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唐代 哀悼詩에 나타난 공간 연구 (A Study on Space Displayed in Tang’s Monodi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1.08
38P 미리보기
唐代 哀悼詩에 나타난 공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중국학연구 / 97호 / 27 ~ 64페이지
    · 저자명 : 김동진

    초록

    이 논문은 당대의 애도시에서 구현한 공간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작가가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효과적, 그리고 문학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고찰하였다. 공간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위해 이 연구는 당대 생사관이 기반하고 있는 ‘이승과 저승의 격리 및 융합’, ‘사자에 대한 망각 및 기억’ 등핵심개념을 도입하였다. 두 공간의 융합은 작가의 감정으로 인해 이승에 위치한 애도의 공간이 잠정적으로 저승처럼 변모하는 것과 꿈속에서 유체이탈 하여 사자와 만남으로써 저승과 이승이 결합되는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시인이 애도 대상이 죽었다는 현실을 인지함으로써 두 세계는 다시격리된다. 망각의 경우는 살아있는 사람들이 거주지나 무덤 같은 사자와관련 있는 장소를 잊는 것과 사자가 내세로 떠남으로써 속세와 그 안의사물을 망각하는 것에 해당한다. 하지만 산 자들은 사자의 업적이나 명성, 그리고 그들이 남긴 문장을 기억하고, 속세를 잊은 사자와 다르게 여전히사자를 추모하며 애도한다.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이 논문은 시 속에서묘사한 이미지와 작가가 사용한 수사법에 대한 구체적 분석을 통하여 독자들이 애도시를 미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만드는 장치를 탐구했다.
    또한, 저승이란 공간에 대해서 부정적인 묘사가 일반적인 이유와, 애도시창작에 정형화된 스키마가 중요한 이유, 그리고 이들이 애도시를 사자가아닌 산 자를 위한 글로 기능하게 하는 원리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space embodied in the Tang’s Monodies to examine how poets effectively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a literary manner. In order to conduct in-depth research on the subject, this paper introduces key concepts such as ‘separation and fusion’, and also ‘forgetting and remembering’, which are based on Tang people’s view of life and death. There are two patterns for the fusion of two spaces that take place in the monodies, First, the space for mourning located in this world is temporarily transformed into the state resembling the otherworld due to authors’ emotions. Second, this world and the underworld are combined as the author meets the dead by experiencing astral projection while dreaming. By recognizing reality, the two spaces are again isolated.
    As for oblivion, it refers to living people’s forgetting the former residence or the tomb belonging to the dead. It also refers to the dead’s forgetting this life after departing for their afterlife. In comparison, the living people still remember the dead’ achievement, reputation and their writings, and they still miss and mourn for the dead. Based on this perception, this paper explores the device that allows readers to aesthetically accept monodies through a detailed analysis of the images depicted in those poems. On top of this, the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why underworld are often negatively described in monodies, why the standardized schema is strictly observed by poets when composing monodies, and how monodies function as writings for the living instead of the dead, are also conclu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