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한글소설 『당태종전』의 『西遊記』 전유 양상 小考 (A Study on the Adaptation of Dangtaejongjeon (당태종전, 唐太宗傳) from Journey to the West (西遊記))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0.06
30P 미리보기
조선 한글소설 『당태종전』의 『西遊記』 전유 양상 小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어문학지 / 71호 / 7 ~ 36페이지
    · 저자명 : 유수민

    초록

    『당태종전』은 작자와 연대 미상의 조선 후기 한글소설로, 중국소설 『西遊記』 제10~12회의 당 태종 入冥 고사를 바탕으로 이야기를 재구성한 번안 작품이다. 조선의 소설독자들은 조선에 유입된 수많은 중국소설들을 자국소설인 양 번안하여 ‘전유(appropriation)’하여 향유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고는 『당태종전』 역시 그러한 흐름 안에 있는 작품으로 보고, 그 작품세계를 원작 『西遊記』에 대한 자국적 전유의 관점에서 읽어보고자 하였다.
    본고는 『당태종전』의 『西遊記』 번안 과정에는 조선사회에 이미 존재하던 ‘당 태종’이라는 양가적 문화 코드가 바탕이 되었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러한 바탕 위에서 이루어진 번안의 양상과 그 특징을 다음의 네 가지 측면에서 논의했다. 첫째, 작자는 번안 과정에서 史實적 디테일을 추구했는데, 이점에서 작자는 일정한 학식을 가진 계층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작자는 佛敎 서사를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불교적 세계관을 전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셋째, 이 소설은 불교적 세계관을 표현하면서도 현실적인 유교적 가치관도 담고 있으며, 이 두 세계관은 자연스럽게 공존하고 있다. 넷째, 원작 『西遊記』에 비해 冥府에 대한 묘사가 한국적으로 변화되었다.
    『당태종전』은 조선에서 중국의 『西遊記』를 읽고 ‘다시쓰기(re-writing)’하는 과정을 통해, 많은 부분에서 조선 당시의 문화적 상황 및 이데올로기적 요소를 반영하게 되었다. 이렇게 형성된 『당태종전』은 조선 사회의 대중독자들에게 이질감 없이 향유될 수 있었다.
    본고는 조선 시기 중국소설의 번안 작품 세계를 단순한 이입 혹은 영향 관계가 아닌, ‘접촉, 변형, 생성’이라는 관점에서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의 논의가 소략하나마 한중 양국 소설문화 및 서사전통의 이해 提高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Dangtaejongjeon (당태종전, 唐太宗傳), a classical Hangul novel by an unknown author in the late Joseon (朝鮮), is a adapted story which was newly composed from the story of the Tang (唐) Emperor Taizong (太宗)’s visit to the underworld in Journey to the West (西遊記). Novel readers in late Joseon had a strong tendency to share Chinese novels which were not original texts but rather adapted works, being gone through their own ‘appropriaton’ process. This study regards Dangtaejongjeon as a novel in such a flow, and thus tries to examine the world of it in terms of appropriaton of the original text.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Tang Emperor Taizong functioned as a ambivalent cultural code in Joseon society and thus adaptation was done on that basis. Contemplation about the aspects of adaptation was conducted with four perspectives in this study. Firstly, the author of this novel pursued historical details. It shows that the author would be a class with some knowledge. Secondly, this novel manifested the entire Buddhist world view by actively embracing Buddhist narratives. Thirdly, this novel also contained realistic Confucian values while expressing the Buddhist world view. These two outlooks did not conflict with each other and coexisted naturally. Fourthly, the description of the underworld has changed in Korea compared to the original.
    Dangtaejongjeon was written in many parts reflecting the cultural situation and ideological factors of the late Joseon through a process of ‘re-writing’ of Journey to the West. Dangtaejongjeon re-written in this way was able to be enjoyed without any heterogeneity among Joseon public readers.
    This study tried to dispute on the world of a adapted work of Chinese novel in Joseon in terms of not a simple import or influence relation but the ‘contact, modification, creation.’ I believe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enhancement of mutual understanding about classical novel culture and narrative tradition between Korea and Chi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어문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전