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춘당 송준길家 한글간찰의 표기법 특징 (The Orthographic Features of Dongchundang Song Jun-gil’s Family Hangeul Letter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5.06
26P 미리보기
동춘당 송준길家 한글간찰의 표기법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84권 / 5 ~ 30페이지
    · 저자명 : 김성옥, 김정태

    초록

    본 연구는 동춘당 송준길家 한글간찰 중에서 19세기 말 ~ 20세기 초 간찰에 대한 표기를 분석하여 개화기 국어의 표기법 특징을 고찰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한글간찰자료는 구어적인 요소(연철과 중철표기 등)와 표기의 보수적인 요소(‘ㆍ’의 혼기 양상과 ㄹㄴ표기형 등)가 함께 공존함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연철·중철·분철표기가 혼기되는 가운데 분철표기는 곡용에서, 연철표기는 활용에서 많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연철표기와 분철표기의 양상이 시대별 표기경향과 더불어 형태론적인 범주별 표기경향 또한 배제할 수 없음을 논의하였다. 중철표기의 경우, 곡용은 체언말에 ‘ㅅ(ㄷ)’을 가진 어형에서, 활용은 현대국어의 용언 ‘있­’에서 대부분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된소리 표기에는 ㅅ계 합용병서가 쓰이고 있으며, ㅂ계 합용병서는 ‘ᄡᅥᆺᄉᆞᆸᄂᆞ이다(1164), 바ᄂᆞᆯ 세 ᄡᅣᆷ(1164), ᄡᆞᆺᄂᆞᆫᄃᆡ(1202)’ 외에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셋째, ‘ㆍ’가 비음운화되었음에도 본 간찰자료에서는 ‘ᄒᆞ나(하나 1147), ᄉᆡᆼ각(생각 1131), 동ᄂᆡ(동네 1151), 쳘ᄂᆞᄅᆞ(>철로로, 1191), 만흘ᄉᆞ록(>많을수록, 1150), 모ᄅᆞ오니(모르오니 1063)’ 등, ‘ㆍ’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음절말 ‘ㅅ’표기를 통하여 현대국어에서 용언어간의 ‘있­’과 문법형태소 ‘­았/었­, ­겠­’이 이 당시는 기저형이 ‘잇­, ­앗/엇­, ­겟­’이었음을 추정하였다. 다섯째, ㄹㄴ형이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팔니면(1135), 놀납­(1152)’처럼 용언에서, ‘쳘ᄂᆞ(鐵路 1191)’처럼 한자어 구성에서, 그리고 ‘ᄯᅡᆯ노(1130), ᄉᆞ별노(1130), 시골노(1151)’처럼 체언말 ‘ㄹ’과 부사격조사 ‘로’의 결합인 곡용 등에서 ㄹㄴ형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글간찰을 통한 개화기 국어의 다양한 표기상의 혼기는 『한글마춤법통일안』(1933)을 계기로 현대국어와 같이 통일화 및 규정화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orthography of letters used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Dongchudang Song Jun-gil’s family Hangeul Letters to consider the orthographic features of Korea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hrough this, it’s found that in Hangeul Letters coexist colloquial elements(yeoncheol & jungcheol writing and etc.) and conservative elements of writing(‘ㆍ’ intermixed, ㄹㄴ-writing and etc.).
    First, while yeoncheol/jungcheol/buncheol writings were intermixedly used, buncheol writing appeared more in declension, yeoncheol writing in inflection. For this reason, it discussed that the phases of yeoncheol and buncheol writing cannot exclude the writing tendency by morphologic category along with the writing tendency by time. As for jungcheol writing, most of jungcheol writing appears in word form with ‘ㅅ(ㄷ)’ at the end of nouns while most of inflection appears in ‘있­’, a predicate of modern Korean. Second, "ㅅ"-initial onset Clusters are used to write fortis while ‘b’-initial onset clusters are hardly found. Third, though ‘ㆍ’ gets nasalized, it appears in various forms like ‘ᄒᆞ나(hana 1147), ᄉᆡᆼ각(saenggak 1131), 동ᄂᆡ(dongnae 1151), 쳘ᄂᆞᄅᆞ(>cheolroro, 1191), 만흘ᄉᆞ록(>maneulsurok, 1150), 모ᄅᆞ오니(moroni 1063).’ fourth, through writing ‘ㅅ’ at the end of syllable, it’s guessed that ‘있’ of predicate stem and ‘­았/었­, ­겠­’ of verbal conjugation in the modern Korean were ‘잇­, ­앗/엇­, ­겟­’ in their underlying form at that time. Fifth, it’s found that ‘ㄹㄴ’-form appeared in various settings. It appeared in predicates like ‘팔니면(1135), 놀납­(1152),’ in Chinese character composition like ‘쳘ᄂᆞ(鐵路 1191)’ while declension appeared in ‘ㄹㄴ’-form by adverbial particle, ‘로,’ combined with ‘ㄹ’ at the end of noun like ‘ᄯᅡᆯ노(1130), ᄉᆞ별노(1130), 시골노(1151).’ This intermixing of various writings in Korea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got unified and codified as in modern Korean when 『The Draft for Unified Spelling System of Hangeul』(1933) was decre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