑이 관련 이야기를 한 자리에 모았고, 호랑이는 朝鮮表象이라는 관념을 정립하는 데 상당한 역할을 했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지면이 “신문”이었다는 점도 간과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더구나 최남선의 이러한 호랑이 조선표상화 노력은 1926년 『동아일보』의 「호랑이」 글뿐만 아니라, 1908년부터 최남선이 창간하였던 여러 잡지의 글이나 표지에 호랑이를 등장시키는 등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1903년 고토 분지로가 한반도의 토끼 형상론을 주장한 이후 최남선은 한반도 호랑이 형상론을 주장했고, 1912년~1926년까지 일본에서 호랑이 말살 정책을 펼 때 최남선은 잡지와 신문을 통해 神獸 호랑이의 朝鮮表象化를 추진하였다. 일본이 조선을 상징하기 위해 害獸 호랑이를 내세웠다면, 최남선이 조선을 표상하기 위해 내세운 호랑이는 포효하는 호랑이로 조선의 긍정적 기운을 상징하는 神獸였다. 이때 호랑이는 조선에서 역대로 숭배 받아온 辟邪의 상징이고 守護의 상징이며 山神의 권현인 호랑이다.
    이처럼 호랑이를 일본에 대한 저항의 표현이며 조선에 대한 긍정적 기운으로 사용한 시초는 1908년 『소년』 창간호에 최남선이 그린 호랑이 형상의 한반도 그림이라 할 수 있다. 더하여 호랑이를 조선이라는 나라와 연결시켜 호랑이는 朝鮮表象이라 한 데에는 1926년 최남선의 『동아일보』 연재 글 「호랑이」의 영향이 컸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searched when and how tigers had represented our country, then it researched the representation courses. The noting articles related that when tiger become an icon of Joseon was the newspaper series 「Tiger」 written by Choi Namseon. He gathered whole contents related tigers and published serially the article 「Tiger」 through seven times. Choi Namseon collected and systematized stories of tigers, then he defined the tiger as the icon of Joseon.
    He tried to make tigers to Shinsu(sacred animal) of Joseon being founded on that tigers have the holy(神性) from authority of Taoists(山神) and that tigers have been worshiped by our people from Gojoseon(古朝鮮). Therefore Joseon was become a nation of not bears but tigers totem, tigers containing sacred gained a position as Shinsu(神獸) of Joseon and icons of Joseon.
    It was uncertain that Choi Namseon made tigers as Shinsu and icons of Joseon. However it was certain that he gathered stories of tigers scattered in several materials and contributed to set up a conception that tigers are icons of Joseon. In addition, he published serially stories of tigers on the newspaper. This point is not overlooked. These Choi Namseon’s efforts of Joseon representation with Tigers were consistently conducted not only 「Tiger」 written in Donga newspapers but also entering tigers in covers or articles in several magazines published by Choi Namseon since 1908.
    After Goto Bunjiro insisted rabbit shape for the Korean Peninsula in 1903, Choi Namseon insisted on tiger shape for the Korean Peninsula, while Japan carried out a policy on annihilation of tigers from 1912 to 1926, Choi Namseon propelled Joseon representation of Shinsu tigers through magazines and newspapers. While Japan used tigers as harmful animals for symbolizing Joseon, Choi Namseon propounded tigers that they roared and indicated positive atmosphere of Joseon for symbolizing Joseon. These tigers were that they symbols of driving away evil spirits, protection and authority of Taoists.
    Likewise, the picture of tiger shape for the Korean Peninsula in first issue of 『Boys』(少年) at 1908 was initially used for expression of resistance against Japan and atmosphere of Joseon, the series articles of 「Tiger」 in Donga newspapers vastly influenced calling “tigers are Joseon” related tigers with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